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아산 탕정일대 유적

  • 저필자
    최재도(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날짜
    2006·2007
  • 시대
    원삼국
  • 위치
  • 원소장처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갈산리·명암리·용두리
  • 시대
    상고사
  • 유형
    무덤
입지
2006~2007년 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08년 충청문화재연구원이 발굴조사를 시행.
유적개관
지점에 따라 분묘 조성 시기상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는데, 용두리 지점이 가장 이른 것으로 판단된다. 부장 철기 가운데 그간 영남지역에서 성행하던 철모 등이 존재하는 점이 주목된다. 철기 뿐 아니라 양남지역 원삼국 후기(2세기 후반~3세기 말)의 특징적인 둥근 밑의 옹이나 굽다리가 달리고 목이 곧은 항아리인 대부직구호 등도 함께 나와 영남 지역과의 폭넓은 교류를 뒷받침하고 있다. 그간 철모를 비롯한 영남지역 특유의 철기는 연기군 동면의 응암리 유적이나 아산시 신법리 등에서 알려진 바 있으나 영남지역의 것과 닮은 토기와 함께 나온 것은 이 유적이 처음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것으로만 보면 아산 용두리 유적을 필두로 아산만 인근지역이 변진지역과의 교류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것으로 이해되며, 아울러 마한의 중심이 아산·천안 일대에 위치하였을 가능성을 높여 주는 것이기도 하다.
출토유물
* 주구묘, 마형대구, 원저옹, 유개대부호, 철기 등
참고문헌
충남대학교박물관, 「천안역세권신도시개발계획지역내 문화재조사보고」, 「충청남도지」문화유적, 1999
해설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갈산리·명암리·용두리에 걸쳐있는 원삼국시대의 고분군이다. 이 유적은 탕정면 소재지 북쪽의 해발 30m 내외의 구릉 경사면 및 계곡 사이에 걸쳐 분포한다.
인접한 삼성전자 단지의 직원용 숙소와 학교 등 지원시설 건설 부지에 포함되어 조사되었는데, 2006년에 충남역사문화연구원이 조사한 갈산리 지점에서 21기, 2007년 5월 같은 기관이 갈산리·명암리 지점에서 52기, 같은 해 11월에 66기가 확인되었다. 또한 2008년 7월 충청문화재연구원이 용두리·명암리 지점에서 24기, 마지막으로 2008년 12월 같은 기관에서 조사한 용두리 지점에서 50여기 등 모두 190여 기의 원삼국시대 무덤이 확인되었다. 인접한 청당동 유적이나 공주 하봉리·장원리 등이 10~20기 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매우 큰 규모로서 마한지역 최대의 분묘군 중 하나이다. 이 유적은 원삼국시대 유적 이외에도 청동기시대 전기의 대규모 취락유적인 명암리 유적과도 부분적으로 중복되고 있다.
지점에 따라 분묘 조성 시기상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는데, 용두리 지점이 가장 이른 것으로 판단된다. 시신과 함께 부장된 철기 가운데 그동안 영남지역에서 유행하던 쇠투겁창[철모(鐵矛)] 등이 존재하는 점이 주목된다. 철기 뿐 아니라 영남지역 원삼국 후기(2세기 후반~3세기 말)의 특징적인 둥근밑독[원저옹(圓低甕)]이나 굽다리곧은입항아리[대부직구호(臺附直口壺)] 등도 함께 나와 영남 지역과의 폭넓은 교류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와 닮은 유물은 영남지역에서 대략 250년을 전후한 기원후 3세기 전반~후반 무렵에 해당되므로 용두리의 덧널무덤[목곽묘(木槨墓)]의 시기를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연대는 인접한 갈산리 도랑움무덤[주구토광묘(周溝土壙墓)] 보다 약간 이른 편으로서, 결국 동일한 무덤 축조 집단이 처음 용두리 지역에 무덤을 만들다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약 500m 가량 동쪽에 위치한 갈산리 지역으로 묘역을 옮긴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밖에 뚜껑있는 굽다리단지[유개대부호(有蓋臺附壺)], 말모양 띠고리[마형대구(馬形帶鉤)] 등도 출토되었다.
그동안 쇠투겁창을 비롯한 영남지역 특유의 철기는 연기군 동쪽의 응암리 유적이나 아산시 신법리 등에서 알려진 바 있었으나 영남지역의 것과 닮은 토기와 함께 나온 것은 이 유적이 처음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것으로만 보면 아산 용두리 유적을 시작으로 아산만 인근지역이 변한·진한 지역과의 교류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것으로 이해되며, 아울러 마한의 중심이 아산·천안 일대에 위치하였을 가능성을 높여 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 유적으로 인해 그동안 문헌기록뿐이었던 변진 철의 마한지역으로의 공급 사실을 고고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아산 탕정일대 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1_0030_0140_004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