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조처조(朝妻造; 아사츠마노미야츠코)

조처조(朝妻造; 아사츠마노미야츠코)
 한국(韓國) 사람 도류사주(都留使主; 츠루가오미)로부터 나왔다.
 
【주석】
1. 조처조(朝妻造)
조처(朝妻; 아사즈마)의 씨명은 『일본서기』 인덕(仁德紀) 22년 정월조에 보이는 아좌두마(阿佐豆磨, 朝妻), 동 천무(天武) 9년(680) 9월조의 “조유(朝嬬)에 순행하다”라는 지명인 조유(朝嬬; 아사츠마)에서 유래한다. 현재의 나량현(奈良縣) 조처조시(朝妻造市) 남갈성군(南葛城郡) 갈성촌(葛城村) 대우조처(大宇朝妻) 지역이다. 조처조씨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신호경운(神護景雲) 2년(768) 10월 계유조에 종6위하에서 종5위하로 진급한 조처조면매(朝妻造綿賣)가 나오고, 『속일본기』 승화(承和) 원년(834) 정월 무오조에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로 진급한 조처조청주(朝妻造淸主) 등이 있다. 또 천평승보 2년 5월 25일부 「조동대사사이(造東大寺司移)」(『대일본고문서』 3-403)에 보이는 내장료(內匠寮)의동철공(銅鐵工)인 조처망만려(朝妻望万呂)가 있다. 『영락유문(寧樂遺文)』(上-389, 「元興寺塔露盤銘」)에도 숭준조(崇峻朝) 시대의 사람인 작금인(作金人) 아사도마수미사내(阿沙都麻首未沙乃)가 보이는데 조처조씨 선조 중 1인으로 생각된다. 조처조씨의 옛 성은 아사도마수미사내(阿沙都麻首未沙乃)의 성으로부터 수(首)였음을 알 수 있다.
2. 도류사주(都留使主)
도류사주에 대해서는 기타의 사료에 보이지 않는다. 산성국 제번의 「말사주(末使主)」 조(925)에 백제계 말사주(末使主), 목왈좌(木曰佐) 2인의 조상이라고 전하는 진류아사주(津留牙使主; 츠루가오미)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있다. 또 『일본서기』 응신기 20년 추9월조에 도가사주(都加使主)의 인명이 나오는데 유사점이 발견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조처조(朝妻造; 아사츠마노미야츠코)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20_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