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3) 재구덩이

제17인공층에 대한 제토 조사 시에 서쪽 섹터의 남쪽 부분에서 커다란 재구덩이가 발견되었다(도면 80, 81). 이 재구덩이는 주로 아(А)-아'(А')-25-26방안과 아'(А')-베'(Б')-23-24방안에 위치한다(도면 82). 재구덩이는 모든 면이 철화 간층들이 포함된 황갈색의 모래층으로 경계되었다. 하지만 섹터 동쪽 부분에서는 재구덩이의 경계가 꽤 분명하였다. 비록 그 경계 밖에서 조개껍질, 그을음 흔적들 그리고 목탄들이 발견되긴 하였어도 말이다(도면 83). 서쪽 부분은 경계가 분명하지 못하였다. 이곳에는 재와 연체동물 패각들의 집중상태가 폐기물의 대부분이 모여 있는 가운데 부분에 비해 크게 낮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들은 이 부분의 갈색 사질토에 회색의 음영을 띄게 하였다(도면 84). 재구덩이는 두 단계에 걸쳐 조사하였다. 처음에는 생태 자료가 많이 섞인 윗부분을 정리 조사하였다. 이 윗부분에서 대한 제토 조사 시에 보존상태가 다양한 다량의 뼈, 연체동물의 패각, 조개껍질, 토기편 등이 출토되었다. 재는 목탄, 불타지 않은 나무 조각, 소토덩이 등과 섞여 있었다(도면 85~89). 베'(Б')-23방안에서는 패각 더미가 노출되었다(도면 90). 재구덩이의 아래 부분에는 이런 것들이 덜 들어 있었지만 재와 패각이 꽤 집중된 지점들도 있었다(도면 91, 92). 재구덩이의 아래 부분을 제토 조사할 때에 동물 뼈 조각들, 연체동물 패각들, 토기편들, 불에 탄 및 불에 타지 않은 나무 조각들 등이 발견되었다(도면 93~97). 아마도 이 재구덩이는 점차적으로 형성이 되었을 것인데 처음에는 폐기물이 많지 않았고 그 위가 흙으로 덮였다가 나중에 불탄 폐기물들을 집중 폐기하였을 것이다.
재구덩이의 내부를 완전히 제토 조사한 다음에 이 재구덩이가 철화 간층들이 포함된 노르스름한 갈색 사질토에 만들어진 것임이 밝혀졌다(도면 98). 아'(А')-베'(Б')-26방안에서는 불탄 나무 조각들을 포함하는 불탄 얼룩이 노출되었다(도면 99, 100). 베'(Б')-붸'(В')-25방안에서는 무른 암갈색 사질토 얼룩이 발견되었는데 직경이 84cm였다(도면 101). 이 얼룩에 대한 절개 조사를 하였는데 층의 두께가 약 8cm로서 두껍지 않았다. 목탄과 토기편들이 섞여있는 무른 암갈색 사질토층은 두께가 약 4cm였다(도면 102, 103). 아마도 이 두 얼룩은 동일하지 못한 토층 기복으로 인해 생긴 것이지 특별히 만든 구덩이로 인해 생긴 것은 아닐 것이다.
재구덩이의 함유물에 대해서는 물체질을 하였다(도면 104, 105). 그 퇴적 두께는 약 10~12cm였다. 재구덩이와 이와 연관된 명회갈색 사질토층에 대한 제토 조사 시에 게'(Г')-26방안에서 철제 칼(No. 2, 레벨 -230cm)이 출토되었다(도면 106~108).
