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수암 성남 유적

岫巖 城南 遺蹟
  • 저필자
    이후석(숭실대학교)
  • 작성자
    遼寧岫岩滿族自治縣文物部門
  • 날짜
    1988
  • 시대
    초기철기시대
  • 위치
  • 원소장처
    요령성 안산시 수암만족자치현 산성로 굉신촌
  • 시대
    상고사
  • 유형
    생활
유적개관
* 유적은 요녕성(遼寧省) 안산시(鞍山市) 수암현(岫岩縣) 성남(城南)에 위치함.
* 수암 성남만족자치현 정부 소재지 남쪼과 경계에 위치해 있으며, 좌표는 북위 40b16 동경 123b16임.
* 1988년 9월, 강의동 작업 공사장의 문물 조사 탐사를 진행하던 중 발견되었음
* 요녕 수암만족자치현 문물부문에서 직업전문학교 강의동에서 발견하여 발굴을 진행하였음
* 1988, 1997, 1998년으로 나눠 총 면적 47제곱미터의 수암현 정부 소재지 남쪽 유지 4곳(T1, T2, T3, T4)을 정리함
* 회갱, 부뚜막지 등의 유적이 발견되었고, 대량의 토기, 동촉, 철농구 등의 유물이 발견되었음.
* 전국 후기~서한 초기의 유적임.
유구개관
* 회갱, 부뚜막지 등
유물개관
* 토기, 동촉, 철농구 등
참고문헌
鞍山市岫巖滿族博物館, 「遼寧岫巖城南遺址」, 『北方文物』 第2期, 2009
해설
유적은 수암현 소재지로부터 남쪽으로 약 2.5㎞ 떨어진 구릉 아래의 평탄면에 위치한다. 1988년 기술공업학교 기초공사 당시 현장에서 토기편이 발견되어 제1차 조사가 실시되었다(1구역). 이후 1997년 건물 기초공사 당시 다량의 토기편이 출토되어 제2차 조사가 이루어졌다(2․3구역). 그 후 1998년 동대문구 도로 지하관로 공사 현장에서 토기편이 출토됨에 따라 추가 조사가 실시되었다(4구역). 현장조사는 안산시수암만족박물관의 주도하에 이루어졌다.
1~3구역은 유적의 중심구이며, 4구역은 유적의 북단구이다. 유적의 전체 범위는 남북 길이 350m, 동서 너비 230m, 면적 약 8만㎡이다.
1구역에서는 집자리와 관련되는 화덕[노지(爐址)] 1기가 확인되었다. 화덕에서는 동촉 1점과 바리[발(鉢)], 솥[부(釜)], 동이[분(盆)], 굽접시[두(豆)] 등의 토기편이 다량 출토되었다.
3구역에서는 집자리와 관련되는 화덕[노지(爐址)] 1기와 저장구덩이[수혈(竪穴)] 1기가 인접된 채 확인되었다. 화덕에서는 탄화된 고량미 등이 출토되었고, 저장구덩이에서는 토기편과 평기와, 수막새 등이 출토되었다. 이외에도 쇠괭이[철곽(鐵钁)], 쇠낫[철겸(鐵鎌)], 쇠호미[철서(鐵鋤)] 등의 철제농공구 15점이 화덕자리 북쪽에서 일괄 출토되었다.
2구역과 4구역에서는 유구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다량의 토기편과 철기편, 평기와, 수막새, 동촉 등이 출토되었다. 이외에도 조사과정에서 철모(鐵鉾) 등의 철제무기도 출토되었다.
전체적으로 출토유물의 수량이 많고, 기종이 다양한 것에 비해 확인된 유구는 매우 적은 점이 특징이다. 다만 화덕과 저장구덩이가 확인되고 토기류 중에서 취사용기가 적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원래 집자리를 비롯한 다양한 생활유구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출토유물이 대부분이 중원계 유물들로 이루어져 있어 진한교체기 이후의 혼란기에 유입된 유이민(流移民)과 관련된 유적으로 추정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수암 성남 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1_0010_0060_002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