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일본서기

고구려인이 투화하여 산배국에 살게 함

26년 여름 5월에 고구려인 두무리야폐(頭霧唎耶陛) 주 001
번역주 001)
『新撰姓氏錄』 右京諸藩 고려조에 의하면 고구려왕 鄒牟(주몽)의 후손인 長背連이 흠명조에 왜국에 건너 왔다는 기록이 나온다. 여기서 두무리야폐란 인물이 장배련의 선조일 것으로 추정되지만 자세히 알 수 없다.
닫기
등이 축자(筑紫;쓰쿠시)에 투화하였으므로 산배국(山背國;야마시로노구니)에 살게 하였다. 지금의 무원(畝原;우네하라)주 002
번역주 002)
현재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다.
닫기
, 나라(奈羅;나라)주 003
번역주 003)
『和名類聚抄』에 「山城國 久世郡 那羅鄕.」이란 기록이 나온다. 현재 京都府 八幡市 上奈良과 下奈良 지역이다.
닫기
, 산촌(山村;야마무라)주 004
번역주 004)
『新撰姓氏錄』 山城皇別 曰佐條에 「山代國 相樂郡 山村曰佐.」란 기록이 있다. 상락군은 京都府 大津川市의 옛 지명이다. 山村鄕의 구체적인 위치는 알 수 없다.
닫기
의 고구려인의 선조이다.

  • 번역주 001)
    『新撰姓氏錄』 右京諸藩 고려조에 의하면 고구려왕 鄒牟(주몽)의 후손인 長背連이 흠명조에 왜국에 건너 왔다는 기록이 나온다. 여기서 두무리야폐란 인물이 장배련의 선조일 것으로 추정되지만 자세히 알 수 없다.바로가기
  • 번역주 002)
    현재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다.바로가기
  • 번역주 003)
    『和名類聚抄』에 「山城國 久世郡 那羅鄕.」이란 기록이 나온다. 현재 京都府 八幡市 上奈良과 下奈良 지역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04)
    『新撰姓氏錄』 山城皇別 曰佐條에 「山代國 相樂郡 山村曰佐.」란 기록이 있다. 상락군은 京都府 大津川市의 옛 지명이다. 山村鄕의 구체적인 위치는 알 수 없다.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두무리야폐(頭霧唎耶陛)
지명
축자, 산배국, 무원, 나라, 산촌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구려인이 투화하여 산배국에 살게 함 자료번호 : ns.k_0032_0230_001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