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진수숙녜(津守宿禰; 츠모리노스쿠네)

진수숙녜(津守宿禰; 츠모리노스쿠네)
 미장숙녜(尾張宿禰; 오하리노스쿠네)와 조상이 같으며, 화명명(火明命; 호아카리노미코토)의 8세손 대어일족니(大御日足尼; 오미히노스쿠네)의 후손이다.
 
【주석】
1. 진수숙녜(津守宿禰)
진수(津守; 츠모리)라는 씨명은 섭진(攝津)의 주길(住吉) 진(津)을 지키는 직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서기』 천무천황 13년(684) 12월 기묘조에 진수련(津守連)에게 숙녜 성을 주었다고 적혀 있다.
진수련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흠명(欽明) 5년(544) 2월조 등의 진수련기마노궤(津守連己麻奴跪), 황극(皇極) 원년(642) 2월 갑신조 등의 진수련대해(津守連大海), 제명(齊明)5년(659) 7월 무인조 등의 진수련길상(津守連吉祥) 등이 있다. 진수련기마노궤는 흠명 4년(543) 11월 갑오조 등에 견백제사(遣百濟使), 황극 원년 2월조에 진수련대해는 견고(구)려사, 제명 5년 7월조에 진수련길상은 견당사가 되었다.
진수숙녜 일족으로는 천평 3년 7월 5일 「주길대사사해(住吉大社司解)」 에서는 진수숙녜객인(津守宿禰客人)이 견당사신주(遣唐使神主), 〈진수씨계도(津守氏系圖)〉에서는 진수숙녜지길(津守宿禰池吉)이 견당사신주, 진수숙녜남족(津守宿禰男足)이 견발해신주로 나온다. 『속일본기』 보귀(寶龜) 9년(778) 11월 을묘조 등에서 진수숙녜국마려(津守宿禰國麻呂)가 견당주신(遣唐主神)이었다. 이들이 견당·견발해신주(주신)가 된 것으로 보아 진수씨가 대외 교섭에 임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 연력(延曆) 8년 8월 27일 주길대사사해군판(住吉大社司解郡判)」 에서는 진수숙녜화마려(津守宿禰和麻呂)가 섭진국 주길군(住吉郡)의 의대령(擬大領), 진수숙녜정산(津守宿禰淨山)이 섭진국 주길군 소령(少領)으로 나온다. 따라서 진수숙녜씨가 섭진국 주길군의 군사에 임명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후에도 천덕(天德) 3년 4월 5일자 「섭진국사해(攝津國司解)」(『類聚符宣抄』 7 등)의 진수숙녜무련(津守宿禰茂連)과 천덕 3년 11월14일자 「선지(宣旨)」(『유취부선초』 7 등)의 진수관무(津守貫茂)가 주길군의 대령으로 나온다.
2. 미장숙녜(尾張宿禰)
미장숙녜에 관해서는 좌경 신별(하) 「미장숙녜」 조 참조.
3. 화명명(火明命)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신 가운데 하나인 화명명(火明命; 호아카리노미코토)은 천화명명(天火明命), 천조국조언화명명(天照國照彦火明命) 등으로도 표기된다. 『고사기』 와 『일본서기』 일서(一書)에는 천인수이존(天忍橞耳尊; 아메노시호미미노미코토)과 고목신(高木神; 다카미무스비)의 딸 만번풍추진사비매명(萬幡豐秋津師比賣命; 다쿠하타치지히메노미코토)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나온다.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 에는 수적신(橞積臣), 물부련(物部連)의 조상인 요속일명(饒速日命; 니기하야히노미코토)과 같은 신이라 기재되어 있다. 『신찬성씨록』 에는 천진언근명(天津彦根命; 아마츠히코네), 천수일명(天橞日命; 아메노호히노미코토), 천도근명(天道根命; 아메노미치네노미코토) 등의 자손과 더불어 천화명명의 자손을 ‘천손족’이라 칭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좌경 신별(하) 「미장숙녜」 조ㅡ (400) 화명명 참조.
4. 대어일족니(大御日足尼)
대어일족니는 『주길대사신대기(住吉大社神代記)』 에는 의부미다족니(意富彌多足尼), 대어전족니(大御田足尼)라고 적혀 있다. 또 『주길대사신대기』 선목등본기(船木等本記)조에는 의미나선다명(意彌那宣多命)의 아들 의부미다족니라고 적혀 있고, 의부미다족니에는 “진수숙녜의 원조(遠祖)이다”라고 주가 달려 있다. 또 대어전족니에도 “진수숙녜의 원조(遠祖)이다”라고 주가 달려 있다. 이에 따르면 의부미다족니는 의미나선다명의 아들이 된다. 〈진수씨계도〉에도 ‘주사장전명-대어전족니’라고 적혀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진수숙녜(津守宿禰; 츠모리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60_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