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서풍 서차구 유적

西豊 西岔溝 遺蹟
  • 저필자
    이후석(숭실대학교)
  • 작성자
    東北博物館
  • 날짜
    1956
  • 시대
    전한대
  • 위치
  • 원소장처
    요령성 철령시 서풍현 낙선향 집중촌
  • 시대
    상고사
  • 유형
    무덤
유적개관
* 유적은 요녕성(遼寧省) 철령시(鐵嶺市) 서풍현(西豊縣) 낙선향(樂善鄕) 집중촌(執中村)에 위치함.
* 산을 끼고, 물 가까이에 입지함.
* 남향으로, 구릉의 정상에서 사면까지 줄을 지어 호(弧)를 이루며 분포함.
* 모든 무덤이 중심 무덤 구역을 중심으로 분포함. 동부, 서부, 중심부로 나뉘며 중심부에 가장 밀집되게 분포함.
* 1956년 5월 발견함.
* 1956년 5월 29일부터 9월 7일까지 東北博物館에서 발굴함.
* 63기의 무덤을 확인하였고, 13850여점의 유물이 출토됨.
* 유적은 서한(西漢) 조기(早期)부터 중기(中期)의 유적임.
유구개관
* 63기의 토광묘가 확인됨.
유물개관
* 청동기를 비롯한 각종 유물 13850여점이 출토됨.
참고문헌
孫守道, 「匈奴西岔溝文化古墓群的發現」, 『文物』 第8·9期, 1960
孫守道, 「西岔溝古墓群西漢銅鏡斷代硏究」, 『遼海文物學刊』 第1期, 1995
해설
유적은 차구하(岔溝河)의 동편으로 마을사람들이 ‘금산(金山)’이라 부르기도 하는 해발 295m의 구릉 남쪽 능선 위에 위치한다. 유적의 범위는 약 12,000㎡이고, 약 500기 내외의 무덤들이 ‘人’자형을 이루는 가지 능선의 남사면과 동서사면에 밀집 분포한다. 1956년에 모두 63기가 조사되었으나 그 전후로 다수가 도굴되었으며, 회수유물을 포함하여 14,000점에 가까운 유물이 출토되었다고 하나 일부만이 보고되어 있다.
무덤들은 나무널[목관(木棺)] 또는 나무덧널[목곽(木槨)] 구조의 움무덤[토광묘(土壙墓)]에 해당된다. 무덤구덩이는 평면 장방형이며, 주축은 등고선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북서-남동방향이다. 피장자의 머리방향은 북서방향이며 단인장이다. 무덤구덩이에서는 말치아도 확인되어 동물순생(動物殉牲)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출토유물은 청동자루를 철검에 연접하는 동병철검(銅柄鐵劍)과 철제장검(鐵製長劍), 고리자루쇠칼[환수철도(環首鐵刀)], 철모(鐵鉾), 철촉(鐵鏃), 투부(鬪斧) 등의 철기류와 동모(銅鉾), 동촉(銅鏃), 말얼굴가리개[청동당로(靑銅當盧)], 말띠연결장식[청동절약(靑銅節約)], 청동말방울[동탁(銅鐸)], 청동방울[동령(銅鈴)], 청동도끼[동부(銅斧)], 청동동물무늬장식품[청동동물문패식(靑銅動物文牌飾) 호신용거울모양장식품[동호심경(銅護心鏡)] 등의 청동유물, 숫돌[지석(砥石)] 등의 석기류, 항아리[호(壺)], 바리[발(鉢)], 굽접시[두(豆)], 잔[배(杯)] 등의 토기류로 다양하다.
출토유물 가운데 무기류가 많아 군사적인 성격이 현저한데, 동병철검과 철제장검은 71점, 철모는 45점, 동모는 3점, 동촉과 철촉은 1,000 여점이나 된다. 주로 피장자의 좌측 허리 부근에서 출토되었고, 촉류만이 그 위나 아래에서 출토되었다. 금은제귀고리는 길림 남부지역에서 주로 확인되는 형식으로 무덤마다 1점 정도가 출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물무늬패식은 북방계의 역동적인 동물상이 투조되어 있는 것이 특징으로 20여매가 확인된다. 이외에도 토기류는 300여점이 출토되었는데, 기본적으로는 홍갈색과 회흑색의 무문토기이다. 토착계, 전한계, 북방계 등 다양한 계통이 섞여 있다. 주로 머리 부근에서 2~6점이 출토되었다.
한대 청동거울 77점과 동전 52매가 출토되어 편년의 기준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청동거울은 기원전 1세기 후반경에 유행하는 ‘S’자형의 간략화된 용무늬가 있는 변형반리문경(變形蟠螭文鏡)이 가장 많고, 기원전 2세기 후반~1세기 전반경에 유행하는 풀잎무늬거울[초엽문경(草葉文鏡)]과 구름무늬거울[성운문경(星雲文鏡)]이 그 다음이며, 기원전 1세기 후반경에 유행하는 문자무늬거울[일광경(日光鏡)]과 기원전 1세기 말엽경에 유행하는 훼룡문경(虺龍文鏡)이 1~2점으로 가장 적다. 동전은 전국 후기 연나라의 동전인 일화전(一化錢)이 2매, 진나라의 동전인 반량전(半兩錢)이 2매, 전한 전기 한나라의 반량전이 18매, 전한 중기 이후의 오수전(五銖錢)이 30매이다.
묘지의 연대는 전한대의 청동거울과 동전으로 보아 전국 전기~후기 또는 기원전 2~1세기대로 추정되고 있다. 중원계의 한대문화 관련 유물과 북방계의 흉노문화 관련 유물, 예맥계의 토착문화 관련 유물이 복합되어 있어 묘지 조영집단에 대해서는 오환(烏丸) 또는 부여(夫餘) 관련 집단으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서풍 서차구 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1_0010_0090_001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