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촌주(村主; 스구리)

촌주(村主; 스구리)
 위옥촌주(葦屋村主; 아시야노스구리)와 같은 조상이고, 의보하라지왕(意寶荷羅支王; 오호카라키와우)의 후손이다.
 
【주석】
1. 촌주(村主)
촌주의 씨명은 촌촌(村寸), 주촌(主村)으로도 쓴다. 촌주가 고대 한국어의 족장을 의미하는 명칭에서 유래한다는 설이 있다. 촌주를 ‘스구리’라고 읽을 때, 촌(村)은 ‘시골’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생각한다.
촌주씨의 일족으로는 천평 15년 7월 29부 「사관일체경소해신고삭사(寫官一切經所解申告朔事)」(『大日本古文書』 8-227)에는 사경사인 촌주오백국(村主五百國) 등 다수의 인명이 나온다. 『유취국사(類聚國史)』 40(采女, 天長 7년 6월 신해조)에 여유이세국인(女孺伊勢國人) 촌주궁도(村主宮道)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세국에는 안농군(安濃郡)에 촌주향(村主鄕)이 있어 그는 이 지역이 본거지였을 것이다. 『일본문덕천황실록』 가상(嘉祥) 3년(850) 9월 임오조에는 우경인(右京人) 촌주금성(村主岑成)이 섭진국(攝津國) 도상군(上郡) 강가에서 흰 거북을 포획해서 바쳤다고 특기하고 있다.
『신찬성씨록』 미정잡성에 나오는 산성국 「촌주」 조(1106)에 “한사건왕(漢師建王)의 후손이다”라고 하고 동 대화국 「촌주」 조에는 “한고수왕(漢高受王)의 후손이다”라고 하는 등 중국 한을 출자로 하고 있어 본조의 백제 출자설과는 다르다.
2. 위옥촌주(葦屋村主)
위옥촌주에 대해서는 화천국(和泉國) 제번 「위옥촌주」 조(1062) 참조.
3. 의보하라지왕(意寶荷羅支王)
화천국(和泉國) 제번의 「위옥촌주」 조(1062)에도 “백제 의보하라지왕(意寶荷羅支王)이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의보하라지왕의 의보하라는 『일본서기』 수인기(垂仁紀) 2년 시세조에 에 보이는 국명 의부가라(意富加羅)와 관련이 있다고 보인다. 『삼국유사』 「가락국기」 에 대가락(大駕洛)이라고 기록하고 있듯이 김해의 금관국에 해당한다. 촌주(村主), 위옥촌주(葦屋村主)의 원출자는 금관국으로 생각된다. 하내국(河內國) 제번 「자전승(茨田勝)」 조에 보이는 의부가모지군(意富加牟枳君)은 의보하라지왕(意寶荷羅支王)과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촌주(村主; 스구리)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30_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