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성씨록(姓氏錄)』 에 이르기를 지노직(志努直; 시누노아타히)의 셋째 아들...]

『성씨록(姓氏錄)』 에 이르기를 지노직(志努直; 시누노아타히)의 셋째 아들 아량직(阿良直; 아라노아타히)은 군기촌(郡忌寸; 고오리노이미키), 가정기촌(榎井忌寸; 에노위노이미키)[대화국(大和國; 야마토쿠니) 길야군(吉野郡; 요시노노코호리)], 하원기촌(河原忌寸; 가하하라노이미키), 인판기촌(忍坂忌寸; 오사카노이미키)[대화(大和)·하내(河內) 등 국], 여노기촌(與努忌寸; 요노노이미키), 파다기촌(波多忌寸; 하타노이미키), 장미기촌(長尾忌寸; 나가워노이미키) 등 7성의 조상이라고 하였다.
 
【주석】
1. 성씨록왈(姓氏錄曰)
이 일문은 〈판상계도(坂上系圖)〉 아량직(阿良直)조에 인용된 것으로, 우경 제번(상) 「판상대숙녜(坂上大宿禰)」 조(812)의 일문이다. 현재 초략본의 해당 조에서는 후한(後漢) 영제(靈帝)의 아들 연왕(延王)에서 나왔다고 하였다.
2. 지노직(志努直)
지노직에 대해서는 [일문-12] 지노직(志努直) 참조.
3. 아량직(阿良直)
〈판상계도(坂上系圖)〉에서는 지노직(志努直)의 아들 아소나직(阿素奈直)의 동생으로 아량직이 보이고, 그말미에본조의 일문을 기록하였다.
4. 군기촌(郡忌寸)
군(郡; 고호리)이라는 씨명은 평(評; 고호리)이라고도 표기하며, 현재의 나량현(奈良縣)고시군(高市郡)인 고시평(高市評, 『和邇部氏系圖』 山栗臣), 혹은 현재의 나량현(奈良縣)첨상군(添上郡)·생구군(生駒郡)인 소포평(所布評, 『藤原宮』 木簡釋文 2) 일대의 행정단위 명칭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군기촌(郡忌寸)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은 다른 사료에 보이지 않는다.
5. 가정기촌(榎井忌寸)
가정(榎井; 에노위)이라는 씨명은 대화국(大和國) 고시군(高市郡) 박정읍(朴井邑), 즉 현재의 나량시(奈良市) 서목십정(西木辻町) 박정(朴井; 에노이)라는 지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가정기촌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은 다른 사료에 보이지 않는다.
6. 하원기촌(河原忌寸)
하원(河原; 가하하라)이라는 씨명은 천원(川原; 가하하라)라고도 표기하며, 대화국(大和國) 고시군(高市郡) 하원읍(河原邑), 즉 현재의 나량현(奈良縣) 고시군(高市郡) 명일향촌(明日香村) 천원(川原)이라는 지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하원기촌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로는 천원이미길존마(川原伊美吉尊磨, 貞觀 3년 2월 15일부 「紀伊國眞川鄕墾田賣券」 『平安遺文』 1-112)가 있다. 그는 기이국(紀伊國) 명초군(名草郡) 진천향(眞川鄕)의 신관인 도녜(刀綱)였다. 기촌이 이미길(伊美吉)로 바뀐 것은 천안(天安) 원년(857)으로, 민기촌(民忌寸)·곡기촌(谷忌寸) 등 59씨가 함께 사성(賜姓)되었다(『日本文德天皇實錄』 天安 원년 정월 경신조).
7. 인판기촌(忍坂忌寸)
인판(忍坂; 오시사카·오사카)이라는 씨명은 압판(押坂; 오시사카)이라고도 표기하며, 대화국(大和國) 성상군(城上郡) 인판향(忍坂鄕), 즉 현재의 나량현(奈良縣) 앵정시(櫻井市)인판(忍阪)이라는 지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지명은 신무천황(神武天皇)즉위전기부터 나타난다(『일본서기』 神武天皇 卽位前紀 무오년 10월 계사삭조).
인판기촌(忍坂忌寸)의 원래 성은 직(直)이었고 연(連)을 거쳐 기촌이 되었다. 천무(天武) 11년에 왜한직(倭漢直) 등과 함께 연이 되었고(『일본서기』 天武 11년 5월 갑술조), 천무 14년에 왜한련과 함께 기촌이 되었다(『일본서기』 天武 14년 6월 갑오조).
