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장가산성

張家山城
  • 저필자
    표영관
  • 시대
    고구려
  • 원소장처
    요녕성 단동시 동항시 합륭만족향 성산촌 장가보(遼寧省 丹東市 東港市 合隆滿族鄕 城山村 張家堡)
  • 시대
    고구려
  • 유형
규모
남북: 50m, 동서: 500m
입지
동항시 합륭만족향 성산촌 장가보둔 서북 500m 떨어진 산에 위치
유적개관
평면 형태 장방형 산성으로, 길이 500m, 폭 50m이다. 성벽은 불규칙한 석재를 사용하였으며, 폭 1.5m, 잔고 1m가량이다. 북문이 있으며, 너비가 30m이다.
참고문헌
「文物地圖集」
해설
단동시 중심에서 서쪽 약 37km, 동항시 중심에서 서북쪽 약 30km 거리에 위치한 합륭만족향 성산촌 장가에서 발견된 산성 유적이다. 황해(黃海)를 바라보는 산맥 끝자락 산정에 위치한다. 성벽의 흔적으로 보아 길이 500m, 너비 50m, 둘레는 약 1,100m가량의 작은 산성으로 추정되지만 조사 당시에는 성벽의 두 구간만이 남아 있었다. 불규칙한 대석괴를 쌓아서 성벽을 축조하였고 북쪽으로 30m 넓이의 문터가 남아있다. 작은 산성 혹은 보루(堡壘)로 추정되며 지정학적 위치를 고려했을 때 고구려의 방어시설로 판단된다.
단동은 요동반도의 동남부이자 압록강이 황해를 만나는 출해구(出海口) 지점에 위치한다. 현재는 압록강을 경계로 북한의 신의주(新義州)와 국경지역이기도 하다. 단동시는 단동시를 축으로 서쪽 시계방향으로 현(縣)급도시인 동항시(東港市)와 봉성시(鳳城市) 그리고 관전만족자치현(寬甸滿族自治縣)이 위치한다.
단동 지역은 한(漢)이 요동군에 소속시킨 서안평(西安平/북안평)으로 비정되고 있다. 고래로부터 서안평은 요동지역과 한반도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이자, 바다를 통한 교섭과 무역의 창구이기도 했다. 때문에 고구려는 줄곧 서안평으로의 진출을 위해서 중국세력과 분쟁을 거듭하였다. 『삼국사기』 기록에 의하면 고구려는 311년 마침내 서안평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또 서안평의 확보로 고구려는 압록강 남쪽, 한반도 내에 존재했던 중국의 한사군(漢四郡) 낙랑군(樂浪郡)과 대방군(帶方郡)을 중국세력과 분리 고립시키고 이들을 공략할 수 있게 되었다. 서안평 확보는 고구려의 숙원인 ‘요동 진출’에 교두보를 확보한 것이기도 하다. 고구려 첫 도읍인 환인(桓仁)이나 집안(集安/국내성)에서는 험준한 산맥이 요동평원까지 중첩되어 있는데 비해, 단동에서는 비교적 완만한 지역을 지나 요하의 하구인 영구(營口)까지 진출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영토 확장은 반대로 방어지역의 확장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고구려가 한반도 내부의 평양으로 천도한 이후 단동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은 더욱 높아졌다. 평양지역은 중국세력으로부터 물리적 거리는 늘어났지만, 바다를 통한 침입의 접근성은 오히려 용이하다. 때문에 고구려는 발해만 해안지역과 황해 연안에 육로 방어와 해양방어체계의 일환으로 방어용 시설들을 구축했는데, 주로 단동과 대련(大連) 지역의 교통로상 요지가 그 주축이 되었다.
장가산성은 요동방면에서 육로로 진입하거나, 바다를 통해 진입하는 적들을 조망할 수 있는 지역에 위치한 군사시설로, 압록강 하구 넓은 충적평야 지대에 대한 고구려 방어체계의 일면을 엿볼 수 있는 유적으로 평가된다. 동쪽 10km 지점에 이가성(李家城), 동북쪽 6.5km 지점에는 누방둔산성(樓房屯山城)이 위치하여 이들과 연계된 방어시설임을 짐작할 수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장가산성 자료번호 : isea.d_0002_0010_0070_0020_0070