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1) 층위

① 중앙섹터의 층위

중앙섹터 베(Б)-5-엠(М)-5선 남동벽 토층은 다음과 같은 양상을 보인다(도면 389, 391).
 
- 표토와 부식토층 (두께 14~34cm), 경작의 흔적들이 잘 관찰된다.
- 그 아래에는 베(Б)-제(З)-5방안에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두께 10~42cm)이 위치한다. 이 층과 표토-부식토층 사이에 게(Г)-데(Д)-5방안에는 굵은 모래가 섞인 암갈색 사질토층(두께 10~20cm)이, 예(Е)-줴(Ж)-5방안에는 무르고 알록달록한 갈색 사질토층(두께 10~20cm)이 각각 위치한다.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 아래에는 남동벽 거의 전체를 따라 단단한 암갈색 사질토층(두께 6~20cm)이 확인되었다.
- 줴(Ж)-엘(Л)-5방안에는 표토 아래에 무르고 알록달록한 갈색 사질토층(두께 12~27cm)이, 그 아래에는 황갈색의 부드러운 모래층(두께 10~16cm)이 각각 위치한다.
- 엘(Л)-5방안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모래 간층들과 모래가 다량 함유된 사질토 간층들이 두께 10cm까지로 확인되었다.
- 2018년에 제6인공층을 제토하고 난 다음에 단단한 암갈색 사질토층은 두께가 20~22cm로 되었다(베(Б)-예(Е)-5방안). 그 외에도 붸(В)-5방안과 제(З)-이(И)-5방안에서 얇은 모래 간층들이, 줴(Ж)-제(З)-5방안에서 황갈색 사질토층(두께 4~6cm)이 각각 노출되었다. 부드러운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층은 엘(Л)-엠(М)-5방안에서 두께가 28cm가 되었다.
 
중앙섹터 베(Б)-5' - 베(Б)-6'선 북동벽 토층은 북서섹터의 북동벽과 연결된다(도면 390). 베(Б)-5'-베(Б)-5선의 북동벽 토층은 다음과 같은 층위 양상을 보인다(도면 392, 393).
 
- 표토와 부식토(두께 18~24cm).
- 표토와 부식토층 아래에는 북동벽 거의 전체를 따라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알록달록하고 무른 사질토층(두께 5~22cm)이 위치지만 다만 베(Б)-4-5방안에서는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두께 14~40cm)이 확인되었다.
- 베(Б)-5' -4방안에서는 갈색의 알록달록한 사질토층 아래로 두께가 6~24cm인 굵은 모래가 섞인 황갈색의 간층들이 관찰되었다. 베(Б)-4' -1방안에서는 거친 모래와 쇄석이 섞인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두께 18~26cm)이 위치하였다. 이 사질토층은 베(Б)-2' -1방안에서 갈색 사질토층(두께 23cm까지) 아래로 “잠수”를 한다. 베(Б)-1' -4방안에서는 거친 모래가 섞인 암갈색 사질토층이 베(Б)-4방안의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과 만난다.
- 베(Б)-5' -3-방안에는 중간 및 큰 크기의 모래 간층들이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두께 8~22cm) 아래로 작은 황색 모래 얼룩들이 섞인 갈색 사질토층(두께 5~10cm)이 위치한다.
- 베(Б)-2' -베(Б)-3방안에는 황갈색의 알록달록한 석립까지의 다양한 모래 간층, 황갈색의 굵은 모래 간층,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 간층 등이 얇게 그리고 많은 수로 구분된다. 베(Б)-1' -4방안에는 이 간층들 아래로 푸석푸석한 갈색 사질토층(두께 4~16cm)이 위치한다.
- 베(Б)-4-5방안에서 새로운 야외조사 기간에 발견된 가장 아래의 층은 매우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 (두께 4~10cm)인데, 베(Б)-1-3방안에서 암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두께 7~14cm)에 의해 교체된다. 베(Б)-2' -1' 방안에서 가장 아래의 층은 부드러운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층(두께 5~10cm)이다.
- 베(Б)-2-5방안에서는 숯이 드물게 포함된 암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두께 12cm까지)이 확인되었다. 베(Б)-2-5' 방안에서는 황색의 작은 모래 얼룩들이 포함된 갈색 사질토층 (두께 18cm까지)이 노출되었다. 이 층에는 황갈색의 거친 모래들이 렌즈모양의 간층으로 들어 있었다.
 

