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왜적을 정벌하다가 전사한 중국의 관군(官軍)의 제단 설치 등에 대해 요동도지휘사사(遼東都指揮使司)가 조선국왕에게 보낸 자문

13. 奉旨吊祭陣亡官軍
  • 발신자
    遼東都指揮使司
  • 발송일
    1594년 11월 28일(음)(萬曆二十二年十一月二十八日)
  • 출전
    『事大文軌』 卷12: 23b-27a / 『壬辰倭亂 史料叢書 1~8 對明外交』(국립진주박물관, 2002 영인본) 2책: 48~55쪽
13. 奉旨吊祭陣亡官軍
 
遼東都指揮使司,
爲 征倭陣亡官軍, 懇乞聖明, 就彼設壇, 以慰忠魂, 以激軍情 事.
 
本月十八日, 奉禮部箚付前事. 該本部題.
祠祭淸吏司案呈.
奉本部送.
禮科抄出.
巡按山東監察御史周題稱.
平壤·開城·碧蹄·王京陣亡及病故官軍, 乞要設壇四處, 每歲遼東都司, 春秋二季, 動支官銀, 備辦祭品, 遣官赴彼致祭. 等因.
奉聖旨.
禮部知道.
欽此. 欽遵.
抄出到部送司, 到部案呈.
看得, 東征軍士, 挺身絶域之表, 畢命鋒鏑之下, 委應愍祭, 以慰幽魂. 旣經巡按御史目擊具題前來, 合候命下, 行令遼東都司, 移文朝鮮國, 將該國平壤·開城·碧蹄·王京地方, 各設壇場一區, 就遣本都司堂上官一員, 前去致祭. 以後每年動支官銀, 整辦香燭·猪羊·酒果, 交付該國進貢官員, 順帶致祭, 不必年年遣官, 以滋煩擾. 伏乞聖裁. 至于壇場名額, 統望皇上欽定容臣等주 001
각주 001)
원문의 ‘容臣等’은 『事大文軌』 卷12, 萬曆二十三年二月十六日 回咨 기사의 내용을 참고해 볼 때 잘못 삽입된 것으로 보인다.
닫기
, 翰林院撰祭文施行. 等因.
萬曆二十一年九月初八日, 本部尙書兼翰林院學士羅等 具題. 初十日, 奉聖旨.
是. 壇名與做愍忠.
欽此. 欽遵. 爲此, 合就箚付遼東都司, 照依本部題奉欽依內事理, 欽遵施行. 等因.
案照, 萬曆二十一年十一月內, 先奉禮部箚付亦爲前事.
合箚該司, 照依箚內及本部題奉欽依內事理, 欽遵施行. 等因.
奉此. 除移文朝鮮國, 於平壤·開城·碧蹄·王京等處, 設立壇場, 聽明致祭. 去後, 今奉前因, 行據斷事司, 呈稱.
査議得, 朝鮮國平壤·開城·碧蹄·王京四處, 祭掃陣亡官軍, 壇場·祭品等項. 每一場, 用猪一口, 値銀一兩, 羊一羫, 値銀四錢, 饅頭五分, 値銀三分, 粉湯一分, 値銀一分, 果子五色, 每色五斤, 値銀四錢, 按酒五盤, 値銀五分, 鳳鷄一隻, 値銀三分, 煠骨一塊·煠魚一尾, 俱値銀五分, 酥餠·酥定各四箇, 値銀二分, 雞湯一分, 値銀一分, 魚湯一分, 値銀一分, 降眞香一炷, 値銀二分, 燭一對重一斤, 値銀一錢, 焚祝紙一百張, 値銀四分, 酒二甁, 値銀二分. 每一壇, 用銀二兩一錢九分, 四壇, 共用銀八兩七錢六分, 每年二季, 通銀一十七兩五錢二分. 相應動用, 定遼左等二十五衛, 均徭銀兩買辦, 每衛該銀七錢八毫, 預先差人催完. 差官一員, 初祭一年, 以後將銀, 交付該國進貢陪臣官員, 順帶致祭, 永爲舊規. 緣由.
回報到司. 據此. 遵照近奉部箚, 査得, “本司僉書管屯都指揮使張, 已經差委踏丈地土僉書局捕都指揮僉事楊, 奉文防守城池, 査照壯丁, 本司缺官. 今遊擊陳前往朝鮮國公幹, 相應順帶致祭, 庶地方不致繁擾. 其應用祭品等物, 該銀八兩七錢六分, 此係新例, 無憑動支呈乞, 合無俯從, 將備倭馬價銀兩, 照數動給本官, 齎去該國, 買辦祭品等物. 致祭以後, 萬曆二十三年分, 春秋二季, 共該銀一十七兩五錢二分, 除行定遼左等二十五衛, 編入均徭冊內, 照數動支送司, 給付該國進貢回還陪臣, 順帶致祭.” 緣由. 具呈欽差總督薊遼保定等處軍務兼理粮餉經略備倭兵部左侍郞兼都察院右僉都御史孫處, 照詳. 蒙批, “如議動支. 繳.” 蒙此. 擬合就行. 爲此, 合咨前去, 貴國煩爲査照咨文內事理, 卽將齎去官銀八兩七錢六分, 令該國官司, 買辦猪·羊祭品等物, 聽候領兵遊擊陳, 親詣各壇祭祀. 畢日, 希由回司, 以憑轉報施行. 須至咨者.
 
計開
一. 祭文
維萬曆某年某月某日
朕以狂夷僭悖屬國流離, 張我陸師, 用申玖伐. 爾諸官軍, 懷忠遠涉, 敵愾先登, 塗肝腦于蒿萊, 暴骸骨于原野. 黃沙白草, 難逃狐貉之餐. 苦雨凄風, 定有鼪주 002
각주 002)
‘鼪’은 신출자으로 되어 있으나, 글자를 찾을 수 없다.
닫기
鼯之泣. 遊魂夜半, 猶望還家. 厲鬼天涯, 不忘撲賊, 所司聞狀, 朕甚悲憐. 用揭愍忠之名, 特頒諭祭之典. 嗚呼. 長鯨未戮, 終當築亰觀以彰威, 枯骨猶存, 尙及封崤尸而振旅. 凢諸靈爽, 寵佩休嘉.
 
一. 祭品
猪一口·羊一羫·饅頭五分·粉湯一分·果子五色(每色五斤)·按酒五盤·鳳鷄一隻·煠骨一塊·煠魚一尾·酥餠酥定各四箇·雞湯一分·(魚湯一分)주 003
각주 003)
앞에는 나와 있으나 목록에서는 제외됐다.
닫기
·降眞香一炷·燭一對重一斤·焚祝紙一百張·酒二甁.
 
右咨朝鮮國王.
 
萬曆二十二年十一月二十八日.

  • 각주 001)
    원문의 ‘容臣等’은 『事大文軌』 卷12, 萬曆二十三年二月十六日 回咨 기사의 내용을 참고해 볼 때 잘못 삽입된 것으로 보인다. 바로가기
  • 각주 002)
    ‘鼪’은 신출자으로 되어 있으나, 글자를 찾을 수 없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앞에는 나와 있으나 목록에서는 제외됐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왜적을 정벌하다가 전사한 중국의 관군(官軍)의 제단 설치 등에 대해 요동도지휘사사(遼東都指揮使司)가 조선국왕에게 보낸 자문 자료번호 : sdmg.d_0003_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