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북토성자고성

北土城子古城
  • 저필자
    김진광(한국학중앙연구원)
  • 시대
    발해/요금
  • 원소장처
    吉林省 樺甸市 蘇密鄕 小城子村 北200m(길림성 화전시 소밀구향 소성자촌 북200m)
  • 시대
    발해
  • 유형
규모
둘레: 100m
입지
소밀성(蘇密城)에서 동남쪽으로 3km 떨어져 있다. 소밀성향(蘇密城鄕) 소성자촌(小城子村)에서 북쪽으로 약 200m 떨어져 있다. 북쪽으로 연백(煙白)철로와 80m 떨어져 있고, 서북쪽으로 휘발하(輝發河), 신하(新河)와 1,000m 떨어져 있으며, 서쪽으로 소밀구하(蘇密沟河)와는 900m 정도 떨어져 있다. 고성은 소밀구(蘇密沟)입구의 북단, 소밀전자(蘇密甸子) 남쪽 가장자리에 있다. 북쪽으로 평천(平川)이 보이며, 남쪽으로 여러 산들에 이어져있다.
유적개관
성벽유적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겨우 높은 언덕 위에 건축지 1곳이 발견되었다. 유지의 범위도 크지 않아서 약 200평방미터 정도이다.
유물개관
연꽃무늬 와당, 七角星乳釘무늬 건축재료, 구멍이 뚫린 석기
참고문헌
문물지
해설
북토성자고성(北土城子古城)는 소성자북토성(小城子北土城)이라고도 부른다. 소밀성에서 동남쪽으로 3km 떨어져 있다. 소밀성향(蘇密城鄕) 소성자촌(小城子村)에서 북쪽으로 약 200m 떨어져 있다. 북쪽으로 연백(煙白)철로와 80m, 서북쪽으로 휘발하ㆍ신하(新河)와 1,000m, 서쪽으로 소밀하(蘇密河)와 900m 정도 떨어져 있다. 고성은 소밀구(蘇密沟) 북단ㆍ소밀전자(蘇密甸子) 남쪽 가장자리에 있다. 북쪽으로 평천(平川)이 보이며, 남쪽으로 여러 산들에 이어져 있다. 1974년 연백철로 공사를 위한 고고조사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성벽 유적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높은 대지 위에 자리한 건축지 1곳만 발견되었다. 유지 범위도 약 200㎡정도로 크지 않다. 지면에는 깨진 기와 약간과 벽돌 조각이 흩어져 있다. 수습된 연꽃무늬 와당 1점은 고운 진흙으로 빚은 회색 도기[灰泥質細陶]로 지름은 11cm이다. 중간에 꼭지형태의 손잡이가 하나 있으며, 4장의 연꽃잎은 넓고 두툼하면서도 소박하다. 발해 와당의 분위기가 보인다. 이밖에도 잔여 길이는 32cm의 건축재료 1점이 발견되었는데, 대형의 돌기에 7개의 작은 돌기문과 7각형의 별로 이루어져 있다. 구멍 있는 타원형 석기 1점이 있는데, 화강암을 쪼아서 만든 것으로, 긴지름은 25cm, 짧은 지름은 22cm, 두께는 11cm이다. 중간에 구멍이 하나 있다. 출토된 연꽃무늬 와당은 소밀성에서 출토된 와당과 비슷한 것으로 보아, 발해시기의 유적으로 생각된다.
참고 :
吉林省文物志編委會 主編, 1986, 「樺甸縣文物志」, 51~52쪽.
김진광, 2012, 「북국발해탐험」, 박문사, 598~599쪽.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북토성자고성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010_008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