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근세 한일관계 사료집

대마주(對馬州) 습유(拾遺) 평의성(平義成)이 조선에 전달한 서한의 필사본

○ 위의 일문(和文)은 쓰시마에서 린세이도(璘西堂)가 작성했다. 도보 사자에몬(唐坊佐左衛門)주 001
각주 001)
도보 사자에몬(平智友)은 12월에 부산의 왜관에 도착하여, 조선이 야나가와 시게오키에게 부여한 송사(送使)의 도장 및 의관(衣冠), 이테이안(以酊菴)과 류호인(流芳院)의 도장 등을 반환했다. 『邊例集要』권1, 별차왜, 을해(1635), 12월조.
닫기
을 사자로 보내 조선에 전달한 서한의 필사본.

일본국 대마주(對馬州)의 태수(太守) 습유(拾遺)주 002
각주 002)
습유(拾遺) :조선 전기 문하부(門下府)에 속한 정6품 낭사(郎舍) 벼슬로, 태종(太宗) 원년(1401)에 낭사를 사간원(司諫院)으로 독립시킬 때 정언(正言)으로 고쳤다.
닫기
평의성(平義成)이 조선국 예조(禮曹) 대인께 글을 올립니다. 날씨가 추워졌습니다. 삼가 생각건대 때마침 이렇게 어지럽고 절박한 일을 만났습니다. 올해 야나가와 시게오키가 간사한 아첨을 하고 분수를 지키지 못하여 귀국과 교류하는 가운데 농단을 부리고 에도(江戶)에서 허황된 소문을 내었습니다. 그래서 지난 겨울 이후 상례적으로 보내던 사신이 미루어졌으니, 어찌 의심스러움을 숨기겠습니까. 3월 11일 쇼군께서 판결을 내리시어 시비가 가려져 시게오키를 먼 동쪽으로 쫒아내고, 겐포(玄方) 장로(長老)와 소 사누키(宗讚岐), 겐코(玄昊) 수좌(首座) 등 또한 죄과에 의해 유배에 처해졌습니다. 시마카와 다쿠미(島川內匠)와 시게오키의 집사 마쓰오 시치에몬(松尾七右衛門)은 엄히 사형에 처해졌습니다. 지금 역관(譯官)과 마상재 군관이 건너와 이것을주 003
각주 003)
잇켄의 판결이 내려져 관계자들이 처벌을 받은 사실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닫기
볼 수 있게 되었다는 사정을 드디어 첨관(僉官)으로부터 들으니 참으로 기쁩니다. 우리 대군(大君)주 004
각주 004)
쇼군.
닫기
의 올바른 판결이셨습니다. 어찌 오래도록 기뻐하지 않겠습니까. 우리 섬도 다시 평온해져 삼가 가슴이 벅차오르니 어찌 즐거워하기를 꺼려하겠습니까. 가만히 생각하고 거듭 생각하여 몸소 귀국이 더욱 성신(誠信)을 다해준 것에 보답하겠습니다. 어서 송사(送使)를 보내고 싶지만 먼저 평지우(平智友)주 005
각주 005)
도보 사자에몬(唐坊佐左衛門).
닫기
의 배편에 보내어 그 마음에 일단 보답하고자 하며, 더욱 도리를 밝히고 지켜가겠습니다. 이만 줄이겠습니다.
용집(龍輯)주 006
각주 006)
용집(龍輯)은 연차(年次), 세시(歲時)라는 의미로, 연호와 간지(干支) 사이에 넣어서 쓰기도 한다.
닫기
을해년(乙亥年) 11월 모일
대마주 태수 습유 평의성(平義成)

  • 각주 001)
    도보 사자에몬(平智友)은 12월에 부산의 왜관에 도착하여, 조선이 야나가와 시게오키에게 부여한 송사(送使)의 도장 및 의관(衣冠), 이테이안(以酊菴)과 류호인(流芳院)의 도장 등을 반환했다. 『邊例集要』권1, 별차왜, 을해(1635), 12월조. 바로가기
  • 각주 002)
    습유(拾遺) :조선 전기 문하부(門下府)에 속한 정6품 낭사(郎舍) 벼슬로, 태종(太宗) 원년(1401)에 낭사를 사간원(司諫院)으로 독립시킬 때 정언(正言)으로 고쳤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잇켄의 판결이 내려져 관계자들이 처벌을 받은 사실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바로가기
  • 각주 004)
    쇼군. 바로가기
  • 각주 005)
    도보 사자에몬(唐坊佐左衛門). 바로가기
  • 각주 006)
    용집(龍輯)은 연차(年次), 세시(歲時)라는 의미로, 연호와 간지(干支) 사이에 넣어서 쓰기도 한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대마주(對馬州) 습유(拾遺) 평의성(平義成)이 조선에 전달한 서한의 필사본 자료번호 : kn.k_0001_0020_0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