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혈태촌주(穴太村主; 아나호노스구리)

혈태촌주(穴太村主; 아나호노스구리)
 조씨보덕공(曹氏寶德公; 소우시하우토쿠코우)의 후손이다.
 
【주석】
1. 혈태촌주(穴太村主)
혈태(穴太; 아나호)는 미정잡성(未定雜姓) 우경(右京) 「지하혈태촌주(志賀穴太村主)」 조에도 게재되어 있다.
혈태라는 씨명은 율령제 시대 근강국(近江國) 자하군(滋賀郡) 혈태(穴太; 아나호), 혈다(穴多; 아나호)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자하현(滋賀縣) 대진시(大津市) 혈태(穴太) 지역이다.
산성국의 혈태촌주는 여기에만 보인다.
근강국의 혈태촌주(穴太村主)는 천평 19년(747) 12월 23일자 「근강국판전군사해(近江國坂田郡司解)」(『대일본고문서』9-644)에 기재된 혈태촌주마려(穴太村主麻呂)가 있고, 천평보자 6년(762) 5월 14일자 「석산원봉사대반야소첩(石山院奉寫大般若所牒)」(『대일본고문서』5-231)에 보이는 혈태촌주잡물(穴太村主雜物)이 있다. 혈태촌주잡물은 천평보자 6년(762) 2월 11일 「석산원봉사대반야소첩(石山院奉寫大般若所牒)」(『대일본고문서』5-107)에서는 혈태잡물(穴太雜物)이라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촌주 성 없이 무성(無姓)으로 기록된 경우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천평승보 2년(750) 8월 28일자 「조동대사사해(造東大寺司解)」(『대일본고문서』 25-133)에 보이는 혈태광공(穴太廣公)이나 천평보자 6년(762) 7월 9일자 「애지군사해안(愛智郡司解案)」(『대일본고문서』 16-399)에 기재된 혈태천의(穴太千依) 등도 촌주 성을 가진 인물일 수 있다.
2. 조씨보덕공(曹氏寶德公)
우경(右京) 제번(하) 「운제련(雲梯連)」 조에는 “운제련(雲梯連; 우나테노무라지)이 고향촌주(高向村主; 다카무쿠노스구리)와 조상이 같으며 종보덕공(宗寶德公)의 후손이다”라고 적혀 있고, 우경 제번(하) 「군수(郡首)」 조에는 “고향촌주와 조상이 같으며 단성부공(段姓夫公; 단세이후코우)의 후손이다.”라고 적혀 있다. 보덕공에 관해서는 우경 제번(하) 「운제련」 조의 종보덕공과 「군수」 조의 단성부공 참조.
산성국의 혈태촌주(穴太村主)는 『신찬성씨록』 에만 보인다. 혈태촌주씨는 조씨보덕공(曹氏寶德公)의 후손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를 입증할 만한 기록이 「고기」 와 「구전」 등에 존재하지 않아 세운 조상도 신뢰받지 못하여 미정잡성에 기재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혈태촌주(穴太村主; 아나호노스구리)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9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