제17인공층에 대한 제토 조사 시에 붸'(В')-베'(Б')-26방안에서 레벨이 -220/-230cm인 중간 크기(10×7cm부터 15×7cm까지)의 돌들, 소토덩이들, 숯들 그리고 그을음이 발견되었다(도면 109, 110). 계속된 정리 조사 도중에 돌들은 그을음 흔적과 명회색 점토가 포함된 노르스름한 갈색 사질토 얼룩에 집중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도면 111, 112). 그 돌들 중 하나는 돌괭이의 편(No. 3, 베'(Б')-26방안, 레벨 -220cm)이었다(도면 110, 113). 재구덩이 및 그와 관련된 명회색 사질토(발굴구역의 이 부분에서는 퇴적층의 두께가 4~5cm로 두껍지가 않았다)를 모두 제토 조사한 다음에 돌들이 뻘 간층들을 포함하는 노르스름한 갈색 모래층, 다시 말해서 재구덩이가 형성되기 시작한 층에 위치하였음이 확인되었다(도면 98). 따라서 이 재구덩이는 특별히 파서 만든 구덩이가 아니 동일하지 못한 토층들의 기복으로 인해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아마도 우리가 확인한 돌들로 된 유구는 재구덩이 형성 이전에 이미 만들어졌을 수도 있고 혹은 재구덩이와 함께 존재하였을 수도 있을 것이다. 돌 유구가 더 빨리 만들어졌을 것이라는 추정은 재층 제거 후에 돌들 주변에서 불탄 잔재들과 노르스름한 갈색 점토가 보다 선명하게 드러났다는 사실로서 뒷받침된다. 노르스름한 갈색 점토는 벽토의 기능을 하였고 그리고 돌 쌓은 것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곳에 그 어떤 유구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그것은 완전히 파괴되었고 그리고 불탄 폐기물들에 의해 묻히었다.
제17인공층에 대한 제토 조사 후에 제18인공층 상면 레벨에서의 기본 층은 뻘과 철화 간층들을 포함하는 입자의 크기가 다양한 노르스름한 갈색의 모래가 되었다(도면 114). 제17인공층에 대한 조사 시에 출토된 토기 자료(모두 251점 혹은 3.288kg)는 주로 섹터의 가운데 부분에, 재구덩이가 있는 부분에 집중되어 있었다(도면 115~123, 58: 9~14).
 

ⓛ 제18인공층

제18인공층. 재구덩이에 대한 조사 완료 후에 다음의 제18인공층에 대한 제토 조사를 실시하였는데(도면 124), 이 인공층의 두께는 평균 10~15cm였다(도면 125~127). 서쪽 섹터의 가운데 부분과 남서 부분에 대한 발굴조사 도중에 다량의 불에 탄 나무 조각들과 불에 타지 않은 나무 조각들(기본적으로 두껍거나 가는 나뭇가지들이었다), 다량의 동물 뼈와 이빨, 연체동물의 패각과 조개껍질, 토기편, 소토 등이 발견되었다(도면 128~132). 이곳에서는 그을음 흔적들과 노르스름한 갈색 점토들도 확인되었다(도면 133). 특히 아(А)-아'(А')-25-26방안에 많은 유물이 집중되어 있었다. 이곳에서는 불에 타지 않은 나무 조각들, 동물의 뼈와 이빨들, 그을음 흔적들, 타원형의 자갈돌 등이 출토되었다(도면 134~137). 베'(Б')-26방안에서는 암키와편이 출토되었다(도면 179).
섹터의 가운데 부분인 베'(Б')-24-25방안과 아'(А')-붸(В)-23-26방안에서는 재 아래에서 철화간층들이 포함된 황갈색 모래층이 노출되었는데 그 아래에는 단단한 회갈색 사질토층이 위치하였다(도면 24, 138~140). 이 층은 물이 흘러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 아래에는 단단한 적갈색 사질토층이 위치하였다(도면 141~143). 이 적갈색 사질토는 베'(Б')-24-25방안~붸(В)-24-26방안에서 노출되었으며 꽤 두꺼운 층으로 존재하였는데 몇몇 지점에는 그 두께가 6~10cm에 달하였다(도면 145). 섹터의 서쪽 부분에서는 여전히 뻘 및 철화 간층들을 포함하는 노르스름한 갈색 사질토층이 위치하였다(도면 146). 아'(А')-베'(Б')-26방안의 적갈색 사질토층과 뻘 및 철화 간층들을 포함하는 노르스름한 갈색 모래층의 경계에서는 그을음을 포함하는 직경 30cm의 갈색 사질토 얼룩이 노출되었다(도면 147). 이 얼룩에 대해서는 절개 및 내부퇴적토 제토 조사를 하였다(도면 148, 149). 구덩이 3으로 명명한 이 얼룩의 내부퇴적토의 두께는 8~9cm이다.
