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1) 제2건축면

제47구역에서 섹터 2와 이웃하는 섹터 3에서는 다양한 입자의 모래가 섞인 회갈색 사질토층으로 된 돌 포장도로가 제2건축면에 속하는데, 이 돌 포장도로는 제4, 5, 6인공층에 해당된다(도면 263). 섹터 2에서는 제5, 6, 7인공층과 섹터 2의 북서쪽 부분에서 정리 조사된 25호 주거지의 잔재가 제2건축면에 해당된다.
2015년도의 발굴조사는 현장 보존 조치 제거와 정리를 통해 시작되었으며(도면 272), 그 다음에는 제5인공층을 두께 7~10cm로 제토 조사하였다(도면 273, 274). 발굴구역의 북서쪽과 남동쪽 부분의 레벨 차이는 20~45cm였다. 발굴구역의 북서쪽 부분에는 아(А), 베(Б)-12, 13 방안과 베(Б), 붸(В)-14, 15방안에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 얼룩들이 포함된 갈색 사질토가 우세하다. 아(А), 베(Б)-12, 13방안의 무른 갈색 사질토는 거친 입자의 모래로 가득 차 있었고 그리고 갈색 사질토층에서 분명한 경계를 가지고 있었다. 아마도 이것은 땅에 묻힌 구덩이의 흔적일 것이다. 발굴구역에 포함된 이 유구의 크기는 1×1.7m이다. 베(Б), 붸(В)-14, 15방안의 얼룩은 부정형이며 크기는 1.6×0.8m이다. 섹터의 북동벽으로는 거친 입자의 모래와 깨진 잔돌이 섞인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 얼룩이 이어진다. 이 얼룩은 크기가 3.5×1m이다. 남서벽을 따라서는 다양한 입자의 모래와 석립이 포함된 명갈색 사질토층(2.6×0.4m)(게-14, 15방안), 다양한 입자의 모래가 섞인 부드러운 갈색 사질토층(0.5×0.5m)(게(Г)-16방안), 그리고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층(2.1×0.5m)(게(Г)-15-17방안)이 각각 확인되었다. 다양한 입자의 모래가 섞인 부드러운 갈색 사질토 얼룩(게(Г)-14, 15방안)에서는 크기가 6×8cm부터 10×20cm까지의 돌들이 수 개 노출 정리되었다. 게(Г)-17방안에서는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 얼룩과 나란히 옹 형태의 대형 토기가 깨어진 채로 발견되었다(도면 275). 이 얼룩의 동쪽 가장자리 부분에서는 무른 갈색 사질토로 된 또 하나의 얼룩이 위치하였는데 토기편이 많이 섞여 있었다. 토기편은 섹터의 중앙 부분인 베(Б), 붸(В)-16, 17방안과 붸(В), 게(Г)-12-13방안, 그리고 25호 주거지 구들 잔재 부근에서 특히 많이 발견되었다. 이 구들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검토할 것이다. 붸(В)-17방안에서는 대형의 기벽이 두꺼운 토기 1개체에서 떨어져 나온 토기편들이 발견되었다(도면 276).
섹터의 남동쪽 부분에서는 다양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부드러운 사질토가 우세하였다. 이 레벨에는 2011년도에 조사를 한 18호 주거지의 쪽구들과 다양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층에 포함되어 있던 돌들을 임시로 남겨 놓았었다(도면 277, 278). 이것은 돌 열들이 어디까지 계속되는지 보기 위해 남긴 것이었다. 구들 잔재들의 부근에서는 큰 돌들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우리는 레벨 차이가 50cm나 있어도 모든 돌들이 하나의 단일 시기 건축물이었음을 확신하게 되었다.
제5인공층을 제토 조사할 때에 여러 점의 금속 유물이 출토되었다. 주철제 솥의 기벽편(No. 1, 베(Б)-19방안, 레벨 -246cm)(도면 279), 자그마한 철제 판의 편(No. 2, 게(Г)-19방안, 레벨 -238cm), 철제 칼편(No. 3, 붸(В)-18방안, 레벨 -231cm)(도면 280~282). 그 외에도 20점의 놀이 알이 발견되었는데 토기 기벽으로 만든 것들(아(А)-12방안, 베(Б)-16, 17, 18방안, 붸(В)-15, 18, 20방안, 게(Г)-16, 17방안), 기와로 만든 것들(베(Б)-17방안, 붸(В)-15방안, 게(Г)-19방안), 그리고 돌로 만든 것들(아(А)-13방안)이 있었다(도면 283, 284).
제5인공층에서 출토된 토제 유물로는 윤제 토기의 편들과 여러 점의 기와편이 있었다(586점 혹은 13.35kg)(도면 275, 276, 285~300).
