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고창 만동 유적

  • 저필자
    최재도(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날짜
    2002
  • 시대
    원삼국~삼국
  • 위치
  • 원소장처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도산리 산32-4번지
  • 시대
    상고사
  • 유형
    무덤
입지
2002년 호남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조사 시행.
유적개관
고창~아산간 지방도 확포장공사 구간내에서 원삼국시대 및 역사시대에 해당하는 3~5 세기경에 축조된 주구묘 13기와 주구를 갖추고 있지 않은 단독묘 4기 등이 조사되었음. 아산~고창 간 지방도가 유적의 동쪽에 연접해서 개설된 상태이며, 유적은 단독 구릉 상태로 남아 있음. 구릉의 정상부와 서사면에서도 발굴 조사가 된 지점에서 출토된 유물과 비슷한 양상의 토기편 등이 지표상에서 확인됨.
출토유물
* 이중구연호, 호형 토기, 컵형 토기, 직구호, 대옹, 철도, 환두도, 철촉, 철겸, 철부류, 철 모류 유리옥, 수정제옥, 자마노옥 등
참고문헌
「고창 만동유적 」
해설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도산리 산32-4번지에 위치하는 원삼국~삼국시대의 고분군이다. 고창군 아산면 소재지에서 고창읍 방향으로 15번 국도를 따라 약 1.4㎞를 가다 보면 도로변 좌측에 위치한 모양자동차학원의 북측에 위치한 구릉이다. 해발 46m의 독립 구릉으로 동쪽에는 곡간지와 청솔제라는 저수지가 있다.
아산~고창 간 지방도 확장포장공사로 인해 2002년 5월부터 7월까지 호남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독립 구릉의 경사면에서 주변에 도랑을 두른 [주구(周溝)] 분구묘(墳丘墓) 13기와 주변 도랑이 없는 독무덤[옹관묘(甕棺墓)]·덧널무덤[목곽묘(木槨墓)] 등의 단독묘 4기가 조사되었다.
13기의 분구묘는 등고선 방향과 일치하게 2열로 열을 지으면서 같은 간격으로 분포하였다. 주변 도랑이 이어지는 경우도 있으나 전반적으로 구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분구묘가 조성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분구묘의 주변 도랑에서는 추가 매장된 독무덤과 덧널무덤이 확인되었으며, 9호묘와 10호묘에서는 6기의 독무덤이 추가로 매장되기도 하였다.
유물은 겹아가리항아리[이중구연호(二重口緣壺)], 항아리모양토기[호형토기(壺形土器)], 컵모양토기, 곧은입항아리[직구호(直口壺)], 큰독[대옹(大甕)] 등의 다양한 토기류와 둥근고리자루칼[환두도(環頭刀)], 쇠화살촉[철촉(鐵鏃)], 쇠낫[철겸(鐵鎌)], 쇠도끼[철부(鐵斧)] 등의 철기류와 유리옥 등의 장신구 등 모두 189점이 출토되었다.
현재 아산~고창 간 지방도가 유적의 동쪽에 연접해서 개설된 상태이며, 유적은 단독 구릉 상태로 남아 있다. 그리고 구릉의 정상부와 서쪽 경사면에서도 발굴 조사가 된 지점에서 출토된 유물과 비슷한 양상의 토기 조각 등이 지표상에서 확인된다.
고창 만동유적은 중부 내륙 지역인 청주 송절동·송대리, 천안 청당동, 공주 하봉리 등지에서 조사된 청당동 유형의 주구(周溝) 널무덤과 영산강 유역의 서천 당정리, 익산 영등동·간촌리·율촌리, 부안, 고창 등지에서 조사된 주구묘(周溝墓)가 같은 곳에서 조사되었다는 점에 의미가 있는 중요한 고분군이다. 이것은 분구묘와 달리 주구의 굴착이나 매장 주체부의 방향 등이 서로 다른 것으로 한반도 중부 내륙 지역과 관련지을 수 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
주변 아산면 일원에서는 고창 봉덕리고분군, 중월리 유적, 도산리 유적, 예지리 유적 등 초기국가시대 마한과 관련된 많은 유적이 조사되었다. 고창 지역은 마한(馬韓) 54국 중 ‘모로비리국’으로 비정되기도 한다. 기원 후 3~5세기 유적이 집중된 점으로 볼 때 마한과 관련된 분묘로 매장주체부의 축조나 매장된 옹관의 양상, 출토유물의 다양성 등 마한 여러 소국과의 관계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창 만동 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1_0030_0120_005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