② 남서섹터의 층위

지난 2017년 발굴조사에서는 남서섹터에서 표토와 부식토층(두께 14~20cm) 그리고 굵은 모래가 섞인 갈색의 알록달록하고 무른 사질토층(두께 10~20cm)이 포함된 두 개의 인공층을 조사하였다. 2018년에는 발굴구역의 이 구간에서 전체 130cm 두께의 퇴적층을 조사하였다.
오(О)-5-떼(Т)-5선 남동벽 토층은 다음과 같은 층위양상을 보인다(도면 394, 396).
 
- 표토와 부식토층, 두께 14~20cm.
- 굵은 모래가 섞인 갈색의 알록달록하고 무른 사질토층 (두께 10~20cm).
-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푸석푸석한 갈색의 사질토층 (두께 12~28cm).
- 오(О)-떼(Т)-5방안에는 암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 (두께 10~28cm).
- 오(О)-에르(Р)-5방안에는 다음과 같은 매우 얇은 간층들(두께 10cm까지)이 층층이 위치한다 :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푸석푸석한 갈색 사질토 간층, 굵은 모래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 간층, 거친 모래와 쇄석이 섞인 단단한 갈색 사질토 간층, 암갈색의 단단한 사질토 간층, 갈색의 부드러운 모래 간층, 작은 크기의 황색 모래 얼룩들이 섞인 갈색 사질토 간층,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 간층, 황갈색의 부드러운 모래 간층,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르고 알록달록한 사질토 간층.
- 에쓰(С)-5-떼(Т)-5방안에는 굵은 모래와 작은 돌들이 섞인 두터운 갈색 사질토층이 두께 8~14cm로 매우 얇아진다. 에쓰(С)-5방안에는 갈색 사질토층(두께 8~18cm)이 암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 (두께 10~24cm)으로 대체된다. 이 층들 아래에는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푸석푸석한 사질토층 (두께 10~12cm)이 위치한다. 그 아래에는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 (두께 12~20cm)이 있다. 이 층은 에쓰(С)-5방안에서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 (두께 16~20cm)을 교체된다. 그 아래의 층은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가 섞인 연갈색 사질토층(두께 12~20cm)이다. 이 층의 아래에는 갈색 사질토층(두께 10~12cm)이 위치한다.
- 떼(Т)-5방안에는 굵은 모래와 작은 돌들이 섞인 갈색 사질
토층 아래에 큰 돌들이 섞인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두께 40cm까지)이 위치한다. 이 돌들은 발굴구역의 남서벽 밖으로 계속되는 석축 구조물의 일부이다.
 
떼(Т)-5'-오(О)-5'선 남서섹터 북서벽 토층은 다음의 층위 양상을 보인다(도면 395, 397).
 
- 표토와 부식토층, 두께 12~24cm.
- 굵은 모래가 섞인 갈색의 알록달록하고 무른 사질토층, 두께 6~12cm.
- 다음의 층들은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수혈구덩이(2호와 3호)들의 내부퇴적토를 반영한다. 2호 수혈구덩이(떼'-5방안)에서는 갈색의 알록달록한 사질토층 아래로 굵은 모래가 섞인 암갈색의 사질토층 (두께 6~12cm)이 위치한다. 2호 수혈구덩이에서 가장 두터운 층은 부식토 얼룩들과 모래들을 포함하는 갈색 사질토층인데 이 층에는 암갈색 및 회갈색 사질토 간층들이 섞여있다.
- 3호 수혈구덩이(에르(Р)-오(О)-5방안)에서는 갈색의 알록달록한 사질토층 아래로 부식토 얼룩들과 모래들이 섞여있는 갈색 사질토층(두께 45cm까지)이 위치하였다. 이 층은 오(О)-5' 방안에서 암회갈색의 사질토층(두께 6~26cm)과 경계한다. 이 층들 아래에는 회색 모래 얼룩들이 섞인 암갈색 사질토층(두께 48cm까지)와 황갈색 모래 간층들이 위치한다.
- 에쓰(С)-5' -에르(Р)-5' 방안에는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르고 알록달록한 사질토층 아래로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층(두께 10~20cm)이 확인되었다. 에르(Р)-5' 방안에는 그 층이 작은 소토들이 많이 들어있는 갈색 사질토층 (두께 10~20cm)과 경계한다. 그 아래에는 굵은 모래와 작은 돌들이 섞인 상당히 두터운 갈색 사질토층(두께 38cm까지)이 있다. 그 아래에는 작은 숯과 소토가 드물게 섞여 있는 갈색 사질토층(두께 20cm까지), 덜 두터운 황갈색의 부드러운 모래,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르고 알록달록한 사질토, 작은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푸석푸석한 사질토, 황갈색의 단단한 사질토 등으로 된 층들과 간층들이 차례로 위치한다. 이 얇은 층들과 3호 수혈구덩이의 내부퇴적토 아래에는 숯이 섞인 회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 (두께 10~12cm)과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가 섞인 회갈색의 사질토층(두께 6~8cm)이 각각 위치한다.
 