다음의 제6인공층은 깊이 5~7cm로 제토 조사하였다(도면 301). 이 때 섹터 남동쪽과 북서쪽 부분의 레벨 차이는 30cm까지 계속 남아 있었다(도면 302~304). 제6인공층을 조사할 때에 25호 주거지 구들의 동쪽 부분 베(Б), 붸(В)-12, 13방안에 위치하는 작은 돌들을 제거하였는데 이 돌들은 원래는 구조물의 일부였다가 나중에 처음 위치를 벗어난 것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 돌들의 크기는 5×8cm부터 10×15cm까지였다(레벨 -222/ 230cm). 아(А)-12, 13방안의 큰 사질토 얼룩은 계속해서 윤곽을 유지하였지만 모래가 보다 더 많아졌다. 이 얼룩의 윗부분에 사질토가 우세하였다면 아래 부분에는 황갈색의 입자가 굵은 모래로 바뀌었다.
베(Б)-12방안에서는 1호 구덩이가 발견되었다. 이 구덩이는 크기가 0.7×0.6m이고, 발굴구역의 북동벽으로 이어졌다. 구덩이의 내부퇴적토는 암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인데 숯이 개별적으로 섞여 있었다(도면 305, 306).
발굴구역 북서쪽 부분의 기본 토층은 갈색 사질토였다. 이 갈색 사질토는 게(Г)-13-15방안과 붸(В)-15-16방안에서 다양한 입자의 황갈색 모래 띠에 의해 석립이 섞인 다양한 입자의 모래를 포함하는 명갈색 사질토와 구분되고 있다. 모래 띠의 너비는 20~40cm, 길이는 약 5m이다. 게(Г)-13방안에서 이 띠는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꾸며, 베(Б)-17방안에서는 남서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이 레벨에서 발굴구역의 북동쪽 부분과 남서쪽 부분 사이의 토층이 분명하게 구분되기 시작한다. 아(А)-게(Г)-16선부터 시작하여 남서쪽 부분은 모래흙에 보다 더 가까웠는데, 많은 곳에서 모래 간층들, 다양한 입자의 황갈색 모래들(붸(В)-게(Г)-19방안, 베(Б)-붸(В)-19방안, 아(А)-베(Б)-18방안), 작은 입자의 갈색 모래들(붸(В)-게(Г)-17-18방안) 등이 발견되었다. 바로 이 일대에서 다양한 사질토 얼룩들도 확인되었다. 붸(В)-게(Г)-16방안에서는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른 알록달록한 사질토 얼룩(크기 0.8×0.4m)이, 게(Г)-16-17방안에서는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 얼룩(크기 0.6×0.6m)이, 베(Б)-붸(В)-18-20방안에서는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단단한 넓은 사질토 얼룩(2.9×0.8m)이 각각 발견되었다. 아(А)-베(Б)-18-20방안에서는 갈색의 사질점토 띠에서 18호 주거지 구들 석열의 아래 부분(레벨 -243/-269cm)이 노출되었다(도면 307). 갈색 사질점토 띠는 크기가 길이 2m, 너비 0.4m이고, 돌들의 크기는 10×5cm부터 20×10cm까지였다. 다양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부드러운 사질토 얼룩(붸(В)-게(Г)-19-20방안), 다양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 얼룩(베(Б), 붸(В)-20방안),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무른 갈색 사질토 얼룩(아(А)-19-20방안)은 모두 섹터의 남동벽 밖으로 이어진다.
붸(В)-17, 18방안에서는 2호 구덩이가 노출되었다(도면 303, 308). 이 구덩이의 내부퇴적토는 회색 얼룩들, 개별적인 숯들, 소토들, 그리고 작은 동물 뼈들이 섞인 갈색 사질토였다(도면 309). 그 외에도 직경 15cm의 렌즈 간층 형태를 한 재무지도 발견되었다(도면 310, 311). 이 재무지 구덩이의 깊이는 10cm이다(도면 312).
굵은 입자의 모래와 잔돌이 섞인 갈색 사질토층(5.2×1m)은 아(А)-15-20방안에서 섹터의 북동벽 밖으로 이어진다. 발굴구역의 남동쪽 부분에서는 이 레벨에서 흩어진 토기편들, 동물 뼈들, 잔숯들 등의 다양한 생활 폐기물 무지가 관찰되었다(도면 313). 개별 유물로는 한자 명문이 있는 토기편(No. 4, 붸(В)-20방안, 레벨 -252cm)(도면 314~316)과 철제 판(No. 6, 게(Г)-18방안, 레벨 -251cm)(도면 317, 318)이 출토되었다.
그 외에도 14점의 놀이 알이 발견되었는데 토기 기벽으로 만들어진 것들(베(Б)-13, 17방안, 붸(В)-17-19방안, 게(Г)-15, 16방안), 기와로 만들어진 것들(아(А)-14, 18방안, 붸(В)-16, 17, 20방안, 붸(В)-16방안, 게(Г)-16방안), 그리고 사암으로 만들어진 것(게(Г)-15방안)이 있다(도면 319: 3, 4). 전체적으로 제6인공층에 대한 제토 조사 시에 모두 631점(8.585kg)의 윤제 토기편과 여러 점의 기와편이 출토되었다(도면 320~331).