재구덩이의 아래 부분을 모두 제토 조사하자 붸'(В')-게'(Г')-26방안에서 회갈색 사질토 얼룩이 노출되었다(도면 98). 하지만 이 얼룩은 윤곽선이 뚜렷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 레벨에서는 그 내부를 제토 조사하지 않았다. 제19인공층 상면에서는 얼룩의 윤곽선이 뚜렷하게 구분되었는데 얼룩이 그을음 띠로 둘러싸여 있었다. 이 얼룩은 발굴구역 벽 밖으로 이어지고 있었기 때문에 남벽의 토층을 통해 이 얼룩이 구덩이의 내부퇴적토인지 아니면 아래에 위치하는 토층의 융기한 부분인지 검증할 수 있었다. 붸'(В')-게'(Г')-26방안의 남벽 단면도는 이 얼룩이 구덩이였음을 보여 주었다(도면 152). 5호로 명명된 이 구덩이의 직경은 거의 90cm, 깊이는 약 48cm이다. 구덩이의 내부퇴적토는 밝은 회갈색 사질토였다. 구덩이 내부에 대한 조사 도중에 철제 못(No. 4, 붸'(В')-26방안, 레벨 -272cm)이 출토되었다(도면 153). 평면 상태와 토층을 통해 볼 때에 이 구덩이 5는 수 개의 토층을 자르고 내려갔다. 이 구덩이는 바로 이 방안의 제16인공층의 상면(레벨 -211cm)에서 그 흔적이 확인된 불탄 토층에서 시작되었다(도면 152). 구덩이의 윤곽선이 분명해진 것은 레벨 -231cm 깊이에서였다.
발굴구역의 북쪽 부분에서는 제19인공층의 상면 레벨에서 암갈색 사질토로 된 넓은 띠가 선명하게 노출되었는데 남서-북동 방향으로 나있었다(도면 154, 155). 그 띠는 너비가 1.9m부터 2m까지였다.
제18인공층에 대한 제토 조사 시에 화살촉(No. 5, 베'(Б')-26방안, 레벨 -245cm)(도면 156~158), 주철제 솥의 다리(No. 6, 게'(Г')-26방안, 레벨 -231cm)(도면 159~161), 그리고 부정형의 철편(게'(Г')-23방안, 레벨 -254cm) 등과 같은 금속품이 출토되었다.
제18인공층은 토기 유물이 가장 많이 출토되었다(506점 혹은 5.266kg). 토기 유물은 섹터의 남쪽과 남서쪽 부분에 주로 집중되어 있었다(도면 162~180).
제19인공층은 발굴구역의 여러 부분에서 평균 10~15cm의 두께로 제토 조사하였다(도면 181~183). 섹터의 남쪽과 남동쪽 부분에서는 적갈색 사질토층에 대해 제토 조사를 하였다(도면 184). 이 적갈색 사질토층은 두께가 10cm까지였다(도면 145). 이 적갈색 사질토층 아래에는 철화 간층들이 포함된 노르스름한 갈색 모래층이 위치하였다(도면 185). 6호부터 11호까지로 명명된 동일 유형의 작은 구멍들이 베(Б)-25방안, 베(Б)-26방안, 아'(А')-26방안, 베'(Б')-26방안에서 각각 발견되었다(도면 183). 이 구멍들의 내부퇴적토는 적갈색 사질토로서 모두 동일하였으며, 직경은 12cm부터 20cm까지 차이를 보였고, 깊이는 4cm부터 10cm까지였다(도면 186, 187).
섹터의 남서쪽 부분에서는 목탄과 그을음이 포함된 회갈색 사질토 얼룩들이 노출되었다(도면 188). 이 얼룩들은 이 층에서 북쪽으로 넓은 암갈색 사질토 얼룩과 접하였는데 이 얼룩은 이미 제19인공층 상면에서 노출된 것이며, 제20인공층 상면에서는 그 위치가 약간 남쪽으로 이동되었다. 이 얼룩은 게'(Г')-21-23방안에서 시작되어 베'(Б')-18-21방안까지 이어진다(도면 189, 190).
제19인공층에 대한 제토 조사 시에 불과 몇 점의 토기편, 연체동물의 패각편, 조개껍질, 소량의 동물뼈 등이 출토되었다. 베'(Б')-23방안에서는 가리비 조개의 껍질(도면 191), 붸(В)-24방안에서는 주철제 유물편(No. 7, 레벨 -246cm)(도면 192, 193)이 각각 발견되었다. 토기 유물은 소량(55점의 편 혹은 1.187kg)이 출토되었는데 주로 섹터 남서쪽의 목탄을 포함하는 회갈색 사질토 얼룩들과 섹터의 북서쪽 암갈색 사질토 얼룩들에 집중되어 있었다(도면 194~200: 1~2).
