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동이전

숙신씨(肅愼氏)의 문화와 역사

肅愼氏주 001
교감주 001)
「肅愼氏」 : 송본·백납본에는 표제가 없다. 남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 「肅愼氏」.
닫기
肅愼氏, 一名挹婁. 在不咸山北, 去夫餘可六十日行. 東濱大海, 西接寇漫汗國, 北極弱水. 其土界廣袤數千里.
居深山窮谷, 其路險阻, 車馬不通. 夏則巢居, 冬則穴處. 父子世爲君長. 無文墨, 以言語爲約. 有馬不乘, 但以爲財産而已. 無牛羊, 多畜猪,주 002
교감주 002)
「猪」 : 송본 「豬」, 남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백납본 「猪」.
닫기
食其肉, 衣其皮, 績毛以爲布.
有樹名雒常, 若中國有聖帝代立, 則其木生皮可衣. 無井竈, 作瓦鬲, 受四五升以食. 坐則箕踞, 以足挾肉而啖之. 得凍肉, 坐其上令暖.주 003
교감주 003)
「暖」 : 송본·남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 「暖」, 백납본 「煖」.
닫기
土無鹽鐵, 燒木作灰, 灌取汁而食之. 俗皆編髮, 以布作襜, 徑尺餘, 以蔽前後. 將嫁娶, 男以毛羽揷女頭, 女和則持歸. 然後致禮聘주 004
교감주 004)
「聘」 : 송본·급고각본·무영전본·중화서국·국사편찬위원회 「娉」, 남감본·백납본 「聘」.
닫기
之. 婦貞而女淫, 貴壯而賤老. 死者其日卽葬之於野, 交木作小椁, 殺豬주 005
교감주 005)
「豬」 : 송본·남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백납본 「豬」, 중화서국·국사편찬위원회 「猪」.
닫기
積其上, 以爲死者之糧.
性凶悍, 以無憂哀相尙. 父母死, 男子不哭泣, 哭者謂之不壯. 相盜竊, 無多少皆殺之, 故雖野處而不相犯. 有石砮·皮骨之甲·檀弓三尺五寸·楛矢長尺有咫. 其國東北有山出石, 其利入鐵. 將取之, 必先祈神.
武王時, 獻其楛矢·石砮. 逮于주 006
교감주 006)
「于」 : 송본·남감본·무영전본 「于」, 급고각본·백납본 「於」.
닫기
周公成王, 復遣使入賀. 爾後千餘年, 雖秦漢之盛, 莫之致也. 及文帝作相, 魏景元末, 來貢楛矢·石砮·弓甲·貂皮之屬. 魏帝詔歸于주 007
교감주 007)
「于」 : 송본·남감본·무영전본·백납본 「于」, 급고각본 「於」.
닫기
相府, 賜其王褥주 008
교감주 008)
「褥」 : 송본·무영전본 「傉」, 남감본·급고각본·백납본 「褥」.
닫기
주 009
교감주 009)
「雞」 : 송본·남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 「雞」, 백납본 「鷄」.
닫기
·錦罽·緜帛.
武帝주 010
교감주 010)
「大」 : 송본 「大」, 남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백납본 「元」. 저본인 남감본은 「元」이지만, 『晉書』 卷3, 帝紀3에 따르면 楛矢와 石砮를 헌상한 것은 咸寧 5년(279) 12월이며, ‘元康’은 惠帝의 연호이므로, 이때의 「元」은 오류이다. 咸寧 5년(279)에 사신이 來朝하고 이듬해 봄에 太康으로 改元했으므로, 송본에 의거하여 「大」로 교감.
닫기
康初, 復來貢獻. 元帝中興, 又詣江左貢其石砮. 至成帝時, 通貢於石季龍, 四年方達. 季龍 주 011
교감주 011)
「四年方達季龍」 : 송본 「四年方達季龍」. 남감본·무영전본·백납본에는 이 6자가 없다. 급고각본에는 이 부분에 소자로 “宋本此下有四年方達季龍六字”라고 기재되어 있다. 저본인 남감본에는 없지만, 송본·급고각본의 기록과 문맥을 미루어 보아 「四年方達季龍」을 보입하였다.
닫기
問之, 答曰: 「每候牛주 012
교감주 012)
「牛」 : 송본 「車」, 남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백납본 「牛」.
닫기
馬向西南眠者, 三年矣. 是知有大國所在, 故來.」 云.

  • 교감주 001)
    「肅愼氏」 : 송본·백납본에는 표제가 없다. 남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 「肅愼氏」.바로가기
  • 교감주 002)
    「猪」 : 송본 「豬」, 남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백납본 「猪」.바로가기
  • 교감주 003)
    「暖」 : 송본·남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 「暖」, 백납본 「煖」.바로가기
  • 교감주 004)
    「聘」 : 송본·급고각본·무영전본·중화서국·국사편찬위원회 「娉」, 남감본·백납본 「聘」.바로가기
  • 교감주 005)
    「豬」 : 송본·남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백납본 「豬」, 중화서국·국사편찬위원회 「猪」.바로가기
  • 교감주 006)
    「于」 : 송본·남감본·무영전본 「于」, 급고각본·백납본 「於」.바로가기
  • 교감주 007)
    「于」 : 송본·남감본·무영전본·백납본 「于」, 급고각본 「於」.바로가기
  • 교감주 008)
    「褥」 : 송본·무영전본 「傉」, 남감본·급고각본·백납본 「褥」.바로가기
  • 교감주 009)
    「雞」 : 송본·남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 「雞」, 백납본 「鷄」.바로가기
  • 교감주 010)
    「大」 : 송본 「大」, 남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백납본 「元」. 저본인 남감본은 「元」이지만, 『晉書』 卷3, 帝紀3에 따르면 楛矢와 石砮를 헌상한 것은 咸寧 5년(279) 12월이며, ‘元康’은 惠帝의 연호이므로, 이때의 「元」은 오류이다. 咸寧 5년(279)에 사신이 來朝하고 이듬해 봄에 太康으로 改元했으므로, 송본에 의거하여 「大」로 교감.바로가기
  • 교감주 011)
    「四年方達季龍」 : 송본 「四年方達季龍」. 남감본·무영전본·백납본에는 이 6자가 없다. 급고각본에는 이 부분에 소자로 “宋本此下有四年方達季龍六字”라고 기재되어 있다. 저본인 남감본에는 없지만, 송본·급고각본의 기록과 문맥을 미루어 보아 「四年方達季龍」을 보입하였다.바로가기
  • 교감주 012)
    「牛」 : 송본 「車」, 남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백납본 「牛」.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武王, 周公, 成王, 文帝, 武帝, 成帝, 石季龍, 季龍
지명
不咸山, 夫餘, 寇漫汗國, 弱水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숙신씨(肅愼氏)의 문화와 역사 자료번호 : jd.d_0005_0097_004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