인판직(忍坂直)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로는 압판직(押坂直, 『일본서기』 皇極 3년 3월조), 인판직대마려(忍坂直大摩侶, 『일본서기』 天武 원년 6월 병술조 등)가 있으며, 기촌이 된 이후의 인물로는 인판기촌약자매(忍坂忌寸若子賣, 天平 5년경 「山背國愛宕郡計帳」, 『대일본고문서』1-529), 인판기촌을만려(忍坂忌寸乙万呂, 天平 20년 4월 25일부 「寫書所解」, 『대일본고문서』 3-79), 인판기촌성마려(忍坂忌寸成麻呂, 天平 20년 8월 「經師等上日帳」, 『대일본고문서』 10-343 등), 인판기촌마려(忍坂忌寸麻呂, 天平寶字 6년 4월 8일부 「造石山院公文案」, 『대일본고문서』 5-209 등)가 있다.
인판기촌성마려는 인판성마려(忍坂成麻呂)와 같이 기촌이라는 성이 기록되지 않은 경우도 있으므로(天平 7년 9월 18일 「經師寫紙幷給絁布案」, 『대일본고문서』 7-42 등), 근무지 및 직무가 유사한 인판묵판(忍坂墨坂, 天平 10년 2월 8일부 「經師等行事手實」, 『대일본고문서』 7-128 등), 인판만려(忍坂万呂, 天平 11년 4월 1일부 「寫經司告解」, 『대일본고문서』7-225), 인판우의(忍坂友依, 天平勝寶 원년 8월 「經師上日帳」, 『대일본고문서』 3-310 등), 인판관(忍坂冠, 天平勝寶 6년12월4일 「經師等紙筆墨充帳」, 『대일본고문서』 10-587) 중에서도 기촌이라는 성을 가진 자가 있을 것이다.
대화국(大和國)의 인판기촌으로는 이름을 알 수 없는 압판직(押坂直)과 인판기촌을만려(忍坂忌寸乙万呂)가 있다. 압판직은 대화국 토전군(菟田郡) 사람인데 겨울에 눈이 내린 토전산(菟田山)에 올라 보라색 버섯을 따서 끓여 먹었더니 병이 없이 오래 살았다고 한다. 이는 지초(芝草)인데 사람들이 잘 모르고 버섯이라고 부른 것으로 보인다고 하였다(『일본서기』 皇極 3년 3월조). 인판기촌을만려는 왜국(倭國, 대화국) 우타군(宇陁郡) 입간향(笠間鄕戶)의 호주로 보인다(天平 20년 4월 25일부 「寫書所解」)에 보인다.
하내국(河內國)에서 인판기촌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은 다른 사료에 보이지 않는다. 인판기촌약자매(忍坂忌寸若子賣)는 산배국(山背國) 애탕군(愛宕郡)의 종8위하 갈야대련장마려(葛野大連瓺麻呂)의 처로 보인다(天平 5년경 「山背國愛宕郡計帳」, 『대일본고문서』1-529).
8. 여노기촌(與努忌寸)
여노(與努; 요노)라는 씨명의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다. 태전량(太田亮)은 이하국(伊賀國) 이하군(伊賀郡) 여야향(餘野鄕), 즉 현재의 삼중현(三重縣) 상야시(上野市) 여노(予野; 요노) 일대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여노기촌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은 다른 사료에 보이지 않는다.
9. 파다기촌(波多忌寸)
파다(波多)라는 씨명은 대화국(大和國) 고시군(高市郡) 파다향(波多鄕), 즉 현재의 나량현(奈良縣) 고시군(高市郡) 고취정(高取町)의 지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파다기촌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은 다른 사료에 보이지 않는다.
10. 장미기촌(長尾忌寸)
장미(長尾)라는 씨명은 대화국(大和國) 갈하군(葛下郡) 장미읍(長尾邑), 즉 현재의 나량현(奈良縣) 북갈성군(北葛城郡) 당마정(當麻町) 장미(長尾)라는 지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장미기촌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에 대해서는 [일문12]의 장미기촌 항목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성씨록(姓氏錄)』 에 이르기를 지노직(志努直; 시누노아타히)의 셋째 아들...] 자료번호 : ss.k_0003_0030_0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