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한나라가 이광리(李廣利), 공손오(公孫敖), 이릉(李陵)을 보내 흉노와 전투를 벌임

  • 국가
    흉노(匈奴)
그 이듬해주 001
각주 001)
漢 武帝 天漢 2년(전99)이다.
닫기
한나라에서는 이사장군 [이]광리 주 002
각주 002)
『漢書』에는 “廣利”가 없다.
닫기
를 시켜 삼만 기를 거느리고 주천에서 나가 천산(天山) 주 003
각주 003)
天山 : 산의 명칭인데, 다양한 위치 비정이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張掖縣에 있는 祁連山이 아니라 지금의 新疆維吾爾自治區 하미(哈蜜 : 伊州) 이북의 巴里坤 哈薩克自治縣 부근에 있는 蒲類海 근처에 위치한 天山을 가리킨다.
닫기
에서 우현왕을 공격해 흉노의 수급과 포로 만여 인을 얻어 돌아왔다. 흉노가 이사장군을 포위하니 거의 빠져나가지 못하였다.주 004
각주 004)
『漢書』에는 “幾不得脫”로 되어 있다.
닫기
한나라 군대는 열에 여섯 일곱을 잃었다. 한나라에서는 다시주 005
각주 005)
『漢書』에는 “又”로 되어 있다.
닫기
인우장군 [공손]오를 시켜 서하(西河) 주 006
각주 006)
西河 : 강의 명칭이 아니라, 지금의 內蒙古自治區, 山西省, 陝西省 변경지대로 陝西 東部 黃河 西岸을 통칭한다.
닫기
에서 나가 강노도위(彊弩都尉)주 007
각주 007)
“彊弩都尉”는 路博德을 말한다. 그는 驃騎將軍을 따라 공을 세워 符離侯가 되었다. 그는 이후 죄를 지어 侯를 잃었다가 彊弩都尉가 되어 居延에 주둔했다.
닫기
[노박덕과] 탁야산(涿涂山) 주 008
각주 008)
涿涂山 : 음은 ‘탁야산’이다. 산 명칭으로 內蒙古의 居延海의 서북에서 떨어진 지금 몽골공화국의 西部에 있는 만달 고비 부근에 위치하고 있었다. 『漢書』의 기록처럼 일명 ‘涿邪山’이라고도 한다
닫기
에서 만났으나 얻은 바가 없었다. 또, 기도위(騎都尉) 이릉(李陵) 주 009
각주 009)
李陵(? ~ 전74) : 자는 小卿으로 隴西 成紀(지금의 甘肅城 秦安縣) 사람이다. 명장 李廣의 손자로 병사 8백 기를 이끌고 匈奴로 쳐들어가 2천 리를 들어가 지형을 살피고 돌아와 騎都尉가 되었다. 하지만 5천 명의 보병으로 匈奴를 공격하다가 잡히게 되었다. 그 이후 가족이 배신자로 낙인찍혀 죽임을 당하자 匈奴에 투항하게 되었다(『史記』 권109 「李將軍列傳」 : 2877 ~ 2878). 司馬遷은 그를 변호하다가 궁형을 당하는 비운을 맞았다. 그가 이후 蘇武에게 보낸 편지가 『文選』에 남아 있다(도미야 이타루, 2003 : 11 ~ 19).
닫기
을 시켜 보병과 기병주 010
각주 010)
李陵이 이끌고 匈奴를 공격한 부대는 ‘步兵과 騎兵’이 아니라 步兵이었다. 『漢書』 권62 「司馬遷傳」 “且李陵提步卒不滿五千, 深踐戎馬之地, 足歷王庭, 垂餌虎口, 橫挑彊胡, 卬億萬之師, 與單于連戰十餘日, 所殺過當. ……” 또한 『漢書』 권54 「李陵傳」, 太史公『報任少卿書』, 荀悅 『漢紀』, 『資治通鑑』 등에서 모두 “步卒”로 기록하고 있다.
닫기
5천을 거느리고 거연에서 북쪽으로 천여 리 나아가 선우와 만나 전투를 벌여 [이]릉이 [흉노병] 만여 명을 죽이거나 상하게 하였다. [그러나] 병력과 식량이 다 떨어져 [포위를] 풀고 돌아오려고 하자주 011
각주 011)
『漢書』에는 “兵食盡, 欲歸”고 되어 있다.
