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승(勝)

승(勝)
 상승(上勝; 가미노스구리)과 조상이 같으며, 백제국인(百濟國人) 다리수수(多利須須)의 후손이다.
 
【주석】
1. 승(勝)
승은 촌주(村主)와 같이 ‘스구리’로 읽는다. 촌을 한국어로 ‘시골’이라 하듯이 ‘시골’에서 ‘스구리’가 나왔다고 생각한다. 즉 ‘스구리’는 한국 고대어에서 기원을 갖는다.
승씨(勝氏)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서명기(舒明紀) 4년(632) 7월조에 견당사로 파견되었다가 귀국한 승조양(勝鳥養)이 보인다. 이 인물은 이른 시기에 이주한 백제계의 후손으로 생각된다. 『정창원문서』 천평승보(天平勝寶) 2년(750) 2월 24일부 종7위상 행령사(行令史) 승자승(勝子僧)의 날짜와 서명에 기록된 「관노비해(官奴婢解)」(『대일본고문서』 3-366)에는 대화국 금광명사(金光明寺)에 보내는 200명의 관노비가 역명(歷名)되어 있다. 승자승은 해당 관부의 실무 책임자로 생각된다. 천평(天平) 8년(736) 7월 1일부 「사소소해(寫疏所解)」(『대일본고문서』 2-2) 등에는 사경소에 근무하는 승광기(勝廣埼)의 업무 일지가 산견된다. 천평승보 4년(752) 4월 4일부 「사경소청경문(寫經所請經文)」(『대일본고문서』12-265)에는 주자(廚子)를 채색하는 화공사로서 승옥충(勝玉虫)이 나온다. 천평(天平) 5년(733) 2월 22일부 「경사승택족청가해(經師勝宅足請暇解)」(『대일본고문서』15-100)는 사경사 승택족이 올린 휴가를 청원하는 문서이다. 대보(大寶) 3년(703) 「풍전국중진군정리호적(豐前國仲津郡丁里戶籍)」 에는 호주 승마수(勝馬手)의 나이는 44세이고, 11명의 승씨 가족과 모친 그리고 잔질(殘疾)이라 하여 1명이 포함된 14인이 명기되어 있고, 이어 동 호주 승장□(勝長□)의 나이는 77세이고, 호구는 승씨 22명을 포함하여 27명이 기재되어 있다(『대일본고문서』 1-162~167).
한편 『속일본기』 연력(延曆) 4년(785) 12월조에는 근강국(近江國) 사람인 승수익마려(勝首益麻呂)가 3만6천여 인의 역부에게 개인 식료를 지급하여 조정에 진상한 덕분에 종7위하에서 종5위상으로 진급했으나 이를 아버지 승진공(勝眞公)에게 양도하여 허락받았다는 기록도 보인다. 그는 근강국의 호족으로 거부였던 것으로 보인다. 『일본후기』연력 16년(797) 2월조에 중무사생(中務史生) 대초위하 승계성(勝繼成)에게 관위 1계를 승진시켰다는 기록도 있다.
2. 상승(上勝)
『평안유문(平安遺文)』(2-700, 2-701) 「산성국기이군사해(山城國紀伊郡司解)」 에 군사(郡司)로서 상승(上勝)의 씨명이 보인다. 상승씨(上勝氏)의 거주지가 산성국(山城國)이었음을 알 수 있다.
3. 다리수수(多利須須)
다리수수는 전리수수(田利須須), 태리수수(太利須須)와 같다. 다리수수에 대해서는 우경(右京) 제번(상) 「공조(工造)」 조(849)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승(勝)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10_0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