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근세 한일관계 사료집

하야타 간자부로의 조선통신사 문안과 접대

一. 11월 10일, 문안 하야타 간자부로(早田勘三郞).
〃차리구로님에게 문안으로 핫토리 야에몬을 보냈다.
〃부교들이 부젠노카미 쪽으로 잉어 3마리를 보냈다. 단, 히메지에서 왔기 때문에 돌려주었다고 한다. 사자는 오치아이 지자에몬(落合次左衛門)이라는 사람이다. 이 사람은 우마노리슈(馬乘衆)주 001
각주 001)
우마마와리(馬廻): 전국시대(戦国時代)에 생긴 무가(武家)의 직제 중 하나로, 주군(主君)이 탄 말 주변에서 경호하는 기마무사. 에도시대에도 제번(諸藩)의 직제로 존속하여 다이묘의 일상 경호를 맡았다. 에도막부의 직제에서는 양번(両番)이라 불리는 서원번(書院番)과 소성조번(小姓組番)이 제번(諸番)의 우마마와리에 해당된다. 하타모토(旗本) 자제의 경우 양번에 임명되면 쇼군의 측근으로 인정되어 막부 관료로 출세하는 것이 통례였다. 제번에서 우마마와리는 직제 이외에 ‘가격(家格)’을 의미하는 호칭으로도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번에 따라서 마상자격(馬上資格)을 인정하는 번과 인정하지 않는 번이 있어서 어느 쪽이 일반적이었는지는 단언하기 어렵다.
닫기
이다.
〃겐쇼지(見性寺)로부터 부젠노카미에게 귤과 떡이 왔다.
〃부젠노카미가 혼다 미노님에게 모시 2필, 붓 15자루를 보냈다. 이것은 나가사카 효부자에몬님에게 보내는 서한과 함께 전달한 것이다.
〃부젠노카미가 혼다 나카쓰카사다유(本多中務大輔)님에게 호피 1매를 진상했다. 상자에 넣고 서찰에는 직찰(直札)주 002
각주 002)
신분이 높은 사람이 직접 서판·서명하여 보내는 서찰 양식의 문서. 가신(家臣)이 대리로 발급하는 봉서(奉書), 부장(副状, 添状)과 대비하여 쓰는 용어.
닫기
하여 보냈다.
〃저녁이 지난 무렵 번주님과 부젠노카미도 접대하러 겐쇼지에 올라가셨다.
〃부젠이 혼다 미노노카미 댁의 나가사카 효부자에몬님에게 사릉 2필을 보냈다.

  • 각주 001)
    우마마와리(馬廻): 전국시대(戦国時代)에 생긴 무가(武家)의 직제 중 하나로, 주군(主君)이 탄 말 주변에서 경호하는 기마무사. 에도시대에도 제번(諸藩)의 직제로 존속하여 다이묘의 일상 경호를 맡았다. 에도막부의 직제에서는 양번(両番)이라 불리는 서원번(書院番)과 소성조번(小姓組番)이 제번(諸番)의 우마마와리에 해당된다. 하타모토(旗本) 자제의 경우 양번에 임명되면 쇼군의 측근으로 인정되어 막부 관료로 출세하는 것이 통례였다. 제번에서 우마마와리는 직제 이외에 ‘가격(家格)’을 의미하는 호칭으로도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번에 따라서 마상자격(馬上資格)을 인정하는 번과 인정하지 않는 번이 있어서 어느 쪽이 일반적이었는지는 단언하기 어렵다. 바로가기
  • 각주 002)
    신분이 높은 사람이 직접 서판·서명하여 보내는 서찰 양식의 문서. 가신(家臣)이 대리로 발급하는 봉서(奉書), 부장(副状, 添状)과 대비하여 쓰는 용어.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하야타 간자부로의 조선통신사 문안과 접대 자료번호 : kn.k_0005_0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