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동항 대방신 유적

東港 大房身 遺蹟
  • 저필자
    이후석(숭실대학교)
  • 날짜
    1970년대
  • 시대
    초기철기시대
  • 위치
  • 원소장처
    요령성 단동시 동항시 합륭향 대방신촌
  • 시대
    상고사
  • 유형
    기타
유적개관
* 동항시(옛 동구현)의 서북방향으로 약 30㎞ 떨어진 지점의 대방신촌에 위치함.
* 1970년대 대방신촌에서 세형동검이 수습되어 알려지게 되었으나 구체적인 출토 정황은 알려지지 않음.
유물개관
세형동검 1.
출토유물
* 검신 상부에 비해 하부 폭이 넓고 턱이 지게 꺽인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검신 하부는 역제형이며, 봉부는 신부 길이의 약1/3 가량 되는 초장봉형이다. 등대에는 죽절형의 마디가 형성되어 있다. 전체 길이 32.0㎝, 신부 길이 29.0㎝, 경부 길이 3.0㎝, 봉부 길이 8.5㎝, 너비 3.3㎝
참고문헌
許玉林·王連春, 「丹東地區出土的靑銅短劍」, 『考古』 第8期, 1984
해설
유적은 동항시(옛 동구현)의 서북방향으로 약 30㎞ 떨어진 지점의 대방신촌에 위치한다. 1970년대 대방신촌에서 동검 1점이 수습되어 알려지게 되었으나, 유구나 유물의 구체적인 출토 정황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출토된 동검은 단동시 문화국에 의해 회수되었다.
동검은 세형동검(細形銅劍)으로 몸체 상부에 비해 하부 폭이 넓고 턱이 지게 꺾인 점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칼허리의 어임[결입부(抉入部)]이 없는 것은 한국식 세형동검과 다른 특징인데, 등대에 마디[절대(節帶)]가 있는 것은 한국식 세형동검에도 나타나는 것이어서 일정한 공통점도 확인된다. 동검의 길이는 32.0㎝이다.
이와 같은 형식의 세형동검은 요동 동부지역과 서북한지역에서도 다수 출토된 바 있어 후기고조선의 청동무기를 대표하는 형식으로 볼 수 있다. 연대는 전국 후기 또는 기원전 3세기대로 볼 수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동항 대방신 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1_0010_0010_002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