제20인공층에 대해서는 평균 약 10cm 두께로 제토 조사하였다(도면 201~203).
제21인공층 상면 레벨에서 심하게 훼손된 유구들의 잔재들이 노출되었다(도면 203). 한 유구는 섹터의 남동쪽 부분인 아(А)-붸(В)-25-26방안에 위치하였고 두께 6cm의 황갈색 점토 모양을 하고 있었다(도면 138, 204, 205). 이 층의 범위 내에서 토기편들과 동물 턱뼈 그리고 숯들이 발견되었다. 아(А)-26방안에서는 분홍-회색과 회색의 재와 숯들이 포함된 재 얼룩이 노출되었다(도면 203). 이 재구덩이의 크기는 60×40cm였다. 베(Б)-25-24방안에서는 흑갈색의 그을음 사질토 얼룩이 노출되었는데 크기가 약 65×80cm였다(도면 205). 이 2개의 얼룩은 점토층에 인접해 있었기 때문에 아마도 하나의 유구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두 번째의 유구 잔재는 섹터의 남서쪽 모서리 부분에서 다량의 그을음과 숯이 포함된 흑갈색 사질토 및 불탄 흔적이 있는 회갈색 사질토의 모양으로 노출되었다(도면 206). 이 두 유구는 철화 간층들을 포함하는 회갈색 모래층에 위치하였다. 이 회갈색 모래층은 서쪽 섹터의 가운데 부분과 북쪽 부분 거의 전체를 따라 분포하고 있었는데 아마도 이 레벨에서 생토층일 것이다.
제20인공층에 대한 제토 조사 시에 발굴구역의 북쪽 부분에서 얼룩들이 노출되었는데 이것들은 구덩이 12~14호까지로 명명하여 내부를 조사하였다(도면 207). 구덩이 12~14호는 그을음이 포함된 노르스름한 갈색 사질토 얼룩들의 모양을 하고 노출되었다. 구덩이 12의 직경은 44cm, 내부퇴적토의 두께는 36cm였다(도면 208~210). 구덩이 13은 직경이 30cm, 내부퇴적토의 두께는 7~8cm였다(도면 211~213). 구덩이 14의 직경은 36cm, 내부퇴적토의 두께는 5~7cm였다(도면 214~216).
제21인공층 상면 레벨에서는 앞서 노출된 바 있는 암갈색 사질토층의 경계가 보다 분명해졌다(도면 217). 이것은 넓은 띠로서 이 레벨에서는 게('Г')-21-24방안에서 베'(Б')-21-19방안으로 나있었다.
제20인공층에 대한 제토 조사 시에 철제 고리(No. 8, 붸'(В')-26방안, 레벨 -272cm)가 출토되었다(도면 218, 219). 이 유물은 구덩이 5에서 발견된 것인데 이 구덩이는 우리가 생각할 때에 몇 개의 층을 파고 들어갔다. 아'(А')-26방안과 베'(Б')-26방안에서는 연체동물의 패각편들아 출토되었다(도면 220, 221).
제20인공층에 대한 조사 시에 토기편은 66점(1.165kg)이 출토되었다. 토기편들은 넓은 암갈색 사질토 띠의 범위(도면 222)와 게'(Г')-20-21방안의 유구들 그리고 베(Б)-26방안과 붸(В)-25방안의 노르스름한 갈색 점토의 범위에서 각각 발견되었다(도면 200: 3~5; 223~226).
제21인공층은 10~20cm의 두께로 제토 조사를 하였다(도면 227~230). 발굴구역의 많은 부분에서 이미 철화와 뻘 간층들이 포함된 노르스름한 갈색 모래 모양의 생토층이 드러났다(도면 231, 232). 때문에 앞서 노출된 유구들의 잔재를 조사하는 일만 남게 되었다. 아(А)-붸(В)-25-26방안에서는 두께가 6cm인 노르스름한 갈색 점토층을 제토 조사하였다(도면 138). 그와 동일한 점토의 흔적들이 아'(А')-아(А)-23방안에서도 확인되었다. 제21인공층에 대한 제토 조사 시에 발굴구역의 남동쪽 부분에서 여러 점의 토기편과 연체동물의 패각들, 불에 탄 혹은 불에 타지 않은 목재 조각들, 숯 조각들, 동물의 이빨과 뼈들, 부정형의 철편들(붸(В)-25방안, 레벨 -276cm) 등이 출토되었다. 대부분의 유물과 생물 자료들은 붸(В)-25방안에 집중되어 있었다.
