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명군(明軍)의 철군 때 화기(火器) 운반 문제와 운송 인력 동원 문제의 어려움에 대한 조선국왕의 회자(回咨)

40. 回咨
  • 발신자
    朝鮮國王
  • 발송일
    1594년 3월 18일(음)(萬曆二十二年三月十八日)
  • 출전
    事大文軌 卷8: 79a-80a / 『壬辰倭亂 史料叢書 1~8 對明外交』(국립진주박물관, 2002 영인본 1책): 345~347쪽
40. 回咨
 
朝鮮國王,
准來咨該 爲 遵旨專責部臣, 經略倭患 事 云云. 等因.
 
准此. 行該議政府 狀啓.
就令軍器寺, 將所據各樣火器, 再行査點照舊看守. 仍行開城府留守盧稷, 平安道觀察使李元翼, 選差的當員役, 將各處留貯火器, 査點明白, 逐一囬繳. 臣等仍念先該火器之來也, 各起委官, 多至四十餘員, 或先至或後至, 未到, 日期不等, 或多押或少押, 交付數目欠明, 竊恐交割運回之際, 有所盈縮. 擬候各處囬文至日, 査議另行. 又念本國自都城至于開城, 自開城至于平壤, 沿路州縣站驛, 並皆空虛草莽, 盈目委無夫役牛馬, 可以接遞搬運. 爲此, 査照, 大兵雖撤, 而劉總兵五千兵馬, 旣留南原信地, 兼又兇賊益熾鍊兵造船, 顯有順搶之計. 合無回咨都司, 乞將前項各樣火器, 仍留都城等處, 以備禦賊之用. 相應. 等因.
具啓. 據此. 査看, 先該, 本年二月二十三日, 接得 總督軍門 牌文. 節該.
原貯朝鮮一應軍火器械俱, 仍留該國以備取用, 不必運至遼陽. 另聽明文施行. 等因.
得此. 行間, 今該前因, 爲照, 貴司咨文之發, 乃在二月初八日, 而總督牌文, 撥馬飛送當職, 於本月二十三日. 接照想, 惟經略以大兵撤回督令還運, 而總督以兇賊據邉, 撥馬留之也. 目今聲息, 盖急防備正緊, 豈可未聽明文輕議運還. 况地方殘破, 人民死盡, 雖加督倂, 恐未易運完. 除又行該府等, 候査點囬繳, 責令該管陪臣, 照依現在數目, 加謹收看外, 爲此, 合行回咨, 請照驗轉報施行. 須至咨者.
右咨遼東都指揮使司.
 
萬曆二十二年三月十八日.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명군(明軍)의 철군 때 화기(火器) 운반 문제와 운송 인력 동원 문제의 어려움에 대한 조선국왕의 회자(回咨) 자료번호 : sdmg.d_0002_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