오(О)-5'-오(О)-5방안 남서섹터 북동벽 토층은 다음과 같다(도면 398~400, 402).
 
- 표토, 두께 12~20cm.
-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르고 알록달록한 사질토층(두께 20~30cm). 이 층 아래로 오(О)-4' -오(О)-3' 방안에는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이 두께 10~36cm로 위치하며, 그 아래로 오(О)-3' -오(О)-2' 방안에 이 층이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층(두께 14~24cm)으로 교체된다.
- 오(О)-5' 방안에는 갈색의 무르고 알록달록한 사질토층 아래로 3호 수혈구덩이의 토층이 분명하게 관찰된다. 그것은 바로 부식토 얼룩들이 섞인 두께 60~66cm의 암회갈색 사질토층, 황갈색의 굵은 모래 간층, 굵은 모래와 작은 돌들이 섞인 암갈색 사질토 간층, 그리고 부드러운 모래가 섞인 갈색의 사질토 간층이다.
- 오(О)-2-오(О)-4방안에는 거친 모래와 쇄석이 섞인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 아래로 구덩이의 내부퇴적토를 이루는 상대적으로 얇은 층들이 위치한다. 그것은 바로 소토가 포함된 황갈색의 사질토층(두께 10~30cm), 암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두께 10~20cm), 점토덩이와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 그리고 작은 숯들이 섞인 갈색 사질토층(두께 10~20cm),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층(두께 8~10cm)이다. 구덩이 내부퇴적토의 두께는 이 단계 조사에서 약 80cm가 되었지만, 발굴조사가 더 진행되면 더 늘어날 것이다.
- 오(О)-4-오(О)-5방안에는 구덩이의 범위 밖으로 모래와 갈색 사질토의 얇은 층들이 관찰되었다.
- 오(О)-4' -오(О)-1방안에는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과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푸석푸석한 사질토층 아래로 굵은 모래와 작은 돌들이 섞인 갈색 사질토층(두께 10~30cm)이 형성되어 있다. 그 아래에는 갈색의 푸석푸석한 사질토층(두께 10~20cm), 작은 크기 모래가 섞인 갈색의 푸석푸석한 사질토층(두께 8~20cm), 부드러운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층(두께 10~30cm)가 각각 위치한다. 이 모든 층들에는 얇은 모래 간층들이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오(О)-5' -오(О)-3' 방안에는 작은 숯들이 포함된 회갈색 사질토층이 위치한다. 그 아래에는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가 섞인 회갈색 사질토층이 있다.
 
남서섹터 떼(Т)-5-떼(Т)-5'선 토층은 다음과 같은 층위양상을 보인다(도면 401~403).
 