암갈색 부식 사질토에 대한 조사는 이것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뻗어 있는 넓은(너비 1.30~2.20m) 도랑이었음을 보여 주었다. 이 도랑의 깊이는 0.5m였다(도면 228, 233, 234). 이곳에서는 토기편들, 연체동물 패각들, 조개껍질 조각, 1×0.5m 크기의 재 얼룩 등이 발견되었다. 이 도랑에서 주철제 솥의 다리(No. 9, 베'(Б')-21방안, 레벨 -298cm)(도면 235, 236)와 철제 못(No. 10, 베'(Б')-20방안, 레벨 -282cm)(도면 237: 1)이 각각 출토되었다. 암갈색 부식 사질토는 게'(Г')-25-26방안에서 다량의 그을음과 숯을 포함하는 흑색 사질토를 제토 조사한 다음에도 계속 확인되었다(도면 238).
제21인공층에 대한 제토 조사 시에 출토된 토기 유물(91점 혹은 1.095kg)은 대부분 섹터의 남쪽 부분과 도랑-구덩이의 범위 내에 집중되어 있었다(도면 239~251).
 

② 생토면 정리 조사

제44구역의 이 부분에 대한 발굴조사의 마무리 단계는 철화 간층들과 뻘 자국들이 포함된 회갈색 및 노르스름한 갈색 모래로 된 생토층에 대해 한 정리 조사였다(도면 252~254). 게'(Г')-25-26방안의 암갈색 부식 사질토를 아래 부분에 고고학 유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바닥까지 제토 조사하는 것은 지속적인 지하수의 유출로 인해 쉽지가 않았다. 때문에 동-서 방향으로 탐색 트렌치(게'(Г')-붸(В)-25)를 파기로 결정하였다(도면 255, 256). 이 트렌치에서 문화층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암갈색 사질토층이 게'(Г')-베(Б)-25방안에서 철화와 뻘 간층들을 포함하는 노르스름한 갈색 모래층 아래로 ‘잠수’를 하였고, 붸-25방안에서는 그 퇴적층이 최대 깊이(레벨 -355/-360cm)까지 도달한 것이 각각 확인되었다(도면 257, 258). 그 층 아래에는 철화와 뻘 간층들이 포함된 노르스름한 갈색 모래층이 위치하였다(도면 259).
발굴구역의 이 부분에서 생토면에 기복이 있었는데 게'(Г')-붸'(В')-26방안에서 북동쪽 붸'(В')-베'(Б')-19-20방안 방향으로 도랑 모양으로 깊이가 크게 낮아졌다. 암갈색 사질토층의 기원을 밝히기 위해 탐색 트렌치에서 토양 시료를 채취하였다(도면 260). 아직은 도랑이 물길로 인해 씻겨 내려간 결과 자연적으로 형성되었다고 추정할 수가 있는데 연해주에서는 여름 기간에 장마나 태풍이 왔을 때에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이 도랑의 형성과 함께 도랑의 북쪽과 북동쪽 위치하는 문화층도 일부 씻겨 나갔다. 탐색 트렌치에서 암갈색 사질토의 두께를 통해 볼 때에 이 도랑은 이 지역에 사람들이 거주하기 전에도 여러 차례에 걸쳐 형성되었다. 그 이후에는 자연 및 인위적인 과정을 통해 지면의 기복이 점차 고르게 되었다.
2015년도 야외조사 기간 동안에 제44구역에서 실시한 고고학조사는 이렇게 마무리되었다. 조사를 마무리한 다음에는 발굴구역에 대해 현장 보존조치를 하였다(도면 261, 262).
2015년도에 제토 조사를 한 문화층의 두께는 평균 60cm였고, 도랑이 있는 부분은 약 1m에 달하였다. 전체적으로 2010년부터 시작된 이 발굴구역의 문화층의 두께는 평균 170cm였고, 도랑이 있는 부분은 약 285cm였다.
