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저감수(猪甘首; 위카히노오비토)

저감수(猪甘首; 위카히노오비토)
 천족언국압인명(天足彦國押人命; 아메타라시히코쿠니오시히토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저감수(猪甘首)
『고사기』 안강천황단(安康天皇段)에는 웅략천황(雄略天皇)에게 살해된 시변인치왕(市邊忍齒王)의 두 아들 의기왕(意祁王)과 원기왕(袁祁王)이 도망쳐서 산대(山代; 야마시로)의 예우정(苅羽井)에 도착하여 밥을 먹고 있자, 얼굴에 문신을 한 노인이 와서 밥을 빼앗아 갔다. 이 두 왕이 “그 밥은 아깝지 않다. 그러나 너는 누구인가?”라고 물었다. 노인이 “나는 산대의 저감(猪甘; 이카이)이다”라고 답하였다. 이 2인이 구수파(玖須婆; 구스바, 하내국 交野郡 葛葉郷)의 강을 도망쳐 건너 침간국(針間國)에 도착하여 그 국의 지자모(志自牟)라는 사람의 집에 들어가 몸을 숨기고 마감(馬甘; 우마카이), 우감(牛甘; 우시카이)으로 일하였다는 기사에 산대의 저감에 관한 전승이 보인다. 저감(猪甘)이라는 씨명은 저양(猪養; 이카히), 저사(猪飼; 이카이)라고도 쓴다. 저감수(猪甘首)는 고기를 식육으로 하는 짐승, 특히 돼지류를 기르는 사람들을 통괄하는 반조씨족이었던 데서 유래한다.
저감수(猪甘首)는 여기에만 보인다.
3. 천족언국압인명(天足彦國押人命)
천족언국압인명은 『고사기』 에는 천압대일자명(天押帶日子命; 아메오시타라시히코토미코토)으로 『일본서기』 에는 천족언국압인명(天足彦國押人命)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기기(記紀)에는 효소천황(孝昭天皇)의 아들로 나온다. 또 『일본서기』 에는 화이씨(和珥氏; 와니)의 조상이라고 기재되어 있고, 『고사기』 에는 춘일신(春日臣; 가스가노오미), 대택신(大宅臣; 오야케노오미), 율전신(栗田臣; 구리타노오미), 소야신(小野臣; 오노노오미), 시본신씨(柿本臣氏; 가키노모토노오미) 등 중앙호족 16씨의 조상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신찬성씨록』 에서는 대춘일조신(大春日朝臣) 이하 43씨의 후예씨족을 거느리고 있다. 이들 천족언국압인명을 시조로 한 각 씨는 화이(和珥)라는 족칭(族稱)하에 광범위한 의제적(擬制的) 동족집단(同族集團)을 형성한 것으로 간주된다.
천족언국압인명에 관해서는 좌경(左京) 황별(하) 「대춘일조신(大春日朝臣)」 조의 천대언국압인명(天帶彦國押人命; 아마타라시히코쿠니오시히토노미코토) 참조.
화이씨 계통 씨족의 고본계(古本系)에 관한 기록을 전하는 귀중한 사료로 평가되고 있는 〈화이계도(和邇系圖)〉에는 대난파숙녜명(大難波宿禰命)의 아우 언여명(彦汝命)의 아들인 언무우지명(彦武宇志命)의 부기에 “위점신(葦占臣), 근련(根連), 즐대조(櫛代造), 저감수(猪甘首)의 조상이다”라고 적혀 있다. 따라서 〈화이계도〉에서 저감수가 확인된다. 고계도연구회(古系圖硏究會, 대표 加藤謙吉)의 「〈화이부씨계도(和珥部氏系圖)〉에 대해서(和珥部氏系圖について)」(『중앙사학(中央史學)』 29, 2006)라는 논문에서는 〈화이(부씨)계도〉의 성립은 계도의 각 계통마다 각기 약간의 시기 차이가 존재하지만 계도가 최종적으로 통합 정비된 시기는 대략 9세기 중반에서 후반경이라고 보고 있다.
저감수(猪甘首)는 여기에만 보인다. 저감수는 효소천황(孝昭天皇)의 황자인 천족언국압인명의 후손이라 칭하고 있지만, 이 관계를 증명할 기록이 「고기」 와 「구전」 등에 존재하지 않아 세운 조상도 의문시되어 『신찬성씨록』 편찬국에서 미정잡성으로 분류하여 기재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저감수(猪甘首; 위카히노오비토)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13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