- 표토와 부식토층(두께 10~28cm).
- 굵은 모래가 섞인 갈색의 알록달록하고 무른 사질토층(두께 5~10cm).
- 2호 수혈구덩이(떼(Т)-2' -떼(Т)-5' 방안)의 단면에는 문화층의 두께가 1.2m에 달한다. 표토 아래에는 거친 모래가 섞인 암갈색 사질토층(두께 10~16cm)과 회갈색의 다양한 크기 모래 간층 및 갈색의 알록달록한 모래 간층이 위치한다. 그 아래에는 암회갈색 사질토층(두께 6~10cm)이 있다. 2호 수혈구덩이에서 가장 두터운 층은 부식토 얼룩들이 포함되어 있는 갈색 사질토층이다. 이 층의 경계에서는 작은 크기의 암회갈색 사질토 얼룩들이 다수 확인되었다. 그 아래에는 불탄 물질들과 그을음이 섞여있는 회갈색 사질토 띠(두께 10~20cm)가 위치한다. 떼(Т)-2' -떼(Т)-3' 방안에는 작은 숯들, 소토들 그리고 돌들이 섞여있는 갈색 사질토층(두께 20~30cm)이 위치하고, 떼(Т)-4' 방안에는 그 층이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두께 20~22cm)과 경계한다.
- 떼(Т)-5-떼(Т)-2방안에는 문화층에 돌무지들이 섞여 있는데, 이 돌무지들은 두 개의 그룹으로 구분된다. 두 돌무지 사이에는 암갈색의 단단한 사질토가 위치한다. 큰 돌들 (20×10cm)과 작은 돌들이 포함되어 있는 첫 번째의 돌무지는 표토와 바로 그 아래에서 시작되었다. 돌들의 배치에서 일정한 규칙이 관찰된다. 돌들이 열을 이루고 있는데 3개의 열로 구분이 가능하다. 한 개의 열은 표토와 사질토의 경계에, 두 개의 열은 그 아래의 다양한 크기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층에 각각 위치한다.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층(두께 26cm까지)에 위치하는 위에 있는 열의 길이는 3.3m이고, 거친 모래가 섞인 암갈색 사질토층에 위치하는 아래열은 보다 큰 돌들을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위의 열에 비해 돌들이 보다 산발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열의 길이는 1.8m이다. 이 층의 아래에는 돌이 포함되어 있는 않은 상당히 두터운 암갈색의 단단한 사질토 간층(두께 20~30cm)이 위치한다. 바로 그 아래로 황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과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에는 두 번째의 돌무지가 노출되었다. 이 돌무지는 건축물의 기초일 가능성이 있는 훼손된 적석의 잔재와 닮았고 그리고 두 개의 돌 그룹으로 이루어져 있다. 떼(Т)-5방안에는 큰 돌들이 몇 개의 열을 이루고 있는데 전체 두께가 60~70cm이다. 첫 번째 그룹에서 50cm의 거리에는 큰 돌들(15×20cm)과 작은 돌들(5×10cm)로 이루어진 두 번째 그룹이 위치한다.
- 떼(Т)-2' -떼(Т)-1방안에는 표토와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르고 알록달록한 사질토층 아래에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두께 10~24cm), 갈색의 다양한 크기 모래 간층,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 간층, 그리고 작은 크기의 황색 모래 얼룩들이 섞인 갈색 사질토 간층이 위치한다. 이 간층들의 두께는 10cm까지이다.
- 이 층들의 아래에는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 (두께 16~40cm)과 부드러운 모래와 작은 숯들이 섞인 갈색 사질토층(두께 20~30cm)이 있다. 그 아래에는 거친 모래와 작은 숯들이 섞인 갈색 사질토층이 위치한다. 가장 아래의 층은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으로서 두께가 16~26cm이다.
 

③ 북서섹터의 층위

엠(М)-6'-10'선 남서벽 토층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도면 404, 405).
 
- 표토와 부식토층, 두께 13~20cm.
-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르고 알록달록한 사질토층, 두께16~20cm. 이 사질토층은 엠(М)-10' 방안에서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푸석푸석한 사질토층(두께 20cm까지)으로 교체된다.
- 갈색 사질토층, 두께 10~20cm.
- 갈색의 무르고 알록달록한 사질토층과의 경계가 있는 엠(М)-9' 방안에는 크기가 38×12cm인 크고 장방형인 돌이 있다. 엠(М)-6' 방안에는 작은 구간들에 걸쳐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과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층이 노출되었다.
 
