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속자치통감장편

고려국왕 왕소(王昭)의 사신

  • 날짜
    962년 11월 (음)(建隆 3年(962) 11月 丙子)
  • 출전
    卷3 建隆 3年(962) 11月 丙子
삼불제(三佛齊)주 001
각주 001)
三佛齊 : 7세기 중엽 수마트라 팔렘방(Palembang)을 중심으로 흥기했던 해상국가로 최전성기에는 말레이반도와 순다 열도 대부분 지역까지 포함했다. 당대 중국 문헌에는 범어 스리비자야(Sri Vijaya)의 음역인 室利佛逝로 기록되다가 10세기 초부터 三佛齊로 명칭이 바뀌었다.
닫기
국왕 석리야(釋利耶)주 002
각주 002)
釋利耶 : 『宋史』 卷489 三佛齊傳에 建隆 3年(962) 봄 三佛齊 왕 室利烏耶가 正使 李麗林과 副使 李鴉末, 判官吒吒璧을 파견해 來貢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室利烏耶가 釋利耶와 동일인으로 보인다.
닫기
와 고려국왕(高麗國王) 왕소(王昭)[광종(光宗)]주 003
각주 003)
(王)昭 : 925∼975, 재위 949∼975년. 고려의 4대 국왕 光宗이다. 昭가 이름이며, 자는 日華이다. 아버지는 太祖 王建이며, 어머니는 神明順成王太后 劉氏이다. 3대왕 定宗의 동생으로 그의 禪位를 받아 왕이 되었다. 妃로는 大穆王后 皇甫氏와 慶和宮夫人 林氏가 있다. 그의 재위 시기에 노비안검법, 과거제 등이 시행되었으며, 호족을 대거 숙청하고 왕권을 강화, 안정시켰다.
닫기
가 함께 사신을 보내와 방물을 바쳤다.

  • 각주 001)
    三佛齊 : 7세기 중엽 수마트라 팔렘방(Palembang)을 중심으로 흥기했던 해상국가로 최전성기에는 말레이반도와 순다 열도 대부분 지역까지 포함했다. 당대 중국 문헌에는 범어 스리비자야(Sri Vijaya)의 음역인 室利佛逝로 기록되다가 10세기 초부터 三佛齊로 명칭이 바뀌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釋利耶 : 『宋史』 卷489 三佛齊傳에 建隆 3年(962) 봄 三佛齊 왕 室利烏耶가 正使 李麗林과 副使 李鴉末, 判官吒吒璧을 파견해 來貢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室利烏耶가 釋利耶와 동일인으로 보인다. 바로가기
  • 각주 003)
    (王)昭 : 925∼975, 재위 949∼975년. 고려의 4대 국왕 光宗이다. 昭가 이름이며, 자는 日華이다. 아버지는 太祖 王建이며, 어머니는 神明順成王太后 劉氏이다. 3대왕 定宗의 동생으로 그의 禪位를 받아 왕이 되었다. 妃로는 大穆王后 皇甫氏와 慶和宮夫人 林氏가 있다. 그의 재위 시기에 노비안검법, 과거제 등이 시행되었으며, 호족을 대거 숙청하고 왕권을 강화, 안정시켰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려국왕 왕소(王昭)의 사신 자료번호 : jt.k_0001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