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청당동 유적

  • 저필자
    최재도(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날짜
    1990·1994
  • 시대
    원삼국
  • 위치
  • 원소장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청당동 산 97-1번지
  • 시대
    상고사
  • 유형
    무덤
입지
1990년 이후 국립중앙박물관이 연차적으로 발굴조사하여 1994년까지 4차에 걸쳐 조사가 이루어졌다.
유적개관
유적은 동서로 뻗은 나지막한 구릉의 남북 사면 모두에 조영되었다. 조사된 유구는 원 삼국시대 분묘가 22기로 가장 밀집된 양상을 보이나 민무늬(무문) 토기시대 생활유구, 백제시대의 돌덧널무덤, 고려시대의 독무덤도 일부 드러났다. 원삼국시대 분묘의 2/3가량은 주구를 갖춘 묘제로 서로 중복관계가 없어 동시기이면서도 일정 묘역의 점유라는 기획성이 엿보인다. 매장 주체부는 나무널(목관)만을 사용한 것과 나무덧널(목곽)을 갖춘 것의 양자가 존재하며, 나무널의 경우는 매장부와 껴묻기부를 분리하여 주 부곽이 설치된 것도 있다. 또한 무덤의 크기, 껴묻거리의 성격으로 보아 피장 집단 내의 계층성이 엿보이기도 한다. 이 유적의 발견은 그동안 공백상태로 남아 있던 중부 지역 와질토기 집단의 묘제에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영남 지역 널부덤 연구의 시원뿐만 아니라 한국 철기시대 묘제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출토유물
* 토기류(둥근바닥단지가 대부분), 철기류(무기류에는 고리긴칼과 다수의 철모, 그리고 공구류), 꾸미개류(구슬류와 띠고리)
해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청당동 산 97-1번지 일원에 있는 원삼국시대의 고분이다. 이 유적은 천안천변에 위치하며, 동서로 뻗은 해발 60m의 낮은 구릉지대의 남북 경사면 모두에 조영되었다. 1986년 지역 주민에 의해 무른[연질(軟質)] 토기와 청동제 말모양 띠고리[청동마형대구(靑銅馬形帶鉤)] 등의 유물이 발견·신고되면서 알려졌다. 이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1990년부터 1994년까지 연차적으로 4차례에 걸쳐 약 2,000㎡ 면적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원삼국시대 분묘가 22기로 가장 밀집된 양상을 보이나 민무늬[무문(無文)] 토기시대 생활유구, 백제시대의 돌덧널무덤[석곽묘(石槨墓)], 원형구덩유구[원형수혈유구(圓形竪穴遺構)], 고려시대의 독무덤[옹관묘(甕棺墓)]도 일부 드러났다. 원삼국시대 분묘인 도랑움무덤[주구토광묘(周溝土壙墓)] 및 움무덤[토광묘(土壙墓)] 가운데, 구조가 명확한 22기 중 19기는 널무덤[목관묘(木棺墓)]이고, 3기는 덧널무덤[목곽묘(木槨墓)]이다. 또한 원삼국시대 분묘의 2/3 가량은 도랑을 갖춘 도랑움무덤으로 서로 중복되지 않아, 같은 시기이면서도 일정 묘역을 개별 공간으로 사용하여 공간기획을 엿볼 수 있다. 도랑[주구(周溝)]은 경사면에 옆으로 배치된 묘의 위쪽에 무덤을 감싸듯이 ‘ㄷ’자 형으로 설치되었다. 이러한 형식을 ‘청당동 유형’이라고 부르는데, 충청도 내륙 지역에서 다수 확인된다. 시신을 놓는 곳[매장주체부(埋葬主體部)]은 나무널(목관) 만을 사용한 것과 나무덧널(목곽)을 갖춘 것이 있으며, 나무널의 경우는 매장부와 껴묻거리[부장품(副葬品)]부를 분리하여 설치된 것도 있다.
껴묻거리는 주로 무덤 주인의 머리 부분과 발 부분에 둥근바닥짧은목 항아리[원저단경호(圓底短頸壺)]와 깊은바리모양토기[심발형토기(深鉢形土器)] 토기를 함께 묻었다. 이 밖에 유리와 구슬, 청동제 말모양 띠고리[청동마형대구(靑銅馬形帶鉤)], 고리자루큰칼[환두대도(環頭大刀)], 구멍무늬토기[공렬토기(孔列土器)]편, 붉은간토기[적색마연토기(赤色磨硏土器)], 굽달린작은항아리[대부소호(臺附小壺)], 민무늬토기[무문토기(無文土器)], 돌화살촉[석촉(石鏃)]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유적의 조성 연대는 2세기 전반에서 3세기 전반으로 추측되는데, 마한에서 백제로의 전환 과정을 살펴보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금강 유역을 비롯한 중서부 지역의 원삼국 시대의 실체를 밝힐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또한 공백상태로 남아 있던 중부 지역의 회색토기[와질토기(瓦質土器)]를 사용한 집단의 묘제에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영남 지역의 널무덤 연구뿐만 아니라 한국 철기시대 묘제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청당동 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1_0030_0140_001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