조사 결과 몇몇 유구의 흔적들이 발견되었는데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제6인공층의 여러 레벨에 속할 것이다. 이 경우 제6건축면의 아래 부분은 가장 파괴가 심한 상태였다.
제6건축면은 발굴구역 범위 내에서 매우 고르지 못한 기복을 가진 상면에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는 남쪽으로 향하는 완만한 경사면을 관찰할 수 있었다. 생토면에서 북쪽과 남쪽 부분의 레벨 차이는 30cm였다.
제6건축면의 가장 낮은 레벨은 게'(Г')-붸'(В')-21-17방안에 위치하는 석축 기단을 가진 건축물과 상응한다. 서벽의 토층에서 이 건축물은 도랑-구덩이의 내부퇴적토이기도 한 암갈색 사질토로 덮여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평면적으로 제18~22인공층 레벨에서 이 암갈색 사질토로 된 넓은 띠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둔덕 경사면을 따라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6건축면의 다음 레벨은 불탄 물질, 그을음, 숯 등의 흔적들과 관련된다. 이것들은 발굴구역의 남서쪽 부분에서 게'(Г')-26방안에서는 제21인공층의 상면에서 그리고 아(А)-붸(В)-24-25방안에서는 제20인공층의 상면(레벨 -260/-270cm)에서 각각 확인되었다. 그 외에도 발굴구역의 남동쪽 모서리 부분인 아(А)-붸(В)-25-26방안에서도 동일한 양상이 확인되었는데 이곳에서는 그을음, 재, 동물의 뼈 및 연체동물의 패각과 같은 생태유물 등으로 된 얼룩들과 토기편들이 발견되었다. 이 유물들은 성의 주민들이 성벽을 쌓을 때에 흔히 사용을 한 노르스름한 갈색 점토의 범위 내와 이 점토를 제토 조사한 다음의 상면에서 각각 발견되었다. 이곳에 그 어떤 유구가 있었는지의 여부는 아직 판단하기가 힘들다. 아마도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이웃하는 제48구역에 대한 발굴조사가 도움을 줄 것이다. 어쩌면 발굴구역의 북쪽 부분에서 발견된 구덩이 12~14가 이 레벨에서의 유구의 흔적일 가능성도 있다.
더 나중에는 발굴구역의 남쪽과 남서쪽 부분에서 작은 구덩이 6~11이 노출되었다. 이 작은 구덩이들 위로는 적갈색 사질토층과 구덩이 3 및 4가 형성되어 있었다. 구덩이 5는 우리가 확인한 바와 같이 이 레벨에서 매우 분명하게 구분되었지만 층위 단면은 이 구덩이가 보다 늦게까지 존속하였음을 보여 주었다.
그 다음에 제6건축면에서 또 하나의 다른 레벨이 형성되었는데 이것은 발굴구역의 중앙과 남쪽 부분에서 노출되었던 재구덩이, 그 주변인 붸'(В')-베'(Б')-26방안에 위치하는 여러 개의 돌과 불탄 자국들로 된 그 어떤 유구의 잔재들, 그리고 구덩이 1과 2이다.
잠정적으로 우리는 제6인공층에서 5개의 레벨을 확인하였다. 이 5개 레벨은 하나의 건축면으로 통합되었는데, 왜냐하면 그것들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에 형성된 것들이고 게'(Г')-붸'(В')-21-17방안에서 발견된 적석 건축물만이 유일하게 장기간 운용된 유구로 파악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들은 제18인공층부터 제21인공층까지의 상면 레벨들에서 확인된 것들이다. 바로 이 적석 건축물 유구야말로 제6인공층을 대표하며, 나머지 것들은 모두 주민들의 필요나 혹은 주기적인 화재로 인해 여러 대상들이 지속적으로 재건축된 결과일 뿐이었는데 이런 현상은 이 성에서 드물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우리의 결론은 잠정적인 성격을 띠며 결론이 옳은지의 여부는 계속된 발굴조사를 통해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제44구역의 서쪽 섹터에 대한 발굴조사 중 6개의 건축면에 해당되는 유구들이 확인되었다. 가장 위의 두 개 건축면은 2010년, 2012년, 그리고 2013년에 조사되었다. 제3건축면, 제4건축면, 제5건축면, 그리고 제6건축면의 위 레벨은 2014년에 조사되었다. 제6건축면에 대한 조사는 2015년도 야외조사 기간에 종료되었다. 사실상 각 건축면들 사이에는 개별적인 구덩이, 재구덩이, 화재 흔적들 등의 형태로 중간적인 레벨들의 흔적들도 확인되었는데, 이것들은 크라스키노 성의 운용 처음 시기부터 그 존재의 마지막 시기까지의 주민들이 적극적인 활동을 드러낸다. 발굴조사된 구역의 층위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았다(도면 12~32).
