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울산 하대 고분

  • 저필자
    최재도(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날짜
    1991~1992
  • 시대
    원삼국~삼국
  • 위치
  • 원소장처
    울산광역지 울주군 웅촌면 대대리 중대, 하대, 저리마을
  • 시대
    상고사
  • 유형
    무덤
입지
1991~1992년 부산대학교박물관, 1996년 울산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시행.
유적개관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하는 원삼국~삼국시대에 이른 장기간에 걸쳐 형성된 고분군. 고분들은 대략 12개소에 나뉘어 분포하고 있는데, 고분이 분포하는 구릉들과 저리마을 앞의 평지 등에서는 청동기시대와 원삼국시대의 주거흔적이 발견되어, 유적이 복합유적임을 보여주고 있음. 분묘 유적 중에는 비교적 앞 시기의 대형묘를 파괴하고 후대의 소형묘들이 축조되어 심한 중복현상을 보이기도 함.
출토유물
* 동정, 노형토기, 고배장경호, 환두대도, 유경식철촉, 오리모양토기 양이부호, 와질토기 류, 도질토기류 등
참고문헌
「울산 하대유적-고분Ⅰ」
해설
울산광역지 울주군 웅촌면 대대리의 중대, 하대, 저리마을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하는 원삼국~삼국시대의 고분군이다. 이 유적은 백두대간의 지맥인 낙동정맥을 따라 남북으로 길게 형성된 해발 150m의 구릉과 회야강에 의해 형성된 충적평야를 향해 뻗는 구릉들에 위치한다.
1991~1992년 부산대학교박물관이 조사한 결과 덧널무덤[목곽묘(木槨墓)] 81기, 독무덤[옹관묘(甕棺墓)] 8기, 기타 유구 6기가 조사되었다. 또 1996년에는 울산대학교박물관이 하대마을의 남쪽에서 파괴된 돌덧널무덤[석곽묘(石槨墓)]을 발굴하였다. 이 일대의 고분들은 대략 12개소에 나뉘어 분포하고 있는데, 중대마을의 낮은 구릉에는 5세기대의 돌덧널무덤이, 하대마을 뒤편 2개의 구릉에는 3~4세기대의 덧널무덤이, 하대마을이 형성된 곳에는 덧널무덤과 5세기대의 대형흙봉우리무덤[대형봉토분(大形封土墳)]이, 저리마을의 뒤편 구릉들에는 5~6세기대의 돌덧널무덤과 대형봉토분이 분포하고 있다.
덧널무덤은 능선의 구릉방향을 따라 대형묘가 조영되고 경사면에는 등고선 방향을 따라 소형묘가 조영되었는데, 앞 시기의 대형묘를 파괴하고 뒷 시기의 소형묘들이 축조되어 심한 중복현상을 보였다. 덧널무덤은 무덤구덩[묘광(墓壙)]의 크기에 따라 대형, 중형, 소형으로 나뉘고, 대형의 경우에 장방형(長方形)과 가늘고 긴 장방형[세장방형(細長方形)]으로 구분된다. 장방형은 토기의 양이 적고, 유물을 시신의 주위나 덧널 위에 묻는 반면, 세장방형은 발치 쪽에 일정한 공간을 만들어서 토기와 칠기를 집중 부장한다. 그리고 주검칸의 덧널을 불에 태운 것도 조사되었다(23호). 무덤 내부에서 기둥구멍[주공(柱孔)]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었는데, 23호는 주검칸에 8개를 대칭으로, 2호는 6개를 대칭으로 배치하였다.
이 유적의 덧널무덤에서는 나무널[목관(木棺)]이 사용된 흔적이 확인되는 것이 없고, 확실히 나무널이 사용되지 않은 것들이 다수 조사되었으므로 대부분 덧널의 내부에 따로 나무널이 사용되지는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대형의 덧널무덤의 경우 대부분 큰항아리 조각이 출토되었는데, 흙봉우리[봉토(封土)]의 정 중앙부에 3개체의 큰항아리를 둔 것도 있었으나 대부분은 큰항아리를 깨트려 흙봉우리와 함께 묻거나 무덤구덩이 바깥의 주위에 안치하였다. 이와 같은 큰항아리의 매납(埋納)은 매장의례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출토된 유물로는 청동솥[동정(銅鼎)]을 비롯하여 오리모양[압형(鴨形)]토기 등의 토기류 207점, 철기류 695점, 기타 608점이 있다. 특히 23호분에서 출토된 청동솥은 북방계의 유물로서 당시의 대외교류관계를 알려주는 유물이다. 이 유적은 원삼국시대 후기를 편년하는 데 기준유적이 되고 있으며, 출토유물이나 유구의 크기 등으로 보아 이 고분군을 축조한 집단은 신라에 병합되기 전후 울산지역의 최고세력집단으로 추정되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울산 하대 고분 자료번호 : isea.d_0001_0030_0100_003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