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2. 2015년도 발굴조사 결과에 의한 크라스키노 성에서의 고식물학 조사

  • 저필자
    S.V. 바쉬딴니끄
No시료 채취 지점내용사진
1К-2015, 제47구역, 섹터 2, 제12인공층, 베(Б), 붸(В)-12, 13방안 얼룩, 부드러운 토양특정 가능 결정체 미확인
시료 모습
2К-2015, 제44구역, 제17인공층, 게′(Г′)-23방안, 재구덩이특정 가능 결정체 미확인
시료 모습
3К-2015, 제50구역, 섹터 1, 수혈 No.1 내부퇴적토 아래 부분, 부드러운 토양, 7л특정 가능 결정체 미확인
시료 모습
4К-2015, 제47구역, 섹터 2, 제12인공층, 베(Б), 붸(В)-12, 13방안기장 알들로 된 눌러 붙은 기공이 많은 탄화 편들이 발견, 개별 낱알들은 열작용으로 인해 심하게 훼손되어 종 특정이 어려움. 결론: 이 시료에는 불에 탄 기장 죽(밀 죽)이 포함됨
시료 모습
불에 눌러 붙은 모습
탄화된 기장 알들
5К-2015, 제50구역, 수혈1 내부퇴적토 아래 부분, 부드러운 토양, 7л특정 가능 결정체 미확인
시료 모습
6К-2015, 제50구역, 섹터 1, 수혈1 내부퇴적토 아래 부분, 부드러운 토양, 7л특정 가능 결정체 미확인
시료 모습
7К-2015, 제47구역, 섹터 2, 구덩이2, 붸(В)-18방안, 부드러운 토양밀(Triticumaes tivum)-크기 3×1.5×1.5mm 한 알
시료 모습
낱알 배 부분
낱알 등 부분
8К-2015, 제44구역, 아(А)-5방안, 재구덩이, 5л콩과식물 반쪽 편
시료 모습
특정이 안 된 콩과식물 반쪽 편
9К-2015, 제44구역, 아′(А′)-2방안, 재구덩이, 8л2개의 반쪽으로 나뉜 콩 씨앗, 길이 3.5mm
시료 모습
콩 반쪽들
10К-2015, 제44구역, 아′(А′)-26방안, 재구덩이, 8л콩, 1개, 5×3×2mm
시료 모습
콩 씨앗
11К-2015, 제44구역, 베′(Б′)-26방안, 재구덩이, 2ур., 7,5л특정 가능 결정체 미확인
시료 모습
12К-2015, 제44구역, 아′(А′)-23방안, 재구덩이 12, 7л콩, 1개, 6×4×4mm, 고온에 의해 변형됨. 콩 껍질은 균열이 가거나 혹은 일부 결실됨. 시료에 연체동물 껍질 편들도 존재
시료 모습
콩 씨앗
13К-2015, 제44구역, 아′(А′)-24방안, 재구덩이, 8л특정 가능 결정체 미확인
시료 모습
14К-2015, 제44구역, 아′(А′)-26방안, 재구덩이, 8л콩, 작은 씨앗 반쪽 1개, 직경 2.5mm
시료 모습
콩 반쪽
15Кр-2015, 제44구역, 아′(А′)-23방안, 재구덩이, 8л콩, 1개, 10×5×4mm, 고온에 의해 변형됨. 콩 껍질은 균열이 가거나 혹은 일부 결실됨
시료 모습
콩 씨앗
16К-2015, 제44구역, 베′(Б′)-23, 24방안, 아′(А′)-23방안, 재구덩이, 8л특정 가능 결정체 미확인
시료 모습
17К-2015, 제44구역, 아′(А′)-26방안, 재구덩이, 6л특정 가능 결정체 미확인
시료 모습
18К-2015, 제47구역, 섹터 2, 붸(В)-18방안, 구덩이 2기장(?) 알들로 된 눌러 붙은 기공이 많은 탄화 편들이 3개 발견. 개별 낱알들은 열작용으로 인해 심하게 훼손되어 종 특정이 어려움. 결론: 이 시료에는 불에 탄 기장 죽(밀 죽)이 포함됨
시료 모습
불에 눌러 붙은 죽
