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손국(烏孫國)에 대한 소개
오손국. 대곤미(大昆彌)주 001의 도읍은 적곡성(赤谷城)
주 002
각주 002)
이고 장안에서 8,900리 떨어져 있다.주 003호수는 120,000, 인구는 630,000, 병사는 188,800명이다.주 004赤谷城 : 余太山(2003 : 112)은 이 말이 고대 중국의 少昊의 거처인 暘谷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즉 暘은 ‘밝다’는 뜻으로 동쪽 골짜기에 해가 뜨면서 밝아지기 때문에 暘谷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이것이 곧 赤谷과 같으며, 위치상으로는 이식 쿨 호 동남쪽 나린(Narin)河 상류역에 해당된다고 주장했다. 淸代의 徐松 역시 이 말을 意譯으로 간주하여 악수(Aqsu) 북쪽의 北鹽이라는 산이 붉은색이기 때문에 ‘赤谷’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을 것으로 추측했다. 그러나 Hulsewe(1979 : 143)는 赤谷이라는 말은 意譯이라기보다는 音譯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각주 004)
상(相)과 대록(大祿)주 005이 있고, 좌대장과 우대장 [각 1명씩] 2명이 있으며, 후(侯) 3명,주 006대장과 도위 각 1명, 대감(大監)주 0072명, 대리(大吏)주 0081명, 사중대리(舍中大吏) 2명, 기군(騎君)주 0091명이 있다. 동쪽으로 7,021리 가면 도호주 100『漢書』 「西域傳」에 기재된 각국의 戶口資料가 정확하게 언제 작성된 것이냐에 대해서는 학계에 일치된 견해가 없는 상황이다. 西域都護가 初置된 직후인 甘露 4년(전50)으로 보는 주장은 근거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漢書』 「地理志」에 기재된 戶口數가 작성된 것과 같은 해 즉 元始 2년(후2)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이 역시 개연성이 희박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최근에는 成帝 永始 2년(전15) 혹은 永始 3년(전14)에 작성된 것이라는 가설도 제시되었다. 이에 관해서는 錢伯泉 (1982)․袁延勝 (2007) 참조.
각주 100)
의 치소에 이르고, 서쪽으로 5,000리 가면 강거의 영내[蕃內]주 011에 이른다. 땅은 풀이 많고 평평하며,주 012비가 많이 내리고 춥다. 산에는 소나무와 느릎나무[樠]주 013가 많다. 사람들은 농사를 짓거나 나무를 심지 않고, 가축을 따라 수초를 찾아다니며, 흉노와 풍속이 같다. 나라에는 말이 많아서 부자는 4~5천 필을 소유한다. 사람들은 [성질이] 강퍅하고 탐심이 많으며 신의가 없고, 약탈과 도적질을 많이 한다. 아주 강한 나라이다. 전에는 흉노에 복속했었는데 후에 강대해져서, 비록 통제[羈縻]를 받기는 하지만 조회(朝會)주 014에는 가려고 하지 않는다. 동쪽으로는 흉노, 서북쪽으로는 강거, 서쪽으로는 대완, 남쪽으로는 성곽으로 된 여러 나라와 서로 접하고 있다. 본래 색(塞)의 땅주 015이었는데, 대월지가 서쪽으로 색왕(塞王)을 패주시키자 색왕이 남쪽으로 현도(縣度)
주 016를 건너가 버리니, 대월지가 그 땅에 거주하게 되었다. 후에 오손의 곤막이 대월지를 격파하니, 대월지가 서쪽으로 이주하여 대하를 신하로 삼았고, 오손의 곤막이 그곳에 살게 되었다. 이런 연유로 말미암아 “오손 사람들 중에는 색종과 대월지종이 [섞여] 있다”는 말을 하는 것이다.주 017
都護 : 西域都護가 언제 처음으로 설치되었느냐, 즉 初置問題에 대해서는 학자들의 견해가 심하게 엇갈리고 있는데, 정리하면 크게 세 가지 說이 있다. ①地節 2년(전68)說인데 이는 『漢書』 「百官表」에 “西域都護는 加官이며, 宣帝 地節二年에 初置되었다.”라는 기사에 근거한 것이다. ②神爵 2年(전60)說인데 이는 『資治通鑑』 卷26에서 神爵二年條에 “鄭吉이 車師를 공파하고 日逐王을 투항케 하니 그 위세가 西域을 떨게 하였다. 마침내 護車師以西北道하게 하니 이런 연유로 都護라고 칭하게 된 것이며, 都護의 설치는 鄭吉에서부터 시작되었다.”는 기사를 위시하여, 여러 학자들의 考證에 기초를 두고 있다. ③神爵 3년(전59)說인데 이는 『漢書』 「西域傳」 본문에서 “그 후 日逐王이 선우에게 반란을 일으켜 무리를 이끌고 투항해 오니…… 그 해는 神爵 3년(전59)이었다. 이에 정길로 하여금 護車師以西北道하게 했고, 그런 연유로 都護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도호의 시초는 정길에서부터 두어지기 시작한 것이다.”라는 기사에 근거를 둔 것이다. 이 논란에 관해서는 劉洪波(1986)․劉國防(2002)․李炳泉(2003) 등을 참조. 또 한 가지 都護와 관련된 문제는 그 정식 職名이 무엇이냐 하는 점이다. 『漢書』 「百官志」에도 명시되었듯이 西域都護는 처음에는 ‘加官’에 불과했지 ‘本官’은 아니었다. 즉 鄭吉의 本官은 騎都尉였는데 여기에 西域都護가 추가되어 ‘西域都護騎都尉’로 불렸던 것이고, 예를 들어 甘延壽는 郎中․諫大夫가 本官이었고, 段會宗은 光祿大夫가 本官이었다. 그런데 많은 경우 西域都護 뒤에 騎都尉가 병칭되는 것을 두고 ‘西域都護騎都尉’가 하나의 고정된 관직명인 것처럼 오해하기도 하지만, 사실은 騎都尉는 서역도호가 되기 위해 반드시 구비해야 할 本官이기 때문에 그런 현상이 나타난 것일 뿐이었다. 그런데 처음에 이처럼 ‘加官’에 불과했던 ‘西域都護’라는 관명은 前漢 말기, 구체적으로 말하면 成帝(전32~전7) 때부터 그 자체가 고정된 하나의 ‘本官’으로 변화되었던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李大龍 (1991)․李炳泉(2003 : 69-71) 참조.
