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하내련(河內連; 가후치노무라지)

하내련(河內連; 가후치노무라지)
 백제국(百濟國) 도모왕(都慕王)의 아들 음태귀수왕(陰太貴首王)으로부터 나왔다.
 
【주석】
1. 하내련(河內連)
하내(河內)의 씨명은 하내국(大阪國) 하내군(河內郡)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하내련은 『일본서기』 천무기(天武紀) 10년(681) 4월조에 천내직현(川內直縣)에게 연(連) 성을 주었다. 하내련의 옛 성은 직(直)이다.
하내련씨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흠명기(欽明紀) 2년(541) 7월조에 임나일본부 관인으로 나오는 하내직(河內直)이 있으며, 동 「백제본기」 에 인용된 가부지비직(加不至費直)과 동일 인물이다. 『일본서기』 천지(天智) 8년(669) 시세조에 견당사로 파견된 하내직경(河內直鯨)이 있다. 『속일본기』 신호경운(神護景雲) 3년(769) 10월조에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로 승진한 하내련삼립마려(河內連三立麻呂)가 나오고,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4년(862) 3월조에도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로 승진한 하내국 하내군의 대령(大領)하내련전촌마려(河內連田寸麻呂)가 있다.
『정창원문서』천평(天平) 10년(738)의 「주방국정세장(周防國正稅帳)」(『대일본고문서』2-131)에 하내련입록(河內連入鹿)이 있고, 천평 17년 12월 25일부(『대일본고문서』 8-597)에 사경 업무에 종사한 하내련리인(河內連里人), 천평 4년 10월 19일부 「동대사사경시봉청장(東大寺寫經施奉請狀)」(『대일본고문서』 4-442)에 하내련정성(河內連淨成) 등의 인물이 나온다. 『평안유문(平安遺文)』(9-3470)에도 음양료의 음자(陰子) 종7위상 하내련광생(河內連廣生), 종8위상 하내련광계(河內連廣繼), 검교(檢校) 정6위상 하내련청리(河內連淸利) 등의 관인 인명이 기록되어 있다.
2. 도모왕(都慕王)
도모왕에 대해서는 좌경 제번(하) 「화조신(和朝臣)」 조(779) 참조.
3. 음태귀수왕(陰太貴首王)
음태귀수왕의 귀수왕(貴首王)은 백제 근초고왕이다. 음태(陰太)는 관칭이나, 그 의미는 알 수 없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하내련(河內連; 가후치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40_0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