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고도련(高道連; 다카미치노무라지)

고도련(高道連; 다카미치노무라지)
 위와 같다.
 
【주석】
1. 고도련(高道連)
고도(高道)의 씨명에 대해서는 지명인지 미칭인지 확실하지 않다. 고도련의 옛 성은 옥작(玉作)이다. 『일본후기』홍인(弘仁) 2년(811) 정월조에 하내국인(河內國人) 종8위상 옥작조조(玉作鲷釣)가 고도련(高道連)의 성을 받았다고 한다. 이후 고도련은 고도숙녜(高道宿禰)로 개성한다. 『일본후기』 홍인 6년(815) 7월 임신조에 하내국인(河內國人) 종7위하 고도련조조(高道連鲷釣) 등 5인이 좌경으로 호적을 옮겼다는 고조련씨가 보인다. 그는 홍인 7년(816) 정월에 외종5위하로 승진하였고(『類聚國史』 99, 敍位, 弘仁 7년 정월조), 동 10년(819) 정월에는 종5위하(『類聚國史』 99, 敍位, 弘仁 10년 정월조)가 된다. 이어 천장(天長) 10년(833) 11월에 종5위상이 되고(『속일본후기』 천장 10년 11월조), 승화(承和) 6년(839)에는 정5위하로 승진하면서 섭진수(攝津守)에 서임되었다(『속일본후기』承和 6년 정월조). 천장(天長) 10년(833) 11월부터 고도숙녜조조(高道宿禰鲷釣)라는 인명으로 기록되어 있어 고도련(高道連)에서 고도숙녜(高道宿禰)로 씨성의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 동상(同上)
원문에는 앞의 「하왈좌(下曰佐)」 조(1015)와 동일하게 “한(漢) 고조(高祖)의 아들 제도혜왕비(齊悼惠王肥)의 후손으로부터 나왔다(出自漢高祖男齊悼惠王肥之後也.)”라고 기록되어 있었을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도련(高道連; 다카미치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40_0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