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속자치통감장편

거란과 북방 오랑캐들의 군대에 대해 방비해야 한다는 지제고(知制誥) 장방평(張方平)의 상언

  • 날짜
    1044년 6월 (음)(慶曆 4年(1044) 6월)
  • 출전
    卷150 慶曆 4年(1044) 6월
知制誥張方平言, “臣微聞外言, 北敵不守封略, 築城鄙上, 邊吏諜知料閱兵馬, 且復遣使來. 事固未審虛實, 然國家與敵通已四十年, 事窮必變, 利盡則交疏, 理之常者, 顧但紓緩歲月. 北方諸戎羈從於敵者, 如步奚·高麗·韃靼常內懷不服, 特強役屬之爾. 去冬敵以衆臨河西, 自以爲拾芥之易, 既而遁散以歸, 內羞諸戎, 且疑我之納夏人, 既羞且疑, 則其起辭生事, 思有逞於我, 豈保無他. 夫兵, 危事也, 不當易言之. 若信好可結, 朝廷豈願交兵四夷, 即事至於不獲已, 亦在上下奮勵, 講所以折衝之策, 圖所以式遏之算. 河朔之兵, 不啻三十萬, 邊境千里, 塘水占三分之二, 得以專力而控其要害城邑樓櫓, 守在九天之上. 若頓重師澶·魏·中山, 堅壁而勿與戰, 清野以待其敝, 出奇伺便, 邀其重歸, 是不可勝在我, 可勝在敵矣.
且敵久與中原通, 甘心豢餌, 其貴人習於驕佚, 其部人不練於戰鬬, 於其本俗衰弊已甚, 而又母子兄弟, 內結疑隙, 上下離貳, 此其危亂之形, 中國可乘之機會. 若朝廷有意於遠略, 幽·薊可圖也, 尙能爲中原之患哉. 陛下誠震其威靈, 廟堂審其計議, 內外文武各致其力, 使敵一舉而不得志, 不有內變, 必有外叛, 諸戎勢且瓦解, 山後之地, 天其或者使復合於中土, 未可知也. 臣願陛下思患預防, 考謀事先, 秋氣漸清, 宮殿涼爽, 時因燕閑, 延對大臣, 俾各盡其謀猷, 以定其帷幄. 一日有邊境之急, 庶幾無倉卒之擾. 今西疆初寧, 縱不保其久, 未有旦夕之虞也, 其將校可任者, 稍徙河北, 使得與士卒相服習, 漸諳土俗. 至於選官吏·峙糗糧·繕器械·葺廄牧, 皆當今切務而可以素備者也. 備而未用, 爲政之常, 臨事紛紜, 何以鎭靜. 此皆朝廷塵熟之論, 而儒生之常談. 臣忝在近班, 愚慮所及, 不敢自隱, 惟宸鑒裁擇.”

색인어
이름
張方平
지명
步奚, 高麗, 韃靼, 河朔, 中山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거란과 북방 오랑캐들의 군대에 대해 방비해야 한다는 지제고(知制誥) 장방평(張方平)의 상언 자료번호 : jt.d_0004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