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근세 한일관계 사료집

조선 국왕에게 보내는 구보님의 답신과 답례품

一. 동월 11일 조선 국왕에게 보내는 구보님의 회답국서 상자는 혼다 사슈·오쿠보 소슈·사카이 우타노카미 3인이 사자(御使)로서 [지참하고] 칙사의 숙소인 혼세이지(本誓寺)를 방문했다. 칙사는 툇마루로 나가 맞이하였고, 3인의
  사자는 같은 툇마루로 불려 올라갔다. 국서 상자를 김첨지가 받아서 상석의 탁자에 올렸다. 곧 국서 상자를 향하여 칙사가 네 번 반 절을 했고, 3인의 사자를 연회장으로 불러들여 두 번 서로 배례했으며, 6인이 서로 마주보고 의자(曲彔)주 001
각주 001)
교쿠로쿠(曲六): 법회(法會) 등에서 선승이 앉는 의자.
닫기
에 앉았다.
一. 구보님으로부터 칙사에게 답례품으로 장태도(長太刀)주 002
각주 002)
나가타치(長太刀): 의장에 사용하는 가늘고 긴 다치(太刀). 혹은 중세 이래 무사가 외출할 때 종자에게 들게 했던 위세용의 큰 다치.
닫기
를 15자루 〈단, 1인당 긴 칼 5자루씩〉를 15명에게 들게 하여 툇마루에 서게 했다. 은자(銀子) 600매(枚)는 3개의 대(臺)에 첨지로 나열하여 보여주었다.
一. 김첨지·박첨지 2인에게 은자 100매〈단, 1인에게 50매씩〉
一. 상관 30인, 중관 155인에게 은자 400매를 주셨다. 남은 관인들에게도
一. 하인 216인에게 동전(烏目)주 003
각주 003)
초모쿠(鳥目): 동전. 에도시대의 동전은 중심에 구멍이 있어 마치 새 눈 같은 모양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
닫기
500관(貫) 〈남은 자들에게도〉
一. 답례품 건네는 것을 마치고 혼다 사슈가 구보님의 말씀을 담은 구장(口狀)주 004
각주 004)
구상서(口上書). 구두로 말한 사항을 문서로 작성한 것.
닫기
을 건넸다.
  답례품 및 대접을 모두 극진하게 분부해 주셔서 감사하다는 칙사의 의향에 회답을 하셨다. 서로 인사 2·3회를 하고 칙사가 따뜻한 차(茶)주 005
각주 005)
원문의 ‘湯’은 차(茶)로 번역했다. 1624년 통신사행을 기록한 『寬永元甲子年朝鮮信使來聘江戶往來日帳』(본서수록) 10월 5일조에도 통신사가 쓰시마 번주 소씨와 야나가와씨에게 조선의 차를 두 번 대접했다고 되어 있다.
닫기
를 두 번 내왔다. 감사하다는 칙사의 뜻을 사자로서 [구보님에게] 전하겠다고 말했다.
  이상
一. 하시바 쓰시마노카미는 같은 날 밤 구보님에게 불려가 여러 가지로 노고가 많았다는 치하의 말씀을 들었고, 말 2필을 하사받았는데 1필은 안장이 모두 갖추어져 있었다. 백은(白銀) 500매, 생견 장막(生絹帷)주 006
각주 006)
도바리(帷): 실내의 공간을 나누거나 바깥과 차단하기 위해 장지문 위 횡목(橫木)에서부터 늘어뜨리는 천.
닫기
30개를 하사받았다.
一. 야나가와 부젠노카미에게는 말 1필, 은자 200매를 하사하셨다.
  〈다른 책에는 부젠노카미에게 은 200매, 계절 옷 20벌, 마구(羈)주 007
각주 007)
오모즈라, 오모가이(覊): 마구의 일종.
닫기
를 부착한 말 1필이라고 되어 있다〉
一. 겐소(玄蘇) 장로에게 은자 50매, 생견 장막 5개를 하사하셨다.
一. 이데 야로쿠자에몬에게 은자 30매, 생견 장막 3개를 [하사하셨는데], 쓰기노마(次間)에서 사자
  역할을 한 것에 대한 하사이다.주 008
각주 008)
쓰기노마(次間)는 귀인의 거실 옆 방. 쓰기노마와 의례 장소를 오가며 보조 역할을 한 것에 대한 하사로 추정된다.
닫기
一. 모토토요에게 금 5매, 생견 장막 5개를 주셨다.
  이상

  • 각주 001)
    교쿠로쿠(曲六): 법회(法會) 등에서 선승이 앉는 의자. 바로가기
  • 각주 002)
    나가타치(長太刀): 의장에 사용하는 가늘고 긴 다치(太刀). 혹은 중세 이래 무사가 외출할 때 종자에게 들게 했던 위세용의 큰 다치. 바로가기
  • 각주 003)
    초모쿠(鳥目): 동전. 에도시대의 동전은 중심에 구멍이 있어 마치 새 눈 같은 모양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 바로가기
  • 각주 004)
    구상서(口上書). 구두로 말한 사항을 문서로 작성한 것.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의 ‘湯’은 차(茶)로 번역했다. 1624년 통신사행을 기록한 『寬永元甲子年朝鮮信使來聘江戶往來日帳』(본서수록) 10월 5일조에도 통신사가 쓰시마 번주 소씨와 야나가와씨에게 조선의 차를 두 번 대접했다고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도바리(帷): 실내의 공간을 나누거나 바깥과 차단하기 위해 장지문 위 횡목(橫木)에서부터 늘어뜨리는 천. 바로가기
  • 각주 007)
    오모즈라, 오모가이(覊): 마구의 일종. 바로가기
  • 각주 008)
    쓰기노마(次間)는 귀인의 거실 옆 방. 쓰기노마와 의례 장소를 오가며 보조 역할을 한 것에 대한 하사로 추정된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조선 국왕에게 보내는 구보님의 답신과 답례품 자료번호 : kn.k_0004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