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덕진산성

德津山城
  • 저필자
    최재도(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날짜
    2012
  • 시대
    고구려/통일신라
  • 위치
  • 원소장처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정자리 산13번지
  • 시대
    고구려
  • 유형
입지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정자리 일대 해발 80m의 낮은 구릉성 산지의 정상부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초평도와 임진나루 일대, 남쪽으로는 수내나루와 문산읍 장산리 일대의 조망이 좋다.
유적개관
2004년 화랑대연구소, 2012~2013년 중부고고학연구소가 발굴조사 하였다. 주로 통일신라 및 조선시대 성곽이 축조되어 있으며, 일부 구간에만 고구려 보루가 조성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토유물
* 토기편, 기와편
참고문헌
약보고서, 2012
해설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정자리 산13번지에 있는 성곽이다. 해발 80m 내외의 비교적 낮은 구릉의 정상부와 이어지는 낮은 능선을 활용해 축조되었다. 이곳은 초평도(草坪島)를 감싸고 남서쪽으로 곡류하는 임진강의 북쪽 언덕에 해당하며, 동쪽으로는 초평도와 임진나루 일대, 남쪽으로는 수내나루와 문산읍 장산리 일대의 조망이 매우 좋아 북진을 막는 한편, 남진에 필요한 교두보 역할을 수행하기에 최적지이다. 조선시대 지리서인 『동국여지지』에 처음 소개되었고 다른 지리지에 약간의 기록이 남아 있다.
성은 주 능선에서 임진강이 있는 남쪽으로 나뉘는 두 능선을 따라 축조하여 전체적으로 U자 형태를 취하고 있다. 2004년 화랑대연구소, 2012~2013년 중부고고학연구소가 발굴조사 한 결과 덕진산성은 일시에 축조된 것이 아니라 고구려 보루를 포함하고 있는 내성에 후대의 외성이 덧대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는 주로 통일신라 및 조선시대 성곽이 남아있으며, 일부 구간에만 조금씩 들여쌓는 고구려 특유의 굽도리식 석축 성벽이 남아있다. 고구려가 인근 연천지역 임진강변에 있는 당포성, 은대리성과 함께 임진강 북안에 설치된 중요한 방어시설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덕진산성은 내성과 외성으로 나누어져 있다. 내성은 나뉘는 두 능선 가운데 서쪽 능선 상에 있는 두 봉우리를 중심으로 산 능선을 따라 돌며 구축되어 있는데, 전체 모양은 표주박 형태를 하고 있으며 둘레는 600m이다. 내성은 다시 남북으로 연이어 있는 두 봉우리 중 북쪽 봉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1차 성벽(둘레 약 100m)과 두 봉우리를 모두 감싸고 있는 2차 성벽으로 구분되는 이중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 중 북쪽 봉우리 주변에서만 고구려 토기가 집중 분포하므로 이곳을 고구려 보루성으로 보고, 그 바깥쪽의 내성은 이후에 다시 쌓은 석축성으로 추정하고 있다. 추정 고구려 보루는 인위적인 단이 남아있을 뿐 성벽의 흔적은 명확하지 않다. 한편, 보루를 감싸고 있는 내성의 경우 강안의 경사진 자연지형을 최대한 이용하면서 부분적으로 층층이 다져 쌓은[판축(版築)] 것이 특징이다. 내성의 중앙에서 서쪽으로 약간 치우쳐 우물터가 남아있는데 직경 15m, 깊이 5m 정도의 구덩이 내부에 석재가 흩어진 채 남아있다. 또한 성내 작은 봉우리의 정상에서는 덕진단(德津壇)으로 추정되는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한편, 외성은 내성의 북단에서 출발하여 동쪽 능선을 따라 임진강 방향으로 돌아간다. 기본적으로 흙으로 쌓았으나 부분적으로 돌로 쌓았다. 외성에는 문이 있었던 터가 두 곳 있으며, 성 위에 담을 낮게 쌓았던 흔적도 두 곳 보인다. 외성과 내성 사이에는 계곡의 낮은 부분이 형성되어 완경사를 이루며 강변으로 연결되어 배를 접안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성 안에는 격자무늬가 새겨진 고구려 적색 기와 조각이 다량 출토되었다.
덕진산성에서 불과 10여㎞ 떨어진 오두산성이 광개토대왕이 점령한 관미성(關彌城)이라는 주장이 있는데, 이것이 사실이라면 당시 고구려 군대는 덕진산성 앞에서 도하했을 가능성이 크다. 오두산성은 임진강과 한강 합류지점으로 물이 깊지만 덕진산성은 초평도를 끼고 있어 여울이 형성돼 도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덕진산성 자료번호 : isea.d_0002_0030_0020_008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