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12) 노(爐)

(1) 1호 노
1998년에 제16구역에서 조사되었다. 1호 노는 “9호 가마”로 보고된 유구이다. 5호 가마에서 북동쪽으로 2.5m 거리에서 성벽과 인접하여 발견되었다. 이 유구는1 호부터 8호까지의 가마들과는 크기뿐만 아니라 구조도 크게 차이를 보인다(도면 82). 하나의 구덩이로만 되어 있고, 크기는 길이 1.7m, 너비 0.75m, 깊이 12~20㎝이다. 장축은 남동-북서 방향이다. 내부 퇴적토는 단단한 적갈색의 불탄 사질토인데, 윗부분에서 큰 와편들과 수점의 큰 및 중간 크기의 납작한 돌들이 발견되었다(도면 83; 84). 내부 퇴적토의 아랫부분은 숯들이 섞인 단단한 회색과 암회색 사질토 간층들이다. 이 간층들 사이에서 회색의 재 사질토 렌즈모양 토층이 발견되었다.
도면 82 | 크라스키노성 1호 노 평단면도(1998)
도면 83 | 크라스키노성 1호 노 모습(1998)
도면 84 | 크라스키노성 1호 노 바닥 모습(1998)
이 유구에서는 16점의 와편이 발견되었다. 그중 8점은 큰 크기인데, 2점은 수키와이고, 6점은 암키와이다. 암키와 중 2점에는 지두문이 장식되어 있다. 와편들은 산화 분위기에서 소성을 한 것이 62%, 환원 분위기에서 소성을 한 것이 38%이다. 그 외에 유구의 내부퇴적토에서 토기 동체부편 혹은 와편으로 만든7 점의 놀이 알이 출토되었다. 유구의 내부퇴적토 윗부분에서는 수점의 작은 슬래그와 형체 불명의 철제 유물편들이 발견되었다.
이 유구는 처음 발굴조사 보고서에서는 기와 생산이 아닌 무언가 다른 것을 생산하는 데 이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하지만 이후 기와 가마로 소개되었고 또 제철생산에도 이용할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주 001
각주 001)
Болдин В.И., Черепичные печи Краскинского городища // Проблемы археологии и палеоэкологии Северной, Восточной и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Новосибирск, 2003, p.315.
닫기
천정의 잔재에 대해서는 보고된 것이 없다. 이 유구는 규모로 보아 제철생산에 사용된 노였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된다.
(2) 2호 노
1998년에 제16구역에서 조사되었다. 2호 노는 “10호 가마”로 보고되었다. 5호 가마의 북서쪽 끝부분과 성벽 사이에 위치한다. 1호 노와 같이 하나의 구덩이로 되어 있고 크기가 작다. 평면 모양은 부정 타원형이며, 크기는 길이1 .7m, 너비 0.8m, 깊이 20~26㎝이다(도면 85). 장축은 북동-남서 방향으로 다른 가마들과는 크게 차이가 난다. 윗부분의 내부 퇴적토는 적갈색의 달구어진 사질토인데, 소토덩이들과 회녹색의 재, 회색의 재 등이 섞여있다(도면 86; 87). 내부 퇴적토에서 수점의 와편과 함께 큰및 중간 크기의 납작한 돌들이 몇 개 발견되었다. 이 납작한 돌들은 가마의 벽체가 무너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아랫부분의 내부 퇴적토는 숯과 소토들이 섞인 단단한 회색의 사질토이다. 천정의 잔재들은 보고된 것이 없다. 2호 노의 남서쪽 부분은 6호 가마에 의해 파괴된 상태였다. 이 유구에서는 와편 6점이 발견되었다. 2점은 수키와, 4점은 암키와이다.
도면 85 | 크라스키노성 2호 노 평단면도(1998)
도면 86 | 크라스키노성 2호 노 모습(1998)
도면 87 | 크라스키노성 2호 노 바닥 모습(1998)
이 유구도 규모와 구조로 보아 1호 노와 마찬가지로 제철생산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3) 3호 노
1998년에 제16구역에서 조사되었다(도면 1998-70, 71)(도면 88; 89). 제16구역의 북쪽 부분에 1호 노와 남동쪽으로 30㎝의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윗부분이 3개의 납작한 돌과 수 개의 와편들로 이루어진 준장방형의 유구이다. 이 돌들과 와편들이 작업 공간으로 추정되었는데 북동쪽으로 약간 기울었다. 장축은 남서-북동 방향이고, 전체 크기는 길이 80㎝, 너비 50㎝이며, 내부 공간은 길이 40㎝, 너비 16㎝, 깊이 14㎝이다.
도면 88 | 크라스키노성 3호 노 평단면도(1998)
도면 89 | 크라스키노성 3호 노 모습(1998)
이 노의 주변은 북동쪽, 북쪽, 북서쪽이 갈색의 달구어진 얇은 사질토층으로 덮여있었다. 이 사질토층 경계 밖의 단단한 회색 사질토층에서는 10점 이상의 심하게 녹슨 철제품 쪼가리들과 슬래그들이 발견되었다. 내부 퇴적물은 위에서 아래로 숯이 섞인 얇은 암회색 사질토층, 숯이 섞인 암갈색 사질토층, 단단한 암회색 사질토였다.
주변의 토양이 달구어져 있고 또 주변에서 철 슬래그들이 발견되어 노(爐)로 추정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 각주 001)
    Болдин В.И., Черепичные печи Краскинского городища // Проблемы археологии и палеоэкологии Северной, Восточной и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Новосибирск, 2003, p.315.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12) 노(爐) 자료번호 : kr.d_0016_0020_0010_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