베(Б)-10'-6'선 북서벽 토층은 다음과 같은 층위양상을 보인다(도면 406, 407).
 
- 표토와 부식토층, 두께 13~20cm.
-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르고 알록달록한 사질토층, 두께 8~28cm.
- 그 아래의 층은 북서벽의 거의 전 구간에 걸쳐 위치하는데 중간 및 큰 크기의 모래 간층들이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 (두께 10cm까지)이다. 이곳에는 크기가 10×6cm인 크지 않은 자갈들이 섞여 있었다. 베(Б)-10' 방안에는 갈색 사질토층으로 된 작은 구간이 노출되었다.
- 베(Б)-줴(Ж)-6선을 따라 확장조사가 이루어진 베(Б)-6' 방안에는 중간 및 큰 크기의 모래 간층들이 포함되어 있는 무른 사질토층 아래로 황색의 작은 크기 모래 얼룩들이 섞여있는 갈색 사질토층 (두께 10cm)과 회갈색 사질토층 (두께 4cm)이 위치하였다.
 
북서섹터 엠(М)-베(Б)-10'선 북서벽 토층은 다음과 같다(도면 408, 409).
 
- 표토, 두께 16~28cm.
- 엠(М)-까(К)-10' 방안에는 표토와 부식토 아래에서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푸석푸석한 사질토층 (두께 14~22cm)이 노출되었다. 이 층은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르고 알록달록한 사질토층 (두께 10~18cm)에 의해 대체된다.
- 엠(М)-엘(Л)-10' 방안에는 암갈색 사질토층(두께 24cm까지)의 형태를 한 구덩이의 단면이 확인되었다. 이 구덩이 아래로 엠(М)-10' 방안에는 갈색의 푸석푸석한 사질토층(두께 10~14cm)이, 까(К)-10' 방안에는 암갈색의 푸석푸석한 사질토층 (두께 10~18cm)이 각각 위치한다. 남서벽으로는 갈색 사질토층이 계속 이어진다.
- 까(К)-데(Д)-10' 방안에는 그 아래에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이 두께 12~22cm로 위치한다. 데(Д)-10' 방안에는 짙은 색의 얼룩들이 섞여 있는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이 노출되었다. 이 층은 중간 및 큰 크기의 모래 간층들이 포함된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과 경계한다. 붸(В)-베(Б)-10' 방안에는이 두 층의 경계를 따라 다량의 토기편들이 발견되었다.
 

④ 남동섹터의 층위

베(Б)-엠(М)-11선 남동벽 토층은 다음과 같은 층위양상을 보인다(도면 410, 411).
 
- 붸(В)-줴(Ж)-11방안에는 과거 발굴시 파낸 흙을 쌓은 것이 두께 30cm까지 남아 있었다. 그 아래는 남동벽 전체를 따라 표토가 두께 18~22cm로 형성되어 있다.
- 표토 아래로 베(Б)-엘(Л)-11방안에는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르고 알록달록한 사질토층이 두께 10cm부터(베(Б)-게(Г)-11방안) 38cm까지 (데 (Д)-11방안) 위치한다.
- 베(Б)-11방안에는 북동벽으로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두께 16~20cm)과 그 아래의 작은 모래가 섞인 갈색의 푸석푸석한 사질토층 (두께 10cm)이 이어지고 있다.
- 엘(Л)-엠(М)-11방안에는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르고 푸석푸석한 사질토층이 갈색의 푸석푸석한 사질토층(두께 20~25cm)에 의해 대체된다. 그 아래로 이(И)-엠(М)-11방안에는 갈색의 다양한 크기 모래층(두께 4~12cm)이 위치한다. 예(Е)-줴(Ж)-11방안 (황갈색의 굵고 무른 모래)과 게(Г)-예(Е)-11방안 (황갈색의 굵은 모래)에서는 색깔과 크기가 다양한 두께 10cm까지의 렌즈 모양의 간층들이 확인되었다.
- 가장 아래의 토층은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이다.
 
엠(М)-베(Б)-7선 북서벽 토층은 다음과 같은 층위양상을 보인다(도면 412, 413).
 