닫기
흉노가주 012
각주 012)
『漢書』에는 “單于”로 되어 있다.
닫기
[이]릉을 포위하니 [이]릉이 흉노에 투항하고 그의 병사가 다 항복하니 돌아올 수 있었던 자가 겨우 4백 명이었다.주 013
각주 013)
『漢書』에는 “其兵得脫歸漢者四百人”고 되어 있다.
닫기
선우는 이에 [이]릉을 귀하게 여겨 그의 딸을 아내로 삼게 했다.주 014
각주 014)
『漢書』 「李陵傳」에도 동일하게 “單于壯陵, 以女妻之, 立爲右校王.”라고 되어 있다.
닫기


  • 각주 001)
    漢 武帝 天漢 2년(전99)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2)
    『漢書』에는 “廣利”가 없다.
     바로가기
  • 각주 003)
    天山 : 산의 명칭인데, 다양한 위치 비정이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張掖縣에 있는 祁連山이 아니라 지금의 新疆維吾爾自治區 하미(哈蜜 : 伊州) 이북의 巴里坤 哈薩克自治縣 부근에 있는 蒲類海 근처에 위치한 天山을 가리킨다.
     바로가기
  • 각주 004)
    『漢書』에는 “幾不得脫”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5)
    『漢書』에는 “又”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西河 : 강의 명칭이 아니라, 지금의 內蒙古自治區, 山西省, 陝西省 변경지대로 陝西 東部 黃河 西岸을 통칭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7)
    “彊弩都尉”는 路博德을 말한다. 그는 驃騎將軍을 따라 공을 세워 符離侯가 되었다. 그는 이후 죄를 지어 侯를 잃었다가 彊弩都尉가 되어 居延에 주둔했다.
     바로가기
  • 각주 008)
    涿涂山 : 음은 ‘탁야산’이다. 산 명칭으로 內蒙古의 居延海의 서북에서 떨어진 지금 몽골공화국의 西部에 있는 만달 고비 부근에 위치하고 있었다. 『漢書』의 기록처럼 일명 ‘涿邪山’이라고도 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9)
    李陵(? ~ 전74) : 자는 小卿으로 隴西 成紀(지금의 甘肅城 秦安縣) 사람이다. 명장 李廣의 손자로 병사 8백 기를 이끌고 匈奴로 쳐들어가 2천 리를 들어가 지형을 살피고 돌아와 騎都尉가 되었다. 하지만 5천 명의 보병으로 匈奴를 공격하다가 잡히게 되었다. 그 이후 가족이 배신자로 낙인찍혀 죽임을 당하자 匈奴에 투항하게 되었다(『史記』 권109 「李將軍列傳」 : 2877 ~ 2878). 司馬遷은 그를 변호하다가 궁형을 당하는 비운을 맞았다. 그가 이후 蘇武에게 보낸 편지가 『文選』에 남아 있다(도미야 이타루, 2003 : 11 ~ 19).
     바로가기
  • 각주 010)
    李陵이 이끌고 匈奴를 공격한 부대는 ‘步兵과 騎兵’이 아니라 步兵이었다. 『漢書』 권62 「司馬遷傳」 “且李陵提步卒不滿五千, 深踐戎馬之地, 足歷王庭, 垂餌虎口, 橫挑彊胡, 卬億萬之師, 與單于連戰十餘日, 所殺過當. ……” 또한 『漢書』 권54 「李陵傳」, 太史公『報任少卿書』, 荀悅 『漢紀』, 『資治通鑑』 등에서 모두 “步卒”로 기록하고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1)
    『漢書』에는 “兵食盡, 欲歸”고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2)
    『漢書』에는 “單于”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3)
    『漢書』에는 “其兵得脫歸漢者四百人”고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4)
    『漢書』 「李陵傳」에도 동일하게 “單于壯陵, 以女妻之, 立爲右校王.”라고 되어 있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이]광리, [공손]오, 노박덕, 이릉(李陵), [이]릉, [이]릉, [이]릉
지명
한나라, 주천, 천산(天山), 한나라, 한나라, 서하(西河), 탁야산(涿涂山), 거연, [이]릉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한나라가 이광리(李廣利), 공손오(公孫敖), 이릉(李陵)을 보내 흉노와 전투를 벌임 자료번호 : jo.k_0001_0110_0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