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숭산기촌(嵩山忌寸; 스세노이미키)

숭산기촌(嵩山忌寸; 스세노이미키)
 당인(唐人) 정6위상[본 축창(丑倉)에게 녹(綠)을 내렸다.] 맹혜지(孟惠芝)가 입조하였다. 심유악(沈惟岳)과 같은 시기였다.
 
【주석】
1. 숭산기촌(嵩山忌寸)
『속일본기』 연력 3년(784) 6월조에 당인(唐人) 정6위상 맹혜지(孟惠芝) 등이 숭산기촌의 씨성을 받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숭산기촌의 옛 성은 맹(孟)이다.
2. 축창(丑倉)
율전관(栗田寬)은 축창(丑倉)의 축(丑)은 사(司)의 오사이고, 사병(司兵)을 인창(刃倉)과 같은 것으로 추측하였다.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이 설에 따라 완본에는 사창(司倉)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사창은 『대당육전』 에 당의 주현의 관직명으로 나온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숭산기촌(嵩山忌寸; 스세노이미키)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10_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