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벽화

통로서벽

  • 저필자
    김진순(대구국제공항 문화재감정관)
앞 칸에서 널방으로 들어가는 통로 입구의 서벽에 그려진 묘주부부(墓主夫婦)의 출행(出行) 벽화 가운데 남자 주인공의 출행장면이다. 통로의 동벽에는 여자 주인공의 출행장면이 그려져 있다. 그림의 화면은 먼저 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붉은 선을 그어 전체 화면의 틀을 설정하고 다시 이를 상하 2단으로 나누었다. 상단에는 묘주(墓主)가 무사들의 호위를 받으며 마차(馬車)를 타고 출행하는 장면이 그려졌으며, 하단의 벽화는 대부분이 박락되고 일부만 남아있어 정확한 확인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남아 있는 벽화와 동벽의 하단에 그려진 벽화내용에 비추어 볼 때, 말과 말을 이끌고 있는 무관으로 판단된다.
상단의 남자 주인공은 무사들의 호위를 받으며 수레를 타고 출타 중이다. 먼저 맨 앞에는 두 명의 기마무사(騎馬武士)가 행렬을 선도하고 있으며, 환두대도(環頭大刀 : 칼의 손잡이 끝부분에 둥근 고리가 있는 고리자루칼로서, 삼국시대 무덤에서 주로 출토됨)를 어깨에 멘 보병(步兵)이 수레 주변을 에워싸며 걸어가고 있다. 이들은 모두 머리에 무관용 책(幘 : 문관이나 무관의 의례용 모자로, 뒷부분의 운두가 두 갈래로 갈라져 앞으로 구부러진 형태와 운두가 뾰족하게 솟은 형태 두 가지가 있음. 전자는 문관용이며 후자는 무관용임)을 쓰고 있어, 동편에 있는 부인 행렬도의 구성원에 비해 신분이 높은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수레를 이끄는 말의 모습은 확인이 되지 않지만 마부로 보이는 사람 둘이 수레 앞쪽에서 걸어가고 있는 모습으로 미루어 볼 때, 말을 그린 부분은 이미 박락되었다. 수레의 산개(傘蓋 : 고대에 귀족들이 나들이 할 때 태양을 가리기 위한 도구로, 오늘날의 양산과 같은 것임)는 2단의 술 장식이 달린 매우 화려하게 치장된 모습이다.
하단의 벽화는 탈락이 심해, 말의 다리 부분과 그 왼편에 무관용 책을 쓴 인물 한 명만이 어렴풋이 보인다. 행렬의 일부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묘주부부의 출행장면(出行場面)은 고구려 초기 고분벽화에서부터 매우 유행하였던 소재로, 일반적으로 묘주부부 생전(生前)의 바깥나들이 장면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한다. 그러나 다른 한 편으로는 시종들의 호위를 받으며 내세(來世)로 떠나는 사후(死後)의 모습을 상징하기도 한다. 이때 우차와 말은 묘주부부를 저 세상으로 편안하고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교통수단이다. 널방 북벽에 그려진 묘주초상의 장막 좌우에는 마침 우차와 말이 준비되어 있어, 묘주부부가 바로 이들을 이용하여 출타를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출행행렬은 안채인 널방을 나와 사랑채 쪽인 앞 칸을 향하고 있어 출타에서 돌아오는 길이 아니라 이제 막 나들이를 떠나는 순간임을 알 수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통로서벽 자료번호 : kk.d_0002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