19К-2015, 제47구역, 섹터 2, 제12인공층, 베(Б), 붸(В)-12, 13방안 얼룩기장(?) 알들로 된 눌러 붙은 기공이 많은 탄화 편들(작거나 중간 크기, 사진 위 오른쪽 모서리)이 발견. 개별 낱알들은 열작용으로 인해 심하게 훼손되어 종 특정이 어려움. 결론: 이 시료에는 불에 탄 기장 죽(밀 죽)이 포함됨
시료 모습
20К-2015, 제44구역, 아′(А′)-25, 26방안, 재구덩이, 7л특정 가능 결정체 미확인
시료 모습
21К-2015, 제44구역, 베′(Б′)-23방안, 재구덩이, 7л콩, 2개, 5×3×2.5mm, 고온에 의해 변형됨. 콩 껍질은 균열이 가거나 혹은 일부 결실됨
시료 모습
콩 씨앗
22섹터 2, 제12인공층, 베(Б), 붸(В)-12,13방안잣 껍데기 편. 특정이 안 된 콩과식물, 3×2×1.7mm
시료 모습
잣 껍데기 편
특정이 안 된 콩과식물
특정이 안 된 콩과식물
23К-2015, 제44구역, 베′(Б′)-23방안, 재구덩이, 8л1. 기장(?) 알들로 된 눌러 붙은 기공이 많은 탄화 편들(작거나 중간 크기, 사진 위 오른쪽 모서리)이 발견. 개별 낱알들은 열작용으로 인해 심하게 훼손되어 종 특정이 어려움. 결론: 이 시료에는 불에 탄 기장 죽(밀 죽)이 포함됨, 2. 탄화된 개암 껍데기 편, 3. 조금 거슬린 잣 껍데기 편
시료 모습
불에 눌러 붙은 죽
탄화된 개암 껍데기 편(위), 조금 거슬린 잣 껍데기 편(아래)
24К-2015, 제44구역, 아′(А′)-26방안, 재구덩이, 2ур., 8л1. 나도닭의 덩굴, 씨앗 2개, 크기 3×3mm, 2.5×2mm. 메밀 씨앗들, 2. 마디풀과, 씨앗 1개, 2×2mm, 3. 심각한 훼손으로 인한 특정 불가 메밀과 씨앗-1개, 4. 십자화과(Brassicaceae) 씨앗, 갓 가능-씨앗 2개, 직경 1mm, 5. 야생 콩과식물의 탄화 꼬투리 10×3mm-1개, 6. 대두, 탄화 씨앗 및 떡잎, 5~6×3~4×3mm-11개
시료 모습
시료 모습
메밀 씨앗
야생 콩과 식물의 탄화 꼬투리
25К-2015, 제50구역, 수혈1 내부퇴적토 아래 부분특정 가능 결정체 미확인. 연체동물 껍질편 존재
시료 모습
26К-2015, 제44구역, 재구덩이, ур.2, 아′(А′)-26방안, 8л1. 콤팍툰 밀(Triticumcompactum) 3×2.5×2.5mm - 낱알 1개(이와 같은 불균형은 덜 익은 보통 밀(Triticumaestivum)알의 급속한 가열의 결과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2. 대두 - 1개 3×3×1.8mm, 3. 십자화과(Brassicaceae) 갓(Brassicajuncea) - 1개
시료 모습
1. 콤팍툰 밀 - 위, 2. 십자화과 씨앗 1개, 갓 가능 - 위 왼쪽, 3. 대두 - 아래
27К-2015, 제47구역, 섹터 2, 제12인공층, 베(Б), 붸(В)-12, 13방안 얼룩기장(?) 알들로 된 눌러 붙은 기공이 많은 탄화 편들이 발견, 개별 낱알들은 열작용으로 인해 심하게 훼손되어 종 특정이 어려움→결론: 이 시료에는 불에 탄 기장 죽(밀 죽)이 포함됨
시료 모습
불에 눌러 붙은 밀 죽
28К-2015, 제47구역, 섹터 2, 제12인공층, 베(Б), 붸(В)-12, 13방안 얼룩기장(?) 알들로 된 눌러 붙은 기공이 많은 탄화 편들이 발견, 개별 낱알들은 열작용으로 인해 심하게 훼손되어 종 특정이 어려움→결론: 이 시료에는 불에 탄 기장 죽(밀 죽)이 포함됨.
