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임가타자유지

林家子遺址
  • 저필자
    정동준(충남대학교)
  • 시대
    부여/발해
  • 원소장처
    吉林省 農安縣 黃魚圈鄕 六里半村 林家坨子屯
  • 시대
    발해
  • 유형
    생활
규모
남북: 20m, 동서: 100m
입지
타자는 지면보다 2m 높으며 동남 두 방향으로 150m 떨어진 곳에는 인공으로 만든 수로가 있고, 북쪽으로 100m 떨어진 곳은 송화강(松花江)이 두 갈래로 나눠지는 곳이다.
유물개관
지표면에는 대량의 도기잔편, 정족(鼎足), 그릇 손잡이(기이(器耳)), 조개껍질(방각(蚌殼))이 흩어져 있다. 이 밖에 또한 형상이 불규칙한 둔두원추형족(鈍頭圓錐形足), 원주상두병(圓柱狀豆柄), 횡단면이 원형인 교상이(橋狀耳) 등이 발견되었다.
해설
농안현(農安縣) 황어권향(黃魚圈鄕) 육리반촌(六里半村)에서 서쪽으로 2.5㎞ 떨어진 임가타자둔(林家坨子屯) 서북쪽 모래언덕 위에 있다. 모래언덕은 지면보다 2m 높으며 동남 두 방향으로 150m 떨어진 곳에는 인공으로 만든 수로가 있고, 북쪽으로 100m 떨어진 곳은 송화강(松花江)이 두 갈래로 나눠지는 곳이다.
유적은 동서 길이 100m, 남북 너비 20m이다. 이 유적에서 발견된 토기 중 솥다리, 홍갈색 토기조각, 방추차 등은 서단산문화(西團山文化) 유적과 무덤에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유물과 대체로 일치한다. 수집된 아가리 토기조각과 새끼줄무늬 토기조각, 특히 길림대학(吉林大學) 역사과(歷史科) 고고학전공(考古學專攻) 교수와 학생들이 1984년 이곳에서 수집한 손으로 빚어서 비교적 거친 무늬가 없는 갈색 뻘질 토기인 긴목항아리 1점을 보면, 이 유물은 송눈(松嫩) 평원에 폭넓게 분포하고 있는 한서문화(漢書文化) 유적과 유사하다. 이 밖에 형상이 불규칙한 원뿔 모양 솥다리, 둥근 기둥형태의 손잡이, 횡단면이 원형인 다리 형태 손잡이 등은 도기는 길림대학이 1974년 농안(農安) 전가타자(田家坨子)에서 발굴한 말갈유물과 기본적으로 같다. 지표면에서 수집된 유물로 보면, 이 유적은 그 의미가 매우 다양하여, 서쪽에 한서문화 유적이 있고, 동쪽에 서단산문화 유적이 있으며, 물길∼말갈문화도 분포되어 있다.
지표면에는 수많은 토기조각, 솥다리, 그릇 손잡이, 조개껍질이 흩어져 있다. 토기조각 중에는 홍갈색 모래 섞인 토기가 가장 많고, 일부 갈색 모래 섞인 토기나 흑회색 토기가 있다. 이 밖에 또한 형상이 불규칙한 원뿔 모양 솥다리, 둥근 기둥형태의 손잡이, 횡단면이 원형인 다리 형태 손잡이 등이 발견되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임가타자유지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080_0020_0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