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봉전약사(蜂田藥師; 하치타노쿠스시)

봉전약사(蜂田藥師; 하치타노쿠스시)
 오국(吳國) 사람 도구이리구이(都久爾理久爾; 츠쿠니리쿠니)에서 나왔다.[고기(古記)에는 노구리(怒久利; 누쿠리)라고 적혀 있다.]
 
【주석】
1. 봉전약사(蜂田藥師)
봉전씨(蜂田氏)는 화천국(和泉國) 신별(神別) 「봉전련(蜂田連)」 조에도 게재되어 있고, 바로 앞 조에도 오주(吳主) 손권왕(孫權王) 계통의 봉전약사가 게재되어 있다.
봉전(蜂田)이라는 씨명은 율령제하 화천국(和泉國) 대도(大島) 봉전(蜂田; 하치다)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대판부(大阪府) 계시(堺市) 중구(中區) 팔전사정(八田寺町), 팔전남지정(八田南之町) 일대로 추정된다. 약사(藥師)는 약사직에 종사하였음을 나타내는 칭호가 성(姓; 가바네)이 된 것이다.
봉전약사 일족의 인명은 앞의 「봉전약사」 조(1054) 참조.
2. 도구이리구이(都久爾理久爾)
이 인물은 여기에만 보인다.
3. 고기(古記)
시조 ‘도구이리구이’에 「고기」 를 인용한 분주가 달려 있다. 『신찬성씨록』 에 「고기」 가 분주로 기재된 사례는 본조 외에도 좌경 신별(상) 「등원조신(藤原朝臣)」 조(336), 좌경 신별(하) 「석변공(石邊公)」 조(417), 산성국제번 「진기촌(秦忌寸)」 조(914), 하내국 제번 「임련(林連)」 조(1035) 등에도 보인다.
『신찬성씨록』 의 서문에는 새로 제출된 「본계」 에 기재된 각 씨족이 주장한 내용을 「고기(古記)」 와 「구사(舊史)」 와 비교 검토하여 보족(補足), 정정(訂正)하였다고 적혀 있다. 따라서 관황(關晃; 세키 아키라)은 「고기」 가운데 가장 중시된 것이 『일본서기』 라고 설명하였다. 또 좌백유청(佐伯有淸; 사에키 아리키요)은 관황의 지적을 기반으로 삼아 『신찬성씨록』 의 부기(附記)에 기재된 내용 등을 함께 검토하여 서문의 「고기」 와 상표문의 「구문」 이 『일본서기』, 『고사기』, 『속일본기』 와 성(姓)에 관한 관부류(官符類) 등 다수의 기록물을 가리킨다고 설명하였다. 그런데 상표문에는 각 씨족의 주장이 기술된 새로 제출된 본계, 즉 「신계(新系)」 혹은 신진본계(新進本系)를 서고의 「구문(舊文)」 과 교합하여 『신찬성씨록』 에 수록하였다고 적혀 있고, 서문에는 「고기」 와 「구사」 를 교합하여 『신찬성씨록』 에 기재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신찬성씨록』 편찬의 기준 가운데 하나인 ‘삼례(三例)’의 판정에도 「고기」 가 기준의 하나로 등장한다. 따라서 『신찬성씨록』편찬의 주된 자료인 「신진본계」 의 감교에 사용된 「구문」, 「고기」, 「구사」 가 무엇인지는 『신찬성씨록』 편찬 때 조정의 서고에 소장된 씨성의 감교 자료로 어떤 것이 존재했는지를 살피는 것에서 시작할 필요가 있다.
『신찬성씨록』 이 편찬된 시대인 홍인 3년(813)부터 홍인 4년(814)에 걸쳐 진행된 『일본서기』 의 강서, 즉 『홍인강서(弘仁講書)』 는 씨성의 혼란을 정리하고 고어(古語)의 복원과 보존 등을 표방하였다. 『일본서기』 의 홍인강서에 관한 사기, 이른바 『홍인사기(弘仁私記)』 에는 조정과 민간에 소장된 씨성 관련 사서(史書)와 문서(文書)에 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홍인사기』 서문에 기재된 당시 조정에 소장된 씨성 관계 문헌인 『고사기』, 『일본서기』, 『제왕계도』, 『속일본기』 등의 사서류가 「신진본계」 의 감교를 담당한 「구사」 에 해당되고, 성무천황(聖武天皇; 쇼무텐노) 때 제출된 여러 씨의 본계와 경오년적(庚午年籍), 치부성(治部省)에 보관된 씨족 계보, 태정관부(太政官符) 등의 문서류가 「신진본계」 의 감교를 담당한 「고기」 에 해당된다. 특히 각 씨족이 제출한 「신진본계」에서 주장하는 동조관계의 사실 여부는 조정의 비고에 소장된 ‘성무조에 제출된 각 씨족이 제출한 「본계」 등의 문서류’, 즉 「고기」 와 「본종씨의 본계」 를 비교, 검토한 뒤에 ‘삼례’로 분류하여 『신찬성씨록』 에 게재하였다.
4. 노구리(怒久利)
노구리와 유사한 인명으로는 『일본서기(日本書紀)』 계체(繼體) 24년(530) 9월조에 “아리사등(阿利斯等)이 노수구리(奴須久利)를 백제에 사신으로 보내어 군사를 청하였다”라는 기록에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봉전약사(蜂田藥師; 하치타노쿠스시)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50_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