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제감부수(鵜甘部首; 우카히베노오비토)

제감부수(鵜甘部首; 우카히베노오비토)
 무내숙녜(武內宿禰; 다케시우치노스쿠네)의 아들 기서남병숙녜(己西男柄宿禰; 고세노오카라노스쿠네)의 후손이다.
 
【주석】
1. 제감부수(鵜甘部首)
『일본서기』 신무(神武) 즉위전기 무오년 8월 을미조에는 “양(梁, 나무를 쌓아서 물의 흐름을 막아서 물고기를 잡는 장치)을 만들어 물고기를 잡는 자가 있었다. 천황이 묻자 ‘신은 포저담(苞苴擔; 니헤모츠)의 아들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이는 아태(阿太; 아다, 대화국 宇智郡 아다향 지역)의 양로부(養鸕部; 우카히베)의 시조이다”라고 적혀 있다. 또 『고사기』 신무천황단(神武天皇段)에는 “길야천(吉野川) 하류에 도착했을 때 통발을 만들어 물고기를 잡고 있는 사람이 있었다. 천신인 어자가 ‘너는 누구인가?’라고 물었더니 ‘저는 국신으로 지특(贄特; 니헤모츠)의 아들입니다.[이는 아타(阿陀; 아다)의 제양(鵜養; 우카히)의 조상이다.]’라고 아뢰었다”라고 적혀 있다.
『고사기』 와 『일본서기』 기록에 따르면 제감(鵜甘; 우카히)이라는 씨명은 양로(養鸕; 우카히), 제양(鵜養; 우카히)이라고도 쓴다. 양로는 예부터 전해 내려오는 고기잡이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양로직원령(養老職員令)』 대선직(大膳職)조에 대한 『영의해(令義解)』의 주석에는 잡공호(雜供戶)로 양로가 보인다. 따라서 ‘제감부수’라는 씨명은 물고기를 잡는 일을 하는 ‘양로부’의 반조씨족이었던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제감부수(鵜甘部首)라는 씨성을 가진 사람은 여기에만 보인다.
2. 무내숙녜(武內宿禰)
『일본서기』 에는 무내숙녜(武內宿禰), 『고사기』 에는 건내숙녜(建內宿禰) 등으로 기재되어 있다. 『고사기』 에는 제8대 효원천황(孝元天皇)의 손자, 『일본서기』 에는 효원천황의 증손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경행천황(景行天皇) 14년에 출생하여 성무천황(成武天皇)대에 대신(大臣)의 지위에 올랐으며, 중애천황(仲哀天皇)을 거쳐 신공(神功)황후, 응신천황(應神天皇), 인덕천황(仁德天皇) 대까지 300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활약한 인물이라 기재되어 있다. 또 『일본서기』 에는 평군목토숙녜(平群木菟宿禰)만 부자관계로 명시되어 있지만, 『고사기』 에는 7남 2녀와 27씨의 후예씨족이 기재되어 있다. 첫째, 파다팔대숙녜(波多八代宿禰; 하타노야시로스쿠네, 羽田矢代宿禰로도 표기), 둘째, 허세소병숙녜(許勢小柄宿禰; 고세노오카라노스쿠네), 셋째, 소하석하숙녜(蘇賀石河宿禰; 소가노이시카하노스쿠네), 넷째, 평군도구숙녜(平群都久宿禰; 헤구리노츠쿠노스쿠네, 平群木菟宿禰로도 표기), 다섯째, 목각숙녜(木角宿禰; 기노츠노노스쿠네, 기각숙녜(紀角宿禰)로도 표기), 여섯째, 구미능마이도비매(久米能摩伊刀比賣; 구메노마이토히메), 일곱째, 노능이려비매(怒能伊呂比賣; 노노이로히메), 여덟째, 갈성장강증도비고(葛城長江曾都毗古; 가츠라기노나가에노소츠히코, 葛城襲津彦으로도 표기), 아홉째, 약자숙녜(若子宿禰; 와쿠고노스쿠네)이다. 따라서 무내숙녜(건내숙녜)는 계보상으로 기씨(紀氏), 거세씨, (巨勢氏), 평군씨(平群氏), 갈성씨(葛城氏), 소아씨(蘇我氏) 등 중앙의 유력 호족들의 공통 조상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혈연에 바탕을 둔 것이 아니라 의제적인 관계일 것이라 간주되고 있다.
무내숙녜(武內宿禰)에 대해서는 좌경(左京) 황별(상) 「전구조신(田口朝臣)」 조(066)의 무내숙녜대신(武內宿禰大臣) 참조.
3. 기서남병숙녜(己西男柄宿禰)
기서남병숙녜는 허세소병숙녜(許勢小柄宿禰; 고세노오카라노스쿠네) 혹은 거세웅병숙녜(巨勢雄柄宿禰; 고세노오카라노스쿠네)로도 표기된다. 기서남병숙녜는 무내숙녜의 아들로 거세씨(巨勢氏) 및 그 동족의 전설상 조상이다.
기서남병숙녜에 대해서는 우경(右京) 황별(상) 「거세조신(巨勢朝臣)」 조(120) 거세웅병숙녜 참조.
* 『고사기』 에 기재된 건내숙녜의 7남과 그 후예씨족 27씨
(1) 파다팔대숙녜는 (1)파다신(波多臣), (2)임신(林臣), (3)파미신(波美臣), (4)성천신(星川臣), (5)담해신(淡海臣), (6)장곡부군(長谷部君)의 조상이다.
(2) 허세소병숙녜는 (7)허세신(許勢臣, 혹은 巨勢臣으로도 표기), (8)작부신(雀部臣), (9)경부신(輕部臣)의 조상이다.
(3) 소하석하숙녜는 (10)소아신(蘇我臣), (11)천변신(川邊臣), (12)전중신(田中臣), (13)고향신(高向臣), (14)소치전신(小治田臣), (15)앵정신(櫻井臣), (16)안조신(岸田臣)의 조상이다.
(4) 평군도구숙녜는 (17)평군신(平群臣), (18)좌화량신(佐和良臣), (19)마어직련(馬御樴連)의 조상이다.
(5) 목각숙녜는 (20)목신(木臣, 혹은 紀臣으로도 표기), (21)도노신(都奴臣), (22) 판본신(坂本臣)의 조상이다.
(6) 갈성장강증도비고는 (23)옥수신(玉手臣), (24)적신(的臣), (25)생강신(生江臣), (26)아예나신(阿藝那臣)의 조상이다.
(7) 약자숙녜는 (27)강야재신(江野財臣)의 조상이다.
제감부수(鵜甘部首)는 『신찬성씨록』 에만 보인다. 제감부수씨(鵜甘部首氏)가 무내숙녜의 아들 기서남병숙녜의 후손이라 주장하고 있지만, 양자의 관계를 증명할 기록이 「고기」 와 「구전」 등에 존재하지 않아서 제감부수가 세운 조상도 의문시되어 미정잡성에 기재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제감부수(鵜甘部首; 우카히베노오비토)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13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