 
- 표토와 부식토(20~25cm)
- 황갈색 모래(10~20cm)
- 거친 입자의 모래가 포함된 갈색 사질토(4~22cm)
- 단단한 갈색의 알록달록한 사질토(발굴구역 여러 지점에서의 두께 8~40cm)
- 거친 입자의 모래가 포함된 단단한 갈색 사질토(2~8cm)
- 다양한 입자의 모래가 포함된 단단한 갈색 사질토(4~10cm)
- 단단한 갈색 사질토(4~15cm)
- 부드러운 갈색 사질토(4~30cm)
 
2010년, 2012~2015년의 야외조사 기간에 제44구역의 서쪽 섹터에서 노출된 기본적인 유구들은 다음과 같다.
 
- 제1건축면에는 1호 건물의 잔재들이 해당된다. 이 1호 건물은 면적이 약 14.5m2이고, 발굴구역의 동쪽 섹터와 서쪽 섹터에 걸쳐 위치하는 마당을 가지는데 이 마당은 면적이 약 56m2이고 둘레로 돌담 기초가 남아있다. 제1건축면과 관련된 두 번째 유구는 높이 약 25cm의 나지막한 기단 위에 축조된 2호 건물의 잔대들이다.
- 제2건축면을 제토 조사할 때에 가장자리를 돌로 쌓은 기단 건축물의 잔재가 노출되었다. 이 건축물은 면적이 약 22~23m2였다.
- 제3건축면 레벨에서는 11호 주거지의 잔재가 확인되었는데, 이 주거지는 2009년에 이웃하는 제40구역에서 이미 노출된 바 있었다. 아마도 이 주거지는 제3건축면의 위 레벨을 대표할 것이다.
 
제3건축면의 두 번째(이른) 단계에는 면적이 약 12m2인 기둥 구조물을 가진 유구와 구들이 딸린 23호 주거지(레벨 -106/ -130cm)가 기능을 하였을 것이다.
 
- 제4건축면은 두 개의 유구로서 대표된다. 이 건축면 레벨에서는 구들이 딸린 24호 주거지가 기능을 하였다. 이 주거지는 면적이 약 14m2이다. 섹터의 북쪽 부분에서는 화재와 위 건축면들에 살았던 주민들의 활동으로 인해 심하게 훼손된 건축물의 잔재가 확인되었다.
- 제5건축면은 두 개의 단계로 구분된다. 이 건축면의 늦은 단계(위 레벨)에는 한 건축물이 기능을 하였는데 이 건축물의 수혈은 서쪽 섹터와 동쪽 섹터에 걸쳐 확인되었다. 이 수혈은 면적이 약 6.5m2이다.
 
제5건축면의 가장 이른 단계는 13호 주거지의 잔재로서 확인되었다. 이 주거지는 2009년에 제40구역에서 그 마당에 의해 이미 노출된 바 있다.
 
- 제6건축면은 몇 개의 레벨들과 관련이 있다. 이 건축면의 위 레벨에는 서쪽 섹터와 동쪽 섹터에 걸쳐 위치하는 경제 건축물이 해당된다. 이 유구의 추정 크기는 4.7×3.5m이다.
- 두 번째의 보다 이른 단계에는 섹터의 중앙 부분에서 노출된 경제 건축물의 잔재들이 해당된다. 아마도 이 유구는 수혈과 석축기단이 없는 지상 건축물이었을 것이다. 이 건축물은 화재에 의해 심하게 파괴되었다. 이 건축물의 추정 크기는 5.2×5m이다.
- 그리고 제6건축면의 가장 이른 단계에는 섹터의 북서쪽 부분에서 석축 기단이 노출된 건축물이 기능을 하였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 재구덩이 자료번호 : kr.d_0013_0030_002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