시료 모습
불에 눌러 붙은 밀 죽
29К-2015, 제44구역, 제17인공층, 재구덩이, 게′(Г′)-23방안특정 가능 결정체 미확인
시료 모습
30К-2015, 제47구역, 섹터 2, 제12인공층, 베(Б), 붸(В)-12, 13방안 얼룩기장(?) 알들로 된 눌러 붙은 기공이 많은 탄화 편들이 발견→결론: 이 시료에는 불에 탄 기장 죽(밀 죽)이 포함됨
시료 모습
31К-2015, 제47구역, 섹터 2, 제12인공층, 7л특정 가능 결정체 미확인
시료 모습
32К-2015, 제47구역, 섹터 2, 구덩이 2, 붸(В)-18방안특정 가능 결정체 미확인
시료 모습
33К-2015, 제47구역, 섹터 6, 제6인공층, 게(Г)-43방안, 7л특정 가능 결정체 미확인
시료 모습
34Кр-2015, 제44구역, 재구덩이, 2 уровень, 아′(А′)-26방안, 8л대두 - 22의 낱알과 반쪽, 크기 3×3×1.8mm부터 7×6×4mm까지
시료 모습
대두
35К-2015, 제44구역, 재구덩이, 아(А)-25방안, 6л특정 가능 결정체 미확인
시료 모습
36К-2015, 재구덩이, 아(А)-25방안, 6л대두, 3개, 크기 3~6×3~4.5×1.8~2.5mm
시료 모습
대두
 
2015년도 크라스키노 성의 문화층에서 채취한 36개의 물체질한 시료에 대한 고식물학적 분석은 다음과 같은 식물 종의 존재를 밝힐 수 있게 하였다.
 
1. 밀(Triticumaestivum): 낱알 1개. 크라스키노 성 이외에도 연해주에서는 10개의 다른 중세 유적에서 확인된 바 있다(세르구쉐바, 2010: 154, 표 1).
2. 콤팍툰 밀(Triticumcompactum): 낱알 1개. 연해주의 다른 중세 유적들 중에서는 동하국의 이즈베스뜨고바야 소쁘까 성과 노보네쥐노 성에서 확인된 바 있다(세르구쉐바, 2010: 154, 표 1).
3. 대두(Glycinemax): 45개의 낱알과 반쪽. 씨앗 중의 일부는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콩 껍질과 콩눈이 확인되는데 종 특정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많은 씨앗들은 빠르고 급격한 온도작용의 결과 심하게 훼손되었다. 콩에는 기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탄화 도중에 “끓어오르며” 그 결과 콩낱알의 내부가 파괴되고, 그리고 종 특정에 중요한 형태적 속성들이 흔히 상실된다. 발견된 결정체들 중에서 시료에서 확인된 다른 종들에 비해 콩이 수적으로 가장 많다. 이전 크라스키노 성의 고식물학적 연구 결과들도 콩이 우세하였음을 증명한다. 콩은 제20구역(2002년)의 시료들에서 157개의 낱알이 발견되었고 그리고 제39구역(226개의 변형된 및 온전한 낱알들)에서도 발견되었다(세르구쉐바, 겔만, 2014b: 128~141). 콩은 연해주 남부지역의 다른 중세 초기 유적들에서도 채취한 시료들에서도 확인된 바 있다(세르구쉐바, 2010: 154, 표 1; 세르구쉐바, 겔만, 2014a: 121, 표 10).
4. 잣(Pinus Koraiensis): 잣 껍데기 2개 편. 이 잣의 기본 서식지는 연해주, 아무르 강 유역 및 인접하는 중국 동북지역이다. 한반도, 일본 혼슈 섬들의 산들에서도 자란다. 값진 견과류 나무인데 평균 수확양은 1헥타르 당 50kg이며, 최대 수확양은 1헥타르 당 500kg이고, 기름 산출양은 14%이다.
5. 개암(Corylus): 껍데기 2개 편. 크라스키노 성 이외에도 연해주에서는 이전에 5곳의 중세 유적에서 확인된 바 있다(세르구쉐바, 2010: 154, 표 1).
6. 나도닭의 덩굴(Fallopia Convolvulus): 씨앗 2개. 훼손된 거주 지역, 들판과 길의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경작지에서는 잡초이다.
7. 마디풀(P. Patulum Bieb): 씨앗 1개. 훼손된 거주 지역, 들판과 길의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경작지에서는 잡초이다.
8. 십자화과(Brassicaceae): 씨앗 2개. 갓(Brassicajuncea)일 가능성도 있다. 양배추(Brassica) 종에는 양배추, 겨자, 순무, 무 등등 수많은 재배작물이 해당된다. 그 씨앗들은 형태적 차이가 크지 않아 종류 특정이 어렵다.
9. 기장: 다수의 불에 눌러 붙은 기장(밀) 죽의 형태로 발견되었다.
10. 특정이 안 된 콩과식물의 씨앗들(2개), 꼬투리(1개), 그리고 편들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2. 2015년도 발굴조사 결과에 의한 크라스키노 성에서의 고식물학 조사 자료번호 : kr.d_0013_005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