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만보정고분군

萬寶汀墓區
  • 저필자
    권순홍(성균관대학교 박물관)
  • 시대
    고구려
  • 위치
  • 관련자료
  • 원소장처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吉林省 通化市 集安市)
  • 시대
    고구려
  • 유형
    무덤
입지
환도산성 서남쪽, 칠성산 동쪽 기슭의 통구 계곡에 위치하고 있다.
유적개관
총 1,638기의 고분이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세 개의 구역(서대파구역, 통구 10조 구역, 통구 11조 구역)으로 나뉜다. 서대파구역은 좀 더 이른 시기의 것이 많으며, 통구 10조구역은 대부분이 주민 거주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보존상태가 좋지 않다.
참고문헌
「集安高句麗墓葬」, 2007
해설
중국 길림성 집안시는 고구려의 두 번째 도성 국내성이 자리했던 곳이다. 따라서 압록강을 따라 길게 펼쳐진 집안 분지에는 1만2천여기가 넘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이 흩어져 있다. 이를 통구 고분군이라고 하는데, 다시 7개의 구역별로 나누어 분류한다. 국내성을 중심으로 그 동쪽에는 가장 먼 곳부터 장천고분군, 하해방고분군(下解放古墳群), 우산하고분군(禹山下古憤群)이 위치하고, 국내성의 북쪽에 산성하고분군(山城下古墳群)이 있으며, 서쪽에는 만보정고분군(萬寶汀古墳群), 칠성산고분군(七星山古墳群), 마선구고분군(麻線溝古墳群) 순으로 자리한다.
그 중 만보정고분군은 통구하와 칠성산 사이의 산기슭과 충적 평지에 자리 잡고 있다. 1966년 고분 분포조사에서는 만보정고분군에 1,516기의 고분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2005년의 실측조사 결과 1,547기로 늘어났다. 무덤은 통구하의 하천방향을 따라가면서 축조되어 있다. 무덤의 연대는 상류 쪽이 이르고 하류 쪽이 늦다고 한다. 서대파(西大坡)구역, 통구10조(通溝10組)구역, 통구11조구역 등 3개소의 구역으로 구분된다. 적석총과 석실봉토분(石室封土墳)이 대략 반반씩 구성되어 있다. 주민 거주구역에 위치하므로 보존상태는 좋지 않다. 중요한 무덤으로는 만보정242호분, 1078호분, 1200호분, 1368호분이 있다. 만보정242호분은 4기의 적석총이 연접된 계단적석연접묘이다. 전체 길이는 45m, 너비는 17m, 높이는 1.4~3.5m에 달한다. 강자갈을 5~10cm 가량 깔아 기저부를 만들고, 그 위에 4기의 계단적석총을 만들었다. 가장 북쪽에 위치한 1호묘 매장주체부 주변에서 불탄 돌무더기와 화장된 것으로 보이는 인골편이 출토되었다. 무덤 둘레에는 호석이 둘러져 있다. 이 고분은 적석총의 매장주체부가 석곽에서 석실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어 무덤의 연대는 3세기 말로 보고 있다. 만보정1078호분은 평면이 방형인 적석총이다. 각 변의 길이는 17m내외이다. 무덤 둘레 기저부는 큰 돌로 쌓았는데 큰 것은 1.8m에 달한다. 무덤 상부에는 지름 700cm, 깊이 70cm 트기의 함몰갱이 있었는데, 발굴 결과 석실의 위치였다. 무덤의 북쪽에 치우쳐 방형에 가까운 현실이 있었고 오른편으로 연도가 나 있었다. 연도 밖에는 다량의 유물이 집중되어 있었다. 금동제 마구가 다수인데 안교, 등자, 재갈, 행엽, 보요 등 고구려 고분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보고자는 5세기를 전후한 시기로 편년하였으나 4세기 말까지 올려보거나 5세기 중엽으로 내려보기도 한다. 만보정1200호분은 평면 장방형의 계단적석총이며, 동서 길이 20m, 남북 너비 17m, 높이 3.5m 규모이다. 매장주체부는 광실(壙室)이며 3단의 계단이 관찰된다. 남북 양쪽 계간은 지형을 따라 쌓았다. 계단 석재는 길이 200cm, 너비 120cm 크기이다. 무덤 꼭대기 중앙에는 지름 300cm, 깊이 60cm 크기의 함몰갱이 있다. 함몰갱 안에는 불탄 흔적이 보인다. 보고자는 이 무덤이 높은 곳에 위치하며 규모가 큰 점으로 미루어 만보정고분군의 핵심적인 무덤 가운데 하나로 파악했다. 또한 깬 돌을 많이 쓰고 내부 구조로 광실을 채용한 점으로 미루어 3세기 말로 편년하였다. 만보정1368호분은 석실 내부에 벽화가 그려진 석실봉토분(石室封土墳)이다. 봉분의 외형은 절두방추형(截頭方錐形)이며, 석실은 연도를 갖춘 반지하식의 단실묘이다. 현실의 길이는 320cm, 너비 244cm, 높이 320cm 규모이고 연도의 길이는 180cm이다. 연도는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으며 바깥쪽으로 가면서 넓어진다. 현실의 서쪽에는 관대가 시설되어 있고 네 벽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철제 못이 박혀 있다. 현실전면에 회를 바르고 벽화를 그렸는데 벽면과 천장부에는 검은색 안료로 기둥과 대들보를 그렸으며 모두 8개의 두공(頭孔)을 표현하였다. 4세기 초·중엽에 축조된 만보정1368호분은 벽화고분의 출현 과정을 반영하고 있어서, 학술적으로 중요한 고분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만보정고분군 자료번호 : isea.d_0002_0010_0060_0040_1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