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소콜로프카 고분군

  • 저필자
    방민규((재)고려문화재연구원)
  • 원소장처
    러시아 연해주 라조 지구
  • 시대
    발해
  • 유형
    무덤
유적개관
봉토분 80여 기가 조사되었다. 청동제 방울, 옥제 장신구 다량 수습되었다.
참고문헌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의 문화유적1, 2006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의 문화유적 Ⅱ, 2008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의 문화유적 Ⅰ, 2007

해설
러시아 연해주 라조 지구(Лазовский район, Приморский край) 프레오브라줴니예 마을에서 북동쪽으로 2.5㎞ 떨어지고, 소콜로프카 강의 왼쪽 강변 위에 크루글라야 언덕 서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유적은 크루글라야 언덕의 서쪽 완경사면에 위치한다.
1990년대 초반 라조지구 보호구역의 경비원 U.A. 고류신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고, 1999년 2001년 N.A. 클류예프와 I.U. 슬렙초프에 의해 지표조가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 유적의 면적은 4,000㎡ 정도이며 채석작업으로 남서쪽이 파괴된 상태이다. 고분의 크기는 길이 1.7~2m, 너비 0.8~1m, 높이 0.3~0.5m이다. 심하게 파괴된 고분도 확인하였다.
2006년 국립문화재연구소와 러시아과학원 극동연구소와 공동으로 실시한 지표조사 결과, 초기철기시대부터 중세시기의 다양한유물들이 확인되었으며, 봉토분을 비롯한 대부분의 유물· 유구는 말갈 및 발해 시기의 것으로 추정되었다.
2007년 발굴조사의 결과 중 가장 큰 의의는 얀콥스키 문화에 속하는 최초의 제사유구를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연해주에서 확인된 가장 큰 규모의 적석유규로, 1호 적석유구를 연해주 초기철기시대 문화인 얀콥스키 문화의 의례관련 유구로 볼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1호 적석유구에서는 정형화된 축조기술이 확인된다. 둘째 적석 내부에서 얀콥스키 문화에 속하는 토기편만이 출토되어 축조시기 또한 확실하다. 츨토 유물 중 의례 용기로 추정되는 굽다리접시는 4개체가 확인되었다.
토기는 모래가 많이 섞인 정선된 점토로 제작되었다. 기형으로는 굽다리접시, 유경호, 외반구연호, 접시, 사발 등이 있다. 굽다리접시는 대각이 긴 장각형이 얀콥스키 문화의 전통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토기인데, 예기로 추정된다. 전시기에 비해 소성온도는 상당히 높다. 석기는 석창과 석검 등 마제석기가 대표적인데 40여형식의 도구 및 무기들(도끼, 끌, 칼, 긁게, 화살촉, 창 등)과 3형식의 장신구(구슬, 늘이개, 고리)가 있다. 골각기로는 낚시바늘, 작살, 창, 찰갑, 장신구 등이 확인되었다.
주거지는 수혈주거지로 말각방형이며 벽을 따라 대가 설치되어 있고 기둥구멍은 주거지의 중앙부와 벽을 따라서 발견된다. 무덤은 말라야 포두셰치카, 차파예보 유적에서 확인되었다.
소콜로프카 유적은 다층위 유적이다. 확인된 70기의 고분과 산사면에서 수습된 유물을 볼 때 중세시대가 중심인 유적이다. 그러나 발굴조사 결과 확인된 것처럼 연해주 초기철기시대 얀콥스키 문화의 의례유구와 인근 주거유적의 존재는 그 이전부터 사람들이 살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조사과정에서 2호 적석 유구를 제외하고는 무덤과 관련된 명확한 구조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봉분과 이를 둘러싼 도랑과 같은 고분의 외형적인 요소는 관찰되지만, 매장주체부나 인골과 같은 좀 더 직접적인 자료는 확인되지 않았다.
얀콥스키 문화는 나진 초도유적 등 두만강 유역에서도 확인되고 있는데, 이번조사 결과 한반도와 연해주의 상호관련 연구는 물론, 나아가 동북아시아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끊임없이 이루어졌던 문화적 교류 및 당시 생활상의 복원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 새로운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소콜로프카 고분군 자료번호 : isea.d_0003_0040_0020_004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