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평양을 회복하여 황제의 인자함을 넓히고 대의를 밝혔으니 잘 경략(經略)하는 일에 대해 명나라 송응창(宋應昌)이 조선국왕에게 보내는 자문(咨文)

45. 經略宣諭本國進守平壤
  • 발신자
    欽差經略薊遼保定山東等處防海御倭軍務兵部右侍郞 宋
  • 발송일
    1593년 2월 11일(음)(萬曆二十一年二月十一日)
  • 출전
    事大文軌 卷3: 47a-48b / 『壬辰倭亂 史料叢書 1~8 對明外交』(국립진주박물관, 2002 영인본) 1책: 95~98쪽
45. 經略宣諭本國進守平壤
 
欽差經略薊遼保定山東等處防海御倭軍務兵部右侍郞 宋,
爲 天討方張平壤已復, 合行宣諭國王督發軍民防守, 以廣皇仁, 以昭大義 事.
 
准本部咨.
該本部題, 職方淸吏司案呈, 奉本部送.
准 經略侍郞 宋 咨. 前事, 內稱.
平壤已克, 乞宣諭國王, 令其撥發軍民, 防守平壤緣由. 等因.
到部, 送司案呈到部.
爲照, 倭奴占據朝鮮, 潜圖內犯, 以致該國君臣宗祀失守, 播越江干, 仰賴我皇上憐念恭順屬封. 慨然命將興師, 出疆援勦, 而大兵甫至平壤, 遂一鼓而下. 前後節據揭報, 大約 擒斬倭奴一千六百有餘, 焚溺死者, 以萬計, 則中國之威業, 已大振矣. 但平壤旣得, 防守宜嚴, 朝鮮君臣, 豈宜仍前播越. 今據經略侍郞 宋咨稱, 請㫖諭, 令朝鮮王還居平壤, 一以示天朝字小之仁, 一以繫彼國勤王之志. 相應題請, 合候命下 本部移文經略衙門轉行朝鮮國王, 卽日率領陪臣軍民人等, 還赴平壤駐箚防守. 仍乞天語諄勅, 乗此破竹之勢, 淬礪義兵, 會合征勦, 期於蕩平, 如旣克王京, 卽聽進守, 不得再候, 題請以致稽遲. 等因.
奉聖旨.
是. 平壤旣復, 便行與朝鮮國王, 仍舊居守還, 令乘勝鼓勇, 會兵進勦, 務期蕩平.
欽此.
備咨到部. 擬合就行.
爲此, 合咨前去, 煩照本部題奉欽依內事理, 卽日率領陪臣軍民人等, 還赴平壤駐箚防守, 施行. 希由知照. 須至咨者.
右咨朝鮮國王.
 
萬曆二十一年二月十一日.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평양을 회복하여 황제의 인자함을 넓히고 대의를 밝혔으니 잘 경략(經略)하는 일에 대해 명나라 송응창(宋應昌)이 조선국왕에게 보내는 자문(咨文) 자료번호 : sdmg.d_0001_0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