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우노조(宇努造; 우노노미야츠코)

우노조(宇努造; 우노노미야츠코)
 우노수(宇努首; 우노노오비토)와 조상이 같으며, 백제국인(百濟國人) 미나자부의미(彌那子富意彌)의 후손이다.
 
【주석】
1. 우노조(宇努造)
우노의 씨명은 우노(宇努), 토야(菟野)라고도 쓴다. 『일본서기』 흠명기 23년(562) 7월조에 보이는 하내국(河內國) 경황군(更荒郡) 노자야읍(鸕鷀野邑)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의 대판부(大阪府) 대동시(大東市) 생구산(生駒山) 일대이다.
2. 우노수(宇努首)
『일본서기』 지통기(持統紀) 7년(693) 4월조의 토야대반(菟野大伴)도 우노수씨의 일족을 것이다. 『정사요략(政事要略)』23(연중행사 8월하) 「석청수궁방생회사(石淸水宮放生會事)」 조에 인용된 「구기(舊記)」 에 풍전수(豐前守) 우노수남인(宇奴首男人)의 인명이 보이고, 『만엽집』 권제6에도 「풍전수(豐前守) 우노수남인(宇奴首男人) 노래 1수(首)」(959)라고 하여 풍전수 우노수남인의 시문 1수가 실려 있다. 또 『우좌팔번탁집(宇佐八幡託集)』에는 “풍전(豐前) 정6위상 우노수남인(宇努首男人)”이라고 하여 인명과 관위가 명기되어 있다. 천평(天平) 5년(733)의 「국군(國郡) 미상의 계장(計帳)」(『大日本古文書』1-539)에 나이 44세의 정녀(丁女) 토야수우마후매(菟野首宇麻後賣)가 있다.
3. 미나자부의미(彌那子富意彌)
대화국(大和國) 제번 「우노조(宇奴造)」 조(949)에는 미나증부의미(彌那曾富意彌)라고 하여 ‘子’가 ‘曾’으로 표기되어 있다. 이 인명은 기타의 사료에는 보이지 않는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우노조(宇努造; 우노노미야츠코)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40_0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