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인성의안강정황태후(仁聖懿安康靜皇太后)의 제문(祭文)

34. 祭文
  • 발송일
    1596년 8월 9일(윤)(만력 24년 윤8월 9일)
유(維) 만력 24년 세차(歲次) 병신 윤8월 을축삭 9일 계유, 조선국왕 신 이(李) 휘(諱)는 삼가 배신 공조판서 이축을 차견(差遣)하여 대행인성의안강정황태후 영연(靈筵)에 감히 밝혀 고합니다. 삼가 생각하건대, 하늘이 내린 거룩한 품성은 문왕(文王)의 배필이 될 만하였고, 동관(彤管)에서 기록한 내용주 001
각주 001)
동관은 『시경(詩經)』에서 확인할 수 있다. 『書經集傳』 卷2, 邶, 靜女. 고전 문헌에서 대체로 여사(女史)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닫기
은 필연코 법도에 들어맞았습니다. 6년 동안의 지치(至治)는 새벽닭이 울 때 시작되었으니주 002
각주 002)
현비(賢妃)가 새벽녘에 군주가 조회에 늦지 않도록 “닭이 이미 울었으니 조정에 이미 신하들이 가득합니다”라고 깨웠다는 고사이다. 『詩經集傳』 卷5, 齊, 鷄鳴 “鷄旣鳴矣 朝旣盈矣”.
닫기
누가 강건(剛健)의 덕에 유정(柔貞)의 도움이 없었다고 말하겠습니까.주 003
각주 003)
강건은 건괘(乾卦)의 성질로 원문에서는 황제를 의미하고, 유정은 곤괘(坤卦)의 성질로 황후를 가리킨다.
닫기
장락궁(長樂宮)주 004
각주 004)
한나라의 궁궐 이름이다. 대체로 황제의 모후(母后)가 거처했다. 원문에서는 인성황태후를 이른다.
닫기
의 높은 자리에 기거하시면서도 온화하게 힘쓰시니 뭇 생명이 어머니로 모시고 실로 모두 젖먹이처럼 사모하였습니다. 스물네 해 동안 천하에서 봉양을 받으셨으니 대효(大孝)가 신령을 감동시켜 마땅히 오랫동안 사셔야 하였는데, 어찌하여 하늘의 뜻이란 헤아리기가 어렵단 말입니까.주 005
각주 005)
원래는 “믿기 어렵다.”라고 번역해야 하지만 원문의 맥락에 맞게 수정했다. 원문의 “믿기 어렵다(難諶)”는 『서경(書經)』에서 확인할 수 있는 어구이다. 『서경』에서는 “아! 하늘을 믿기 어려우니 천명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書經集傳』 卷4, 商書, 咸有一德 “嗚呼 天難諶 命靡常”.
닫기
태음(太陰)인 달이 갑자기 가려지니 슬픔이 황궁을 감싸며 아픔이 궁벽한 이곳 바닷가까지 두루 미칩니다. 생각하건대, 신은 누추한 땅에서 백성과 사직을 이었으나, 외람되이 은혜와 사랑을 받았고 중국과 같이 여겨 주셨습니다. 몸소 달려가지는 못하지만 정성이 어찌 감히 남보다 뒤지겠습니까. 멀리서 보잘것없는 예물을 올리니 흠향하시기를 바랍니다. 삼가 희생(犧牲)과 예주(醴酒), 여러 가지 제물로 제사를 올려 고합니다. 흠향하소서.

  • 각주 001)
    동관은 『시경(詩經)』에서 확인할 수 있다. 『書經集傳』 卷2, 邶, 靜女. 고전 문헌에서 대체로 여사(女史)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현비(賢妃)가 새벽녘에 군주가 조회에 늦지 않도록 “닭이 이미 울었으니 조정에 이미 신하들이 가득합니다”라고 깨웠다는 고사이다. 『詩經集傳』 卷5, 齊, 鷄鳴 “鷄旣鳴矣 朝旣盈矣”. 바로가기
  • 각주 003)
    강건은 건괘(乾卦)의 성질로 원문에서는 황제를 의미하고, 유정은 곤괘(坤卦)의 성질로 황후를 가리킨다. 바로가기
  • 각주 004)
    한나라의 궁궐 이름이다. 대체로 황제의 모후(母后)가 거처했다. 원문에서는 인성황태후를 이른다.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래는 “믿기 어렵다.”라고 번역해야 하지만 원문의 맥락에 맞게 수정했다. 원문의 “믿기 어렵다(難諶)”는 『서경(書經)』에서 확인할 수 있는 어구이다. 『서경』에서는 “아! 하늘을 믿기 어려우니 천명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書經集傳』 卷4, 商書, 咸有一德 “嗚呼 天難諶 命靡常”.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인성의안강정황태후(仁聖懿安康靜皇太后)의 제문(祭文) 자료번호 : sdmg.k_0004_0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