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미창구고분군

米倉溝墓群
  • 저필자
    표영관
  • 시대
    고구려
  • 위치
  • 원소장처
    요녕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 아하향 미창구촌(中國 遼寧省 本溪市 桓仁滿族自治縣 雅河鄕 米倉溝村)
  • 시대
    고구려
  • 유형
    무덤
입지
환인현 아하향 미창구촌 북쪽 약 500m 산등성이에 위치
유적개관
장군묘(벽화묘)를 중심으로 500m의 범위 내에 10여기의 석실봉토묘가 방사형으로 분파하고 있다. 고분은 둘씩 짝을 이루며 다른 고분들과는 거리를 두고 있다. 일찍부터 도굴되어 부장품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1991년 발굴조사 되었다.
유물개관
* 금동기(반지, 못) 등
참고문헌
「遼寧考古文集」, 2003
해설
환인만족자치현 현소재지(縣所在地) 중심에서 남쪽 약 9km 혼강(渾江)의 만곡지점 강변에 위치한 미창구촌 언덕에 자리 잡은 고분군이다.
둘레 150m가 넘는 초대형 고분을 중심으로 500m 범위 안에 십 수개의 봉토묘가 방사형으로 분포되어 있다. 가장 큰 무덤은 오래전부터 장군묘(將軍墓)라 불렸다가 1991년 장군묘 및 주변의 소형묘 10여기를 발굴하면서 ‘미창구고분군 1호분’으로 편호하였다. 장군묘에 대한 발굴은 이미 1984년과 1987년에 있었으나, 전체 고분군의 대한 조사는 이것이 처음이었다.
미창구고분군에서 조사된 무덤은 장군묘를 포함하여 13기였으며 모두 봉토석실분으로 확인되어 고구려 중기 이후 축조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만 장군묘에서 서남향 600m 지점에 위치한 미창구 5호분 및 주변 4기의 무덤은 미창구고분군과는 별도의 고분군으로 보기도 한다.
장군묘를 제외한 고분들은 지름이 대체로 15-20m 정도의 규모였는데, 모든 고분에서 이미 도굴을 심하게 당하여 출토된 유물은 거의 없다.
미창구 2호분은 장군묘에서 65m 떨어진 거리에 가장 인접해 있는데 형태상 2명의 합장묘로 추정되고 있다. 2호분과 13호 분의 묘실의 벽면에는 회(灰)를 칠한 흔적이 있지만, 벽화는 발견하지 못했다.
환인 지역은 주몽(朱蒙)이 기원전 38년 무렵 북부여에서 남하하여 근거지로 삼고 고구려를 건국한 졸본(卒本) 지역이다. 광개토왕비 비문에는 홀본(忽本), 『삼국사기』에는 ‘졸본’, 『위서(魏書)』 「고구려전」에는 ‘흘승골성(紇升骨城)’으로 기록되어 있다. 첫 도읍 졸본성은, 환인시에서 동북쪽 8.5km 지점에 위치한 오녀산성(五女山城)으로 추정되고 있다.
오녀산성은 사람의 접근하기 힘든 고지에 위치해 있지만, 환인지역은 혼강(渾江)을 끼고 있는 비옥한 충적지대여서 사람들의 거주에 비교적 용이하다. 다만 전체 지형은 용강산맥(龍崗山脈)과 동쪽으로 천산산맥(千山山脈)이 교차하는 지역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거주는 주로 혼강 등의 강 주변이나 산곡지간(山谷之間)을 따라 형성되었다. 현재 환인지역 도시와 마을의 형성도 이와 동일하며, 확인되는 고구려 고분 등의 유적지 분포 역시 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다.
고구려는 기원후 3년 유리왕이 국내위나암성(國內尉那巖城, 현재 길림성 집안현(吉林省 集安縣))으로 천도를 하지만, 환인(졸본)지역에는 여전히 많은 주민들이 거류하였음이 분명하다. 이후 환인 지역은 고구려의 요동진출을 위한 교두보이자 수도 국내성으로 향하는 적군을 차단하는 방어거점의 역할을 수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까닭에 환인 일대에서는 고구려 초기의 무덤양식은 물론이거니와 중기와 후기의 고분양식들도 확인되고 있다.
미창구고분군의 고분들은 모두 봉토석실묘로서 고구려 중후기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무덤 방식을 취하고 있어서, 고분군은 대체로 5세기 무렵 조성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 거대 고분인 장군묘의 존재를 통해 해당지역에 왕에 버금가는 유력 계층이 거주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미창구고분군 자료번호 : isea.d_0002_0010_0100_0050_0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