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휘발성

輝發城
  • 저필자
    김진광(한국학중앙연구원)
  • 시대
    고구려/발해/요금/원~청
  • 원소장처
    吉林省 輝南縣 輝發城鎭 長春堡 서남4km 輝發山 위(길림성 휘남현 휘발성진 장춘보 서남4km 휘발산 위)
  • 시대
    발해
  • 유형
규모
둘레: 내성 700m, 중성 1,313m, 외성 1,000m
입지
서남쪽으로 조양진(朝陽鎭)과는 17.5km 떨어져 있으며, 휘발하(輝發河) 넘어 영강향(永康鄕)의 감가가촌(坎家街村), 영승촌(永勝村)과 마주하고 있다.
유적개관
고성의 성벽은 산세를 따라 축조하였으므로 삼면은 강물에 접해 있고, 한쪽은 넓은 하곡평원이다. 전체 고성은 내성, 중성, 외성의 성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물개관
회색의 베무늬기와와 홍색그물무늬 기와
참고문헌
고구려발해고성지연구휘편
해설
휘발성(輝發城)은 휘남현(輝南縣) 휘발성진(輝發城鎭) 장춘보(長春堡) 휘발성중학(輝發城中學)에서 서남쪽으로 약 4.3km 떨어진 휘발산(輝發山) 위에 있는 성터로, 고구려시기에 처음으로 만들어진 이후 발해ㆍ요금ㆍ명K청시기에도 사용되었다. 일부학자는 휘발성을 발해의 回跋城으로 비정하기도 한다. 1961년 길림성중점문물호호단위로 지정되었다가 2006년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동쪽으로는 광휘촌(光輝村)과 1km, 서남쪽으로 휘남현과는 약 17km, 서쪽의 영강향(永康鄕)의 감가가촌(坎家街村)과는 휘발하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으며, 북쪽으로 조경선(朝慶線) 넘어 광흥촌(光興村)과는 약 400m 정도 떨어져 있다. 휘발산은 휘발하 하곡평원에서 우뚝 솟은 산봉우리로 해발은 256m이다. 휘발성은 휘발산 정상부에 있으며, 고성은 산으로 인해서 이름 지어졌다.
전체 고성은 내성ㆍ중성ㆍ외성 성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쪽ㆍ북쪽ㆍ서쪽 성벽은 휘발하에 접해 있다. 휘발성 내성은 불규칙한 마름모 형태이다. 그 동남쪽은 자연적으로 이루어진 절벽을 이용하여 산세가 뻗어 내린 방향을 따라 성벽을 쌓았다. 내성의 둘레 길이는 706m이다. 성벽은 자갈에 황토를 섞어서 판축하였다. 성벽 외벽은 절벽과 수직을 이루어 매우 험준하다.
내성 성벽에는 모두 2곳의 성문지가 있다. 성안에는 고구려ㆍ발해ㆍ요금시기의 유물이 흩어져 있다. 내성 동남쪽에는 타원형으로 생긴 평평한 기단이 있는데 그 둘레 길이는 336.5m이다. 내성보다 4.8m 높다. 평평한 기단 중간을 기준으로 서남쪽 절벽방향으로 13m 떨어진 곳에는 흙과 돌로 만든 네모형태의 기단이 있는데 현재 높이는 2.5m, 한 변의 길이는 4m이다. 전체 성 가운데 가장 높은 곳이다. 기단 위에는 벽돌, 기와 자기 편 등의 유물이 남아있어 건축지로 생각된다. 기단 서북쪽과 내성 성벽 사이에는 높이 2.4m, 위부분의 너비 4.5m, 길이 83m에 이르는 계단이 있다. 계단은 기단을 빙 둘러서 활모양을 이루고 있다.
중성은 내성의 외곽성이다. 성벽 대부분은 평지에 쌓았으나 서북쪽과 동남쪽 일부는 산세의 방향을 따라 쌓았다. 중성의 둘레 길이는 1,313m이다. 성벽은 모두 흙과 돌을 섞어 다져 쌓았다. 성문은 성벽 중간에 있다. 성문지 양쪽 벽에는 네모 형태의 흙기단이 있다. 중성 안은 이미 경작지로 개간되었고, 도로 양쪽에서는 네모형태의 작은 기단이 많이 발견되었다. 중성 안에서 요금대와 명대의 유물이 많이 출토되었다.
외성의 평면은 타원형이며, 동서 길이는 약 1,000m, 남북 너비는 550m, 둘레 길이는 2,647m이다. 성벽은 황토에 자갈을 섞어 다져 쌓았다. 외성 동쪽과 서쪽에 2개의 성문지가 있다. 외성구역 안에서 가장 많이 출토된 유물은 화강암으로 만든 돌절구이다. 요금대와 명대의 자기와 도기가 많다. 내성의 평평한 기단에서는 회색의 베무늬가 있는 기와와 고구려시기의 붉은색 그물무늬 기와 등이 많이 발견되었다. 최근에 이 성에서는 오채 자기 항아리[瓷器罐]ㆍ청화 자기 항아리[靑花瓷罐]ㆍ귀고리 및 청동 및 말 등자 등이 출토되었다.
(중국 포털사이트 바이두에서는 내성의 둘레를 596,5m, 중성 892.3m, 외성을 1884m이며, 중성의 성벽 높이는 3m, 기단부의 너비는 12m, 상부의 너비는 2~3m로 기록하고 있다.
(http://baike.baidu.com/item/%E8%BE%89%E5%8F%91%E5%8F%A4%E5%9F%8E/5295798?fr=aladdin))
참고 :
吉林省文物志編委會 主編, 1987, 「輝南縣文物志」, 71~78쪽.
김진광, 2012, 「북국발해탐험」, 박문사, 680~682쪽.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휘발성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090_004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