제7인공층은 7~10cm 깊이로 조사를 하였다(도면 332~334). 발굴구역의 북서쪽과 남동쪽 부분의 레벨 차이는 15~20cm였다. 이 레벨에서 발굴구역의 북쪽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얼룩(아(А)-12-13방안)이 규모도 작아지고 그리고 그 내부퇴적토의 모래도 더 밝은 색으로 바뀌었다(도면 335). 붸(В)-12-13방안과 아(А), 베(Б)-13-14방안을 지나 거친 입자의 모래가 포함된 암갈색 사질토 띠가 늘어져 있었다. 이 띠의 북쪽으로는 거친 입자의 모래가 포함된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이 이웃하였고(아(А)-붸(В)-12-14방안), 그 남쪽으로는 잔돌이 섞인 매우 단단한 갈색 사질토가 이웃하고 있었다(베(Б)-게(Г)-12-15방안). 잔돌이 섞인 매우 단단한 갈색 사질토에는 노르스름한 갈색의 큰 입자 모래 얼룩들이 섞여 있었다(베(Б), 붸(В)-13-14방안, 아(А), 베(Б)-14-15방안, 붸(В), 게(Г)-13-14방안). 게(Г)-13-붸(В)-16방안에서 이 층은 남서벽 밖으로 이어지는 암갈색 사질토층과 다양한 입자의 모래가 섞인 연갈색 사질토 띠(크기 2.5×0.3m)를 서로 구분하고 있다. 붸(В), 게(Г)-16-18방안에서는 다량의 토기편을 포함하는 갈색 사질토층이 노출되었는데 이 사질토층에서는 동물의 뼈와 이빨도 함께 발견되었다.
큰 입자의 모래와 잔돌이 섞인 비교적 큰 갈색 사질토 얼룩(3.6×1m)은 북동벽 밖으로는 이어졌다. 이 층의 북쪽 경계인 아(А)-15방안에서는 크기가 30×20cm인 크고 납작한 돌(레벨 -233cm)이 하나 놓여 있었다. 이 큰 얼룩 내에서는 작은 크기의 다른 얼룩들이 확인되었다. 바로 아(А)-17방안에서는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 얼룩(0.6×0.3m), 아(А)-16방안에서는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 얼룩(크기 0.4×0.3m)이 각각 확인되었다. 이 층에는 토기편들과 동물 뼈들이 많이 들어 있었다. 한편 이 층의 경계에서는 회갈색의 짙은 층지고 무거운 사질점토 얼룩(게(Г)-17-18방안, 크기 1.1×0.8m)과 노르스름한 갈색의 다양한 크기 입자의 모래 얼룩(게(Г)-16방안, 크기 0.4×0.4m)이 확인되었다(도면 336).
발굴구역의 남동쪽 부분에서는 제7인공층 조사 후에도 여러 가지 색깔과 다양한 광물 성분의 얼룩들이 많이 노출되었다(도면 337). 베(Б), 붸(В)-17방안과 베(Б)-게(Г)-19방안에서 발견된 노르스름한 갈색의 큰 입자 모래 얼룩과 베(Б), 붸(В)-18방안에서 발견된 밝은 올리브-갈색 띠 이외에도 붸(В), 게(Г)-18-19방안에서는 노르스름한 갈색의 단단한 다양한 크기 입자의 얼룩도 확인되었다. 발굴구역의 이 부분에서의 기본 토층은 다양한 크기 입자의 모래가 섞인 부드러운 갈색 사질토(붸(В), 게(Г)-18-20방안), 갈색의 알록달록한 무른 사질토(아(А), 베(Б)-18-20방안) 등이었다. 남동벽 부분에는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아(А), 베(Б)-19-20방안), 다양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베(Б), 붸(В)-20방안), 그리고 석립이 포함된 갈색의 알록달록한 사질토(붸(В), 게(Г)-20방안)가 분포하였다.
전체적으로 이 레벨에는 위의 레벨에 비해 토기편, 동물의 뼈와 이빨 등이 보다 더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개별 유물로는 다음의 것들이 출토되었다. 토제 유물(마연기일 수도 있음)(No. 7, 베(Б)-18방안, 레벨 -252cm)(도면 338), 토제 고리편(No. 9, 붸(В)-18방안, 레벨 -257cm)(도면 339, 340), 철제 못(No. 10, 베(Б)-16방안, 레벨 -251cm)(도면 341, 342), 석제 절구편(No. 11, 붸(В)-13방안, 레벨 -249cm)(도면 343, 344), 토제 고리편(No. 11a, 베(Б)-20방안, 레벨 -266cm). 그 외에도 13점의 놀이 알이 출토되었는데 토기 기벽으로 만든 것(아(А)-15방안, 베(Б)-13, 14방안, 붸(В), 게(Г)-12방안, 게(Г)-16, 20방안)과 기와로 만든 것(아(А)-19방안, 게(Г)-16방안)이 있다.
제7인공층에 대한 정리 조사 시에 574점(11.12kg)의 토기편이 수습되었다(도면 345~355).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1) 제2건축면 자료번호 : kr.d_0013_0030_003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