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위나부수(爲奈部首; 위나베노오비토)

위나부수(爲奈部首; 위나베노오비토)
 이향아색호명(伊香我色乎命; 이카가시코오노미코토)의 6세손 금련(金連; 가네노무라지)의 후손이다.
 
【주석】
1. 위나부수(爲奈部首)
위나부수는 섭진국(攝津國) 제번(諸蕃) 위나부수(爲奈部首)조에도 게재되어 있다.
위나부(爲奈部; 위나베)라는 씨명은 율령제 섭진국 하변군(河邊郡) 위나(爲奈)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병고현(兵庫縣) 니기시(尼崎市) 북동부 일대이다. 『일본서기』 응신천황(應神天皇) 31년 8월조에는 “신라의 조공 사신이 무고(武庫)에 머무르고 있었는데, 신라정(新羅停)에서 홀연히 불이 나서 모아 놓은 배에까지 번져 많은 배가 불에 탔다. 이로 말미암아 신라인을 책망하였다. 신라 왕이 그것을 듣고 크게 놀라서 이에 뛰어난 장인을 바쳤으니, 이들이 저명부(猪名部; 위나베) 등의 시조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 웅략천황(雄略天皇) 13년 9월조에 “목공 위나부진근(韋那部眞根)이 도끼로 나무를 깎았다”라고 하는 전승이 기록되어 있으므로 위나부는 신라에서 온 목공 기술자로 나온다. 위나부는 저명부(猪名部; 위나베)라고도 쓴다. 위나부수는 위나부를 이끄는 반조씨족이었던 데서 유래한 것이다.
위나부수 일족으로는 『영락유문(寧樂遺文)』(下-635)에 수록된 「장아함십보법경 권하 발어(長阿含十報法經卷下跋語)」 에 나오는 저명부수로(猪名部首老)와 저명부수도자고(猪名部首刀自古)가 있다. 다만 섭진국 제번 「위나부수(爲奈部首)」 조(978)에도 백제국 사람 중진파수(中津波手)의 후손이라 주장하는 위나부수씨가 존재하므로 미정잡성 섭진국 위나부수씨 일족이라 단정하기 어렵다.
2. 이향아색호명(伊香我色乎命)
이향색웅명(伊香色雄命), 이향아색남명(伊香我色男命), 이향아색웅명(伊香我色雄命)과 같다. 이향아색호명에 대해서는 좌경(左京) 신별(상) 「수적조신(穗積朝臣)」 조(347) 이향색웅명(伊香色雄命) 참조.
3. 금련(金連)
금련은 여기에만 보인다.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천손본기(天孫本紀)에서는 요속일명(饒速日命)의 12세손 물부목련자련공(物部木蓮子連公)의 아들이며 물부목련공(物部目連公)의 아우인 물부금련공(物部金連公)을 본조의 금련과 동일 인물이라고 보고 있다.
헤이안시대 초기경에 성립되었다고 간주되는 『선대구사본기』 권제5 천손본기는 요속일명의 후손이라고 칭하는 미장씨(尾張氏)와 물부씨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특히 1~17세손에 이르는 물무씨 계보가 기재되어 있다. 대대로 천황에게 근시하며 집정관을 배출한 격이 높은 씨족임을 주장한 내용이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 2명의 물부련금공이 등장한다. 하나는 요속일명의 13세손 물부금련공(物部金連公)[차마련(借馬連)과 야간련(野間連) 등의 조상이다.]이고, 다른 하나는 14세손 물부금련공[야간련, 차마련등의 조상으로 목대련(目大連)의 아들이다.]이다. 물부목대련은 물부목련공(物部目連公)을 가리킨다. 따라서 2명의 물부련금공은 숙부와 조카의 관계이지만 분주 기사에 모두 차마련과 야간련의 조상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것을 보면 원래는 동일인일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물부목련공의 동생이라고 기재된 물부금련공은 천손본기의 계보에는 이향색웅명(이향아색호명)의 7세손이고 목대련의 아들인 물부금련공은 8세손이라고 적혀 있으므로 본조에 기재된 이향아색호명의 6세손 금련(金連)이라는 계보관계와도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조의 금련과 동일 인물이라고 보기 어렵다.
위나부수(爲奈部首)는 이향아색호명(伊香我色乎命)의 6세손 금련의 후손임을 주장하고 있지만, 조상으로 세운 금련은 『신찬성씨록』 에만 보인다. 따라서 위나부수씨와 금련의 관계를 입증할 자료가 「고기」 와 「구전」 등에 존재하지 않고 세운 조상도 의문시되어 미정잡성에 기재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위나부수(爲奈部首; 위나베노오비토)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110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