- 표토와 부식토층, 두께 14~32cm.
- 표토 아래로 북서벽 전체를 따라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르고 알록달록한 사질토층이 위치한다.
- 이(И)-예(Е)-7방안에는 갈색의 다양한 크기 모래층이 두께 20~32cm로 확인되었다. 그 아래에는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사질토층이 두텁게 위치한다. 이 층은 윗 건축면의 유구들과 관련이 있고 두께는 20~32cm이다.
- 엠(М)-까 (К)-7방안에는 황갈색 모래층 (두께 4~8cm),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 (두께 4~8cm),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층 (두께 10cm까지, 갈색의 다양한 크기 모래층 (두께 4~8cm)이 얇게 차례로 놓여 있다.
- 게(Г)-베(Б)-7방안에는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르고 알록달록한 사질토층 아래로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 (두께 10~16cm)이 위치한다. 베(Б)-7방안에는 갈색의 매우 단단한 사질토층(두께 12~20cm)이 노출되었다. 그 아래에는 작은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푸석푸석한 사질토층(두께 8~10cm)이 위치한다.
 
베(Б)-7-11선 북동벽 토층은 다음의 층위양상을 보인다(도면 414, 415).
 
- 표토와 부식토층, 두께 20~26cm.
- 베(Б)-7방안에는 표토에서 바로 시작된 구덩이의 단면이 확인되었다. 그 구덩이의 내부퇴적토는 부식 사질토이고, 구덩이의 깊이는 72cm 이상이다.
- 표토와 부식토층 아래로는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르고 알록달록한 사질토층이 두께 10~16cm로 형성되어 있다.
- 그 아래로 베(Б)-8방안에는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 (두께 10~16cm)이 위치하는데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 (두께 14~32cm)과 경계한다. 이 사질토층에는 베(Б)-11방안에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푸석푸석한 사질토 간층 (두께 10~12cm)이 들어 있다.
- 베(Б)-8-9방안에서 가장 아래의 층은 매우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 (두께 10~30cm)이다.
 
엠(М)-11-7선 북서벽 토층은 다음의 층위양상을 보인다(도면 416, 417).
 
- 표토와 부식토층, 두께 16~22cm.
- 그 아래에는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르고 알록달록한 사질토층 (두게 16~30cm)이 위치한다. 이 층은 엠(М)-10방안에서 갈색의 푸석푸석한 사질토층 (두께 14~22cm)과 경계한다.
- 그 아래에는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 (두께 10~20cm)이 갈색의 다양한 크기 모래 간층들과 함께 위치한다.
- 가장 아래의 층은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층인데 엠 (М)-10-엠 (М)-7방안에 위치한다.
 
문화층에 대한 조사는 각각의 섹터에서 인공층 단위로 진행하였다. 인공층의 두께는 평균 10~15cm로 하였지만, 후대의 수혈구덩이들에 의해 문화층이 심하게 파괴된 남서섹터에서는 인공층의 두께를 15~20cm로 하였다.
2018년도 발굴조사에서 제53구역의 남서섹터에서는 8개의 인공층을, 중앙섹터에서는 1개의 인공층을, 북서섹터에서는 3개의 인공층을, 남동섹터에서는 4개의 인공층을 각각 조사하였다.
2018년도의 발굴조사는 제53구역에서의 윗건축면 층위에 대한 우리의 정보를 보완할 수 있었고 그리고 아래에 위치하는 문화층들의 성격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현재 확인된 문화층의 두께는 중앙섹터가 0.8~0.9m, 북서섹터가 0.5~0.6m, 남동섹터가 0.7~0.9m, 남서섹터가 1.4~1.6m이다.
발굴조사가 된 구간들에서 전체적인 층위양상은 다음과 같다(도면 388).
 
1. 표토와 부식토층 (두께 12~22cm).
2. 거친 모래가 섞인 갈색의 알록달록하고 무른 사질토층 (두께 16~26cm).
3.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 (두께 38cm까지).
4. 황갈색의 거친 모래층 (두께 10~24cm).
5. 암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 (두께 30cm까지).
6. 황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 (두께 20~40cm).
7.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 (두께 20~36cm).
8. 갈색 사질토층 (두께 10cm까지).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1) 층위 자료번호 : kr.d_0015_0030_004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