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일근조(日根造; 히네노미야츠코)

#신라(新羅)
일근조(日根造; 히네노미야츠코)
 신라국 사람 억사부사주(億斯富使主; 오시후노오미)에서 나왔다.
 
【주석】
1. 일근조(日根造)
일근(日根)이라는 씨명은 율령제 화천국(和泉國) 일근(日根; 히네)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대판부(大阪府) 천남군(泉南郡) 지역이다. 화천국 일근은 『일본서기』 에 처음 보인다. 윤공천황(允恭天皇) 8년 2월조에는 윤공천황이 황후의 질투 때문에 대화국의 비조궁(飛鳥宮)에서 멀리 떨어진 모정궁(茅渟宮)에 의통랑희(衣通郞姬)를 살게 하고 일근야(日根野)에서 유렵한다고 하면서 자주 드나들었다는 이야기가 적혀 있다.
일근조씨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천평 12년(740) 12월 갑진조에 기재된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로 승진한 일근조대전(日根造大田)을 들 수 있다. 성무천황(聖武天皇) 대에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로 승진한 것은 고대 일본 율령국가에서 5위 이상의 관위를 가지는 것으로서 귀족 대열에 들어섰음을 의미한다. 지방관이라면 상국(上國)의 장관[守]에 임명될 수 있는 관위였다. 외종5위하가 된 일근조대전은 고문서에도 이름이 보인다. 「천평 15년(743) 정월 7일자 우바새공진해(天平十五年正月七日付 優婆塞貢進解)」(『대일본고문서』 2-331)에 의하면 외종5위하 훈 12등 일근조대전이 하내국 일근군 가미향(可美鄕)의 호주 일근조야마(日根造夜麻)의 호구로 당시 39세였던 신국련저감(辛國連猪甘)을 출가인으로 공진하고 있다. 740년 11월에 외종5위하로 승진한 일근조대전이 743년 1월에 외종5위하 훈12등으로 동족 일근조야마의 호구 신국련저감을 출가시켜 성무천황에게 바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이 사료를 통해 일근조대전의 근거지가 하내국 일근군 가미향임을 알 수 있다. 일근군은 『속일본기』 에 의하면 원정천황(元正天皇)영귀(靈龜) 2년(716) 3월 계묘(27일)조에는 “하내국에서 화천군(和泉郡)과 일근군(日根郡)을 분할하였다”라고 하고, 4월 갑자(19일)조에는 “하내국에서 대조군(大鳥郡)도 분할하여 이들 지역에 화천감(和泉監)을 설치하였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화천감은 화천국으로도 표기되므로 화천국 소속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 후 천평 12년(740) 8월 갑술(20일)조에는 화천감을 폐지하고 그 관할 지역을 하내국에 소속되게 하였다가, 천평승보(天平勝寶) 9년(757) 5월 을묘(8일)조에는 다시 분할하여 화천국을 설치하였다. 따라서 일근군은 처음에는 하내국 소속이었으나 716년에 화천국 소속이 되었다가, 740년에 다시 하내국 소속, 757년에 화천국 소속이 된 것이다. 또 「천평 10년 4월 5일 화천감정세장(天平十年四月五日 和泉監正稅帳)」(『大日本古文書』2-93~97)에는 화천국 일근군(日根郡)의 대령(大領) 일근조옥전(日根造玉纏)과 일근군의 의주장(擬主帳) 일근조오백족(日根造五百足)이 보인다. 화천국 일근군에서 장관(大領)과 4등관(主帳)을 모두 일근조씨가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율령제에서 일반적으로 군령(郡領)은 군의 유력 호족이 세습하였으므로, 일근조씨는 8세기 초 국군제가 시작되었을 때부터 화천국 일근군의 군령으로 근무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하내국 일근군 가미향이 일근조씨의 근거지였음은, 연월이 빠진 「공진사정력명장(貢進仕丁歷名帳)」(『대일본고문서』 25-94)의 하내국 일근군 하미향 호주 외대초위하(外大初位下) 인근조안필등(日根造安必登)과 그의 호구로 24세 일근조도마려(日根造桃麻呂)를 통해 알 수 있다. 이 자료는 연대 표기가 없지만 일근군이 하내국 소속으로 표기된 점으로 보아 일근군이 하내국에 소속되었던 740년 8월 20일 이후 757년 5월 7일 이전의 것으로 추정된다. 또 10세기 전반에 편찬된 『화명유취초(和名類聚抄)』 에 화천국 일근군이 보이며, 『연희식(延喜式)』 신명장(神名帳)에는 화천국 일근군에 일근신사(日根神社)가 보이므로 일근조씨가 이 지역에서 계속 거주하였음은 알 수 있다.
2. 억사부사주(億斯富使主)
억사부사주는 여기에만 보인다. 다만 일근신사는 현재도 대판부 천좌야시(泉佐野市) 일근야(日根野)에 존재하고 있는데, 일근조씨의 조상 억사부사주는 일근신사의 제신(祭神)가운데 하나로 모셔져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일근조(日根造; 히네노미야츠코)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50_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