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북아역사논총

[길림성 통화 만발발자 유적을 통해 본 고조선 - 고구려 계승 관계] 만발발자 유적으로 본 후기 고조선의 교역 네트워크와 고구려의 발흥

  • 구분
    특집
  • 저필자
    강인욱(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
  • 발행일
    2021년 3월 31일

I. 머리말
II. 묘제의 구성과 변천
 1. 주요 묘제
  1) 토광묘
  2) 석관묘
  3) 석곽석관묘
  4) 대석개묘
 2. 무덤의 분기와 편년
  1) 1단계: 집단토광묘와 토광묘
  2) 2단계(기원전 4~3세기)
  3) 3단계(기원전 3세기 말~2세기 전반)
  4) 4~5단계(기원전 2세기 중후반)
III. 무덤으로 본 만발발자 사회의 특성
 1. 시기별 무덤의 축조 상황
 2. 장법의 검토
 3. 무덤의 부장품
IV. 동북아시아 고대 사회의 변동과 만발발자 사회
 1. 만발발자 유적의 생계경제와 모피무역
 2. 만발발자의 교역 네트워크
 3. 고구려 적석총의 기원과 만발발자
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길림성 통화 만발발자 유적을 통해 본 고조선 - 고구려 계승 관계] 만발발자 유적으로 본 후기 고조선의 교역 네트워크와 고구려의 발흥 자료번호 : dn.d_0071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