- 각주 001)
-
각주 002)
赤谷城 : 余太山(2003 : 112)은 이 말이 고대 중국의 少昊의 거처인 暘谷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즉 暘은 ‘밝다’는 뜻으로 동쪽 골짜기에 해가 뜨면서 밝아지기 때문에 暘谷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이것이 곧 赤谷과 같으며, 위치상으로는 이식 쿨 호 동남쪽 나린(Narin)河 상류역에 해당된다고 주장했다. 淸代의 徐松 역시 이 말을 意譯으로 간주하여 악수(Aqsu) 북쪽의 北鹽이라는 산이 붉은색이기 때문에 ‘赤谷’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을 것으로 추측했다. 그러나 Hulsewe(1979 : 143)는 赤谷이라는 말은 意譯이라기보다는 音譯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 각주 003)
- 각주 004)
- 각주 005)
- 각주 006)
- 각주 007)
- 각주 008)
- 각주 009)
-
각주 100)
都護 : 西域都護가 언제 처음으로 설치되었느냐, 즉 初置問題에 대해서는 학자들의 견해가 심하게 엇갈리고 있는데, 정리하면 크게 세 가지 說이 있다. ①地節 2년(전68)說인데 이는 『漢書』 「百官表」에 “西域都護는 加官이며, 宣帝 地節二年에 初置되었다.”라는 기사에 근거한 것이다. ②神爵 2年(전60)說인데 이는 『資治通鑑』 卷26에서 神爵二年條에 “鄭吉이 車師를 공파하고 日逐王을 투항케 하니 그 위세가 西域을 떨게 하였다. 마침내 護車師以西北道하게 하니 이런 연유로 都護라고 칭하게 된 것이며, 都護의 설치는 鄭吉에서부터 시작되었다.”는 기사를 위시하여, 여러 학자들의 考證에 기초를 두고 있다. ③神爵 3년(전59)說인데 이는 『漢書』 「西域傳」 본문에서 “그 후 日逐王이 선우에게 반란을 일으켜 무리를 이끌고 투항해 오니…… 그 해는 神爵 3년(전59)이었다. 이에 정길로 하여금 護車師以西北道하게 했고, 그런 연유로 都護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도호의 시초는 정길에서부터 두어지기 시작한 것이다.”라는 기사에 근거를 둔 것이다. 이 논란에 관해서는 劉洪波(1986)․劉國防(2002)․李炳泉(2003) 등을 참조. 또 한 가지 都護와 관련된 문제는 그 정식 職名이 무엇이냐 하는 점이다. 『漢書』 「百官志」에도 명시되었듯이 西域都護는 처음에는 ‘加官’에 불과했지 ‘本官’은 아니었다. 즉 鄭吉의 本官은 騎都尉였는데 여기에 西域都護가 추가되어 ‘西域都護騎都尉’로 불렸던 것이고, 예를 들어 甘延壽는 郎中․諫大夫가 本官이었고, 段會宗은 光祿大夫가 本官이었다. 그런데 많은 경우 西域都護 뒤에 騎都尉가 병칭되는 것을 두고 ‘西域都護騎都尉’가 하나의 고정된 관직명인 것처럼 오해하기도 하지만, 사실은 騎都尉는 서역도호가 되기 위해 반드시 구비해야 할 本官이기 때문에 그런 현상이 나타난 것일 뿐이었다. 그런데 처음에 이처럼 ‘加官’에 불과했던 ‘西域都護’라는 관명은 前漢 말기, 구체적으로 말하면 成帝(전32~전7) 때부터 그 자체가 고정된 하나의 ‘本官’으로 변화되었던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李大龍 (1991)․李炳泉(2003 : 69-71) 참조.
- 각주 011)
- 각주 012)
- 각주 013)
- 각주 014)
- 각주 015)
- 각주 016)
- 각주 017)
색인어
- 지명
- 오손국, 적곡성(赤谷城), 장안, 강거, 강거, 대완, 대월지, 현도(縣度), 대월지, 오손, 대월지, 대